View : 1050 Download: 0

대학교 물리화학실험에서 조별 토의가 요약글쓰기 및 과학관련 태도에 미치는 효과

Title
대학교 물리화학실험에서 조별 토의가 요약글쓰기 및 과학관련 태도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group discussion in Physical Chemistry experiment class on Summery writing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Authors
김선경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종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lies in getting closer into the effect of verbal interactions under a setting that college students in an experiment class of physical chemistry are arranged to be grouped into pre- and post-discussion prior to attending the class. More specifically, grouping targeted for 24 juniors who take the subject of physical chemistry experiment in a 3-year college of education was made into two; a group making an experimental report through intra-group discussio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a comparative group making an experimental report to which each member had to write for itself without discussion among members. By doing this, an analysis was undertaken in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level of Summary Writing on the experiment as well as the attitude toward science. Summary Writing, which is incorporated to figure out the scientific concepts focused on wide spectrum of phenomena and subjects, was here in used as an evaluative instrument to calibrate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big idea(learning goals) and scientific concepts, level of argumentation ability and level of writing ability. The writing topic given to them was with regard to azeotropic mixture, while the attitude toward science was assessed by using an inventory of TOSRA developed by Fraser (1981). The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is based on the questionnaire designed to measure 7 sub-divided scales of attitude; i.e. social implications of science, normality of scientists, attitude to scientific inquiry, enjoyment of a science lesson, leisure interest in science, career interest in science and adoption of scientific attitude. One-way ANCOVA was adopted by using SPSS 12.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hrough which Summary Writing and science-related attitude were analyzed, while intra-group conversations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categorized. As a result from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group discussion have positive influence on enhancement of summary writing ability, while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ose items of discussion ability and logical contexture. The result of science-related attitude test verified that group discussion be positively influential on the item for enjoyment of a science lesson. Lastly, it was identified that, from an analysis on the content of group discussion, the discourse about 'how to perform experiment' be most dominant with 28.6% in terms of frequency of conversational topics in the case of pre-experiment group discussion, while compared with 31.0% centered on 'where errors exist' topic in the case of post-experiment group discussion. It must be noted that this study has intrinsic limitation arising from insufficient population due to only 24 subjects observed, which addresses that the future research be required to have wider sampling. Furthermore, it is needed that focus be made on researches of how influential academic achievement in the subject of physical chemistry, and students' perception on physical chemistry experiments are. In closing, the analysis on the discussion content revealed that in-depth discussion was not accomplished as a whole, being exemplified by just rememorizing scientific concepts or enumerating reasons of error. It might result from the students not accustomed with the discussion environment, which highly demonstrates that more opportunities be given to attendees to expresses themselves with better strategy stimulating them to be exposed to the discussion.;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물리화학실험에서 실험 전과 후에 조별로 토의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여 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강조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물리화학실험을 수강하는 사범대 3학년 학생 24명을 실험 전과 후에 조별 토의를 통해 실험보고서를 작성하는 실험집단과 각자 공부하여 실험보고서를 작성하는 비교집단으로 나누고 사전과 사후에 요약글쓰기와 과학관련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요약글쓰기는 다양한 형태와 대상으로 과학 개념을 설명하는 글쓰기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Big Idea(학습목표)의 이해, 과학 개념의 이해, 논의 능력, 글쓰기 능력을 알아보는 평가 도구로 쓰였으며 이 연구에서의 요약글쓰기의 주제는 ‘불변끓음혼합물’이었다. 과학관련 태도는 Fraser(1981)가 개발한 TOSRA를 사용하여 검사하였다. TOSRA는 과학과 관련한 7개 하위 영역의 태도를 측정하는 검사지로 그 영역에는 과학의 사회적 함의, 과학자의 평범성,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과학 수업의 즐거움, 과학에 대한 취미로의 관심, 과학에 대한 직업적 관심, 과학적 태도의 수용이 있다. 요약글쓰기와 과학관련 태도는 SPSS 12.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일원 공분산 분석(one-way ANCOVA)을 하였으며, 실험집단의 조별 토의 내용은 녹음, 전사하여 범주화하고 그 사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조별 토의는 요약글쓰기의 논의 능력 항목과 글쓰기 영역 중 논리적 문맥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으며(p<.05), 이는 학생들의 논의 능력 향상을 위해서 조별 토의를 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과학관련 태도 검사 결과 조별 토의는 과학 수업의 즐거움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러한 결과는 대학교 실험 수업에 조별 토의를 도입해야 하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마지막으로 조별 토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실험 전 조별 토의에서는 실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담화 중 어떻게 실험을 수행할 것인 가에 대한 담화가 28.6%로 가장 많았으며, 실험 후 조별 토의에서는 오차의 원인에 대한 담화가 31.0%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조별 토의는 실험 수행에 대한 담화가 많은 만큼 실제 실험 수행에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조별 토의에서 과학 개념에 대해 심도 있는 토의를 하기보다는 과학 개념을 단순히 확인하거나 오차의 원인을 나열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학생들이 토의 자체에 익숙하지 않으며, 비슷한 수준의 학생들끼리만 토의를 했기 때문이라고 본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이 연구는 물리화학실험을 수강하는 사범대 학생 24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므로 관찰한 사례가 적다는 한계가 있으므로 더 많은 학생과 다른 실험 교과를 대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물리화학의 학업성취도, 물리화학실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등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에게 토의를 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해야 하고, 토의를 활성화 할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해야할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