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민식-
dc.contributor.author문혜경-
dc.creator문혜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6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0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9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082-
dc.description.abstract‘Fairness’ refers to a disposition of an actor to react to friendly or hostile behavior regardless of material rewards. Namely, it is a propensity to respond to beneficial or detrimental actions. This is an objective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has something to do with qualities of democratic citizens such as a sense of community, a consideration of others, a disposition to seek the common good and a sense of participation in community by means of inter-dependence. Establishing a correct consciousness of fairness originates in internalization of social norms. The internalization of social norms depends highly on imitation and reinforcement, which is why the role of education is considered important. Given the reality of education where entrance exams are prioritized, it is required of today's schools to make efforts to educate humanity such as the consciousness of fairness. That is because the attitude and value of young adults are mostly formed through school life as they spend much of their time at school. Meanwhile, although coeducation in Korean school education system started not taking a goal of gender equality into account, it has yielded positive effects till the present and the number of coeducational schools is increasing. Coeducation can be effective in terms of academic performance; have positive influence in respect of socialization, democratic idea of equality and sociality development; help intelligent and emotional maturity between both sexes; and yield character formation and holistic education,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However, a tendency is arising among parents of male students to shun coeducation, considering it disadvantageous to GPA(grade point average), leading coeducational schools to seek a switchover to non-coeducational ones. Following the concern raised regarding coeducation, the present study delves into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coeducation and non-coeducation. As a measurement scale, the ‘consciousness of fairness’ is divided into relational and general consciousness of fairness for comparative analyses between two types of schools. A total of 759 11th-grade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s in Incheon City are analyzed. The analyses found the following: Firs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sciousness of fairness among high school students who learn social studies between general coed and non-coed high schools. Secondly, concerning the measurement of the relational fairness, that is, generosity toward the opposite sex, coed students show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ose of non-coed ones. To be more specific, coed girls versus non-coed girls; coed boys versus non-coed boys; and all of the coed students versus all of the non-coed students studied here are measured in light of their relational fairness to opposite sexes. Overall, coeducational students have a higher level of consciousness of relational fairness. This finding indicates that coeducational students have relatively high consciousness of fairness as part of democratic citizenship compared to non-coeducational counterparts. In the exam-oriented reality of education, the consciousness of fairness that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s' character is developed through the internalization of social norms, for which school education should play a dominant role. Hence, studies on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coeducation or non-coeducation system are highly necessary. In particular, not only single-gender but also mixed-gender classes and inter-dependence between both sexes in coed schools need studying. Continuous studies on school systems as aforementioned will be a cornerstone in fostering democratic citizens.;‘공정성(fairness)’이란 행위자가 어떤 물질적인 보상이 예상되지 않더라도 우호적이거나 적대적인 행동에 대하여 반응하는 성향으로, 이익이 되거나 해가되는 행위에 대한 응답의 성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사회과 교육의 목표로서 공동체의식, 타인에 대한 배려, 공동선을 찾으려는 성향, 상호 의존성에 의한 공동체 참여의식 등의 민주시민의 자질과 일맥상통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올바른 공정성 의식의 성립은 사회적 규범의 내면화에서부터 시작되며, 사회적 규범의 내면화는 모방과 강화의 측면이 강하기 때문에 교육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입시 위주의 교육 현실 속에서 공정성 의식과 같은 인성적 측면의 교육이 현재 학교에 요청되고 있으므로 학교는 이에 대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학교에서 대부분을 보내는 청소년들의 가치․태도 형성은 학교에서의 생활에 의해 형성된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우리나라 학교교육의 체제 중 남녀 공학교육의 시작은 남녀평등이라는 목표 아래 추진 된 것은 아니었으나, 현재까지 긍정적 효과를 거두고 있으며 남녀공학 학교의 수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남녀 공학은 학업 면에서 좋은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사회화 효과와 민주적인 평등사상, 사회성 발달 등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남녀 상호간의 지적, 정서적 성숙을 돕고, 인격형성과 전인적인 교육에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연구들이 있다. 그러나, 남학생 학부모들이 내신 성적에 불리하다며 남녀공학 학교를 기피하는 등 남녀공학 학교가 비 공학으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남녀공학 교육의 문제점이 제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남녀공학과 비 공학 교육의 교육적 효과성을 알아보았다.‘공정성의식’이라는 측정 도구를 관계적 공정성의식과 일반적 공정성의식으로 나누어 각 학교 유형별로 비교 ․ 분석하였다. 인천 시내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759명을 대상으로 분석해 본 결과 첫째, 사회과 교육을 받은 일반계 고등학생들의 일반적 공정성의식은 남녀공학과 비공학 고등학생에게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남녀공학과 비공학 고등학생들에 대하여 이성에 대한 배려, 즉 관대함 이라는 관계적 공정성을 측정해 본 결과 남녀공학 학생들이 비공학 학생들에 비해 높은 측정치를 나타내며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인 남녀공학과 비공학 고등학생들의 비교에서는 남녀공학과 비 공학의 여학생 대 여학생, 남학생 대 남학생, 남녀공학 전체학생 대 비 공학 전체학생에 대하여 이성에 대한 관계적 공정성을 측정해 본 결과 모든 경우에서 남녀공학 학생들의 관계적 공정성의식이 높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남녀공학 학생들은 민주시민의식 중의 하나인 관계적 공정성의식이 비 공학 학생들에 비해 높다고 할 수 있다. 입시위주의 교육 현실 속에서 학생들의 인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공정성 의식은 사회적 규범의 내면화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학교교육은 그 역할이 매우 크다. 이에 따라 오늘날 남녀공학이나 비 공학 제도의 교육적 효과성에 대한 연구들이 절실히 요구된다. 현재의 남녀분리 학급뿐만 아니라 남녀 혼성학급에 대한 연구, 남녀공학 내의 남녀 상호 의존성 등에 대한 연구 등이 필요하다. 이러한 학교제도의 끊임없는 연구는 민주시민양성을 위한 주춧돌이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Ⅱ. 이론적 배경 4 A. 공정성이론 4 B. 사회과교육 목표와 공정성의식의 연계 6 C. 남녀공학 교육의 현황 및 효과 7 1. 남녀공학 학교 및 학생 현황 7 2. 남녀공학 교육의 효과 9 D. 공정성 의식 측정 11 1. 이익추구를 위한 제약으로서의 공정성 11 2. 최후통첩 게임 12 Ⅲ. 연구방법 14 A. 연구대상의 특성 분석 14 B. 연구 설계 16 1. 측정 도구 16 2. 설문지 분석 16 Ⅳ. 연구결과 분석 및 논의 23 A. 남녀공학과 비공학 고등학생들의 공정성의식 측정과 영향요인 23 1. 집단 별 공정성 의식 측정 23 2. 남녀공학 vs 비공학 학생들의 공정성 의식 측정 28 B. 기타 요인 분석 31 Ⅴ. 결론 및 제언 40 참고문헌 42 부록 48 ABSTRACT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857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공정성의식을 통한 남녀공학 교육의 효과성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es of Coeducational Effects through Consciousness of Fairness-
dc.creator.othernameMoon, Hae Kyung-
dc.format.pageviii, 5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