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세훈-
dc.contributor.author전민정-
dc.creator전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1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1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2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9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286-
dc.description.abstractThis research is trying to analyze a present state of public supports for the amateur arts activities from the supporting subject, public organization and the beneficiary, amateur arts organization point of view as the public supports and the political interest on amateur arts activities are getting increased. The aims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haracters of amateur arts activities and social backgrounds of public support, and then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perception between public supporting organization and beneficiaries for the supporting activities and objects. Finally this research is going to suggest some improvements of public supports on amateur arts activities. The objects of the research are local cultural foundations in metropolitan areas among cultural arts supporting organizations and amateur arts organizations which are supported from local cultural foundations. This research is consists of as follows, First, it defines the concept of 'amateur arts' and inquires the amateur's emerging backgrounds through the reviewing of the amateur theories.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amateur activities which perceived as a private sphere and public sphere from three perspectives; Entry into the public sphere by presentation activities; Communication and exchange by the formulation of community; The restoration of local community by participating local social activities. In the next chapter, it reviews the theoretical basis on public supports in the arts fields and raises counterargument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also it considers the necessities on the public supports for amateur arts in various discourses regarding public supports. As the social backgrounds on public supports for amateur arts activities, it introduces three phenomena: 'The increased interests on cultural right'; 'The new approach on populism'; 'The spread of perception from the democratization of culture to cultural democracy'. And then, it inquiries the historical backgrounds that how amateur enter into arts and culture policy field as a subject and introduces some domestic cases of amateur arts activities by government scale such as the central government, metropolitan council, and local government. In the chapter 3, it studies real conditions of the amateur arts activities with the focus on arts activities supported cultural foundations around the capital areas. At first, it examines the process and contents of amateur arts activities which are supported by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and Incheon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through all the literature on the subject and in-depth interviews, studies the 2010 regular contest of supporting activities at the same time. After then, the survey results which conducted to beneficiari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esent activities of beneficiaries, the perception of the satisfaction of supporting activities and some demands to cultural foundations. It considers the preception of public supports both supporting organizations and beneficiaries with the works analysis on process of the present project for cultural organization and the survey results by beneficiaries. Finally it has done a comparative analysis in the perception on supporting projects according to supporting goals, the contents of supported activities, the satisfaction of supporting, the methods of supporting and demands claimed by beneficiaries. With the results of the above, in Chapter4, it draws some improvements of public supports for amateur arts activities. The suggestions made is to increase the public supports to amateur as the subject of public supports. Therefore, cultural foundations as the supporting organization requires to establish the goals refer to amateur's specific aspects when they are trying to support amateur arts activities. And also amateur organizations need to possess the qualifications and the arts activities should take the publicity That is, it suggests both interest groups of cultural foundations and amateur beneficiaries require mutual corporations and the efforts. It is understood that the perception and position of 'amateur' can be reformulated in the arts system of central government, metropolitan council, and local government, as amateur organization applies and manage the real projects as the subject in the public sector. The eight strategies for the increase of supporting amateur are suggested: The reestablishment of amateur's conception; the empowerment of amateur organization, the diversification of performance space and the increase of local participation; the engagement of professional