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현옥-
dc.contributor.author박지윤-
dc.creator박지윤-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7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2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8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289-
dc.description.abstractThrough its development and diversification, the media has penetrated to our daily life much closer and become to have huge and immediate impact on our thoughts. To deal with rapidly changing digital circumstances, the revision and enactment of new media-related bills are inevitable. Accordingly, building consensus over new media laws has become much more important.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e of political conflicts which have occurred in recent legislative process of the media reform bills, and tries to find solutions to mitigate these conflicts using the Policy Network model by focusing on the causes, countermeasures, and resolution factors of conflicts. Above all, through comparing dispute-resolved media bills with dispute-unresolved media bills, I find that the resolution of conflicts are depend on some key elements; the extent of the conflicts, policy targets, negotiations, and the role of the highest decision making body. Based on this finding, moreover, I clarify the necessary conditions to resolve the legislative conflicts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the following are my suggestions. First, considering the current decentralized political structure and diversified social environment, strengthening professional negotiation skills is essential for the political parties. Second, it is important to ensure legislator’s expertise and autonomy. We have seen debates or forums based on lawmakers’ expertise and autonomy play a key role on solving and legislating controversial bills in particular.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o build up policy-oriented parties, and improve the party nomination system accompanying with democratizing and refining decision-making process. Furthermore, to fulfill this aim, amending political laws and promoting public’s political consciousness and active citizenship are needed. Finally, the National Assembly Standing Committee’s arbitration capability should be strengthened. Introduction of multiple standing committees as well as consolidating the existing instruments such as special committees and public hearings should be considered so as to collect comprehensive opinions and guarantee sufficient discussions