artists and the extension of exchange, the atomization of supporting methods on the subject of arts activities; role sharing among cultural foundations in the level of central, metropolitan, and local; readjustment of managing process on supporting activities; reinforcement of follow-up service and diversify public media. This research that it identifies the specific aspects of amateur arts activities and seeks improvements between the two interest groups; the cultural foundations as the supporting agency and the amateur arts organization as the beneficiaries is of significance.;본 연구에서는 아마추어 예술 활동에 대한 정책적 관심과 공공영역에서의 지원이 증가함에 따라, 지원의 주체인 공공기관과 수혜자인 아마추어 예술 단체의 입장에서 아마추어 예술 활동의 공공지원 현황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마추어 예술 활동의 특성과 공공지원에 대한 사회적 배경을 검토해보고, 지원기관과 수혜단체들의 지원사업과 지원대상에 대한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아마추어 예술 활동의 공공지원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문화예술지원기관 중 하나인 수도권 지역문화재단과 해당 재단의 아마추어 예술 활동 지원사업의 수혜를 받은 아마추어 예술 단체이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아마추어’에 대한 이론적인 논의 검토를 통해 ‘아마추어 예술’의 개념을 정립하고 ‘아마추어 예술’의 등장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사적인 영역으로 인식되기 쉬운 아마추어들의 활동과 공공영역의 관계를 ‘발표활동을 통한 공공영역 진입’, ‘공동체 형성을 통한 소통과 교류’, ‘지역사회활동 참여를 통한 지역 공동 체 성 회복’의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문헌조사를 통해 예술분야의 공공지원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그에 대한 반론을 검토하였다.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는 공공지원에 대한 논의 속에서, 아마추어 예술의 공공지원에 대한 당위성을 고찰하였다. 아마추어 예술 활동 공공지원의 사회적 배경으로는 ‘문화권에 대한 관심 증가’, ‘대중주의(populism)에 대한 새로운 조명’, ‘문화의 민주화에서 문화민주주의로 인식 확대’를 제시하였다. 이어 문화예술정책의 대상으로 아마추어가 진입하게 된 배경을 우리나라 문화정책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찾아보았고, 아마추어 예술 활동의 공공지원에 대한 국내 사례를 중앙정부와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로 분류하여 소개하였다. 3장에서는 수도권 지역문화재단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아마추어 예술 활동 공공지원에 대한 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지원기관인 서울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인천문화재단의 아마추어 예술 활동 지원사업 경과와 내용을 문헌자료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해 살펴보고 2010년 정기공모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공공지원 수혜단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수혜단체 활동 현황, 지원사업 인식, 지원사업 만족도 및 요구사항의 항목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지원기관의 지원사업 현황 분석과 수혜단체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원기관과 수혜단체의 공공지원 대상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지원목표와 지원사업 내용, 지원사업 만족도, 지원방식 및 요구사항의 항목에 따라 지원사업에 대한 인식을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4장에서는 아마추어 예술 활동 공공지원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개선 방안의 목표는 ‘공공지원 대상으로서의 아마추어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의 대상인 아마추어 예술 단체에 대한 재정지원사업은 지원사업의 주체가 될 만큼 규모와 자격을 구비한 아마추어 단체를 지원해주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 지원기관 입장에서는 공공영역에 진입한 아마추어 예술 활동의 특성을 반영하여 사업목표를 설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아마추어 단체 입장에서는 공공지원을 받을 수 있는 자격과 역량을 갖추어 공공성이 있는 사업을 기획하고 신청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즉, 어느 한 쪽에만 일방적으로 개선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지원기관인 지역문화재단과 수혜단체인 아마추어 단체 상호간에 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음을 얘기하고자 하였다. 공공영역에 있는 아마추어 단체가 ‘지원신청주체’가 되는 지원사업 운영을 통해, 중앙과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의 예술지원체계 내에서 ‘아마추어’에 대한 위상도 정립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공공지원 대상으로서의 아마추어 지원 강화’를 위한 지원사업 개선 방안으로는 아마추어 개념의 재정립, 아마추어 단체의 역량 강화, 발표공간의 다양화와 지역사회참여 증대, 전문예술인과의 연계 및 교류 확대, 사업대상 별 지원방식의 세분화, 중앙지원기구와 광역문화재단과 기초문화재단의 역할 분담, 지원사업 운영과정의 재조정, 사후관리 강화 및 홍보매체 다양화 등 총 8가지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아마추어 예술 활동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공공영역에서의 아마추어 예술 활동의 특성을 파악하고, 지원기관인 지역문화재단과 수혜단체인 아마추어 단체의 입장에서 접근하여 공공지원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C. 선행연구검토 7 Ⅱ. 아마추어 예술 활동과 공공지원 10 A. 아마추어 예술 활동의 개념과 특성 10 1. 아마추어 예술의 개념 10 2. 아마추어 예술의 등장 배경 12 3. 공공영역에서의 아마추어 예술 활동의 특성 15 B. 문화예술분야의 공공지원 20 1. 예술분야에 대한 공공지원 21 2. 아마추어 예술 공공지원의 사회적 배경 25 3. 문화정책대상으로서 아마추어 예술 33 C. 아마추어 예술 활동 공공지원 사례 36 1. 중앙정부 및 광역자치단체 36 2. 기초자치단체 43 Ⅲ. 아마추어 예술 활동 공공지원 실태 49 A. 수도권 지역문화재단 지원사업 현황 분석 49 1. 서울문화재단 50 2. 경기문화재단 59 3. 인천문화재단 68 B. 공공지원 수혜단체 설문 분석 76 1. 조사대상 및 방법 76 2. 조사내용 분석 78 C. 분석 및 시사점 88 1. 공공지원 대상에 대한 인식 88 2. 지원사업에 대한 인식 90 Ⅳ. 아마추어 예술 활동 공공지원 개선 방안 96 A. 종합분석 96 B. 개선 방안 100 1. 지원대상 100 2. 지역연계 및 교류 101 3. 지원방식 및 지원체계 104 4. 지원기관 106 Ⅴ. 결론 111 참고문헌 113 부록1. 재단별 지원사업 세부현황 117 부록2. 아마추어 단체 대상 설문지 124 부록3. 설문응답 129 Abstract 13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916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아마추어 예술 활동의 공공지원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수도권 지역문화재단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ublic supports for Amateur arts activities : Focused on Local cultural foundations in Metropolitan areas-
dc.creator.othernameJun, Min-Jung-
dc.format.pagevi, 14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정책과학대학원 공공정책학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공공정책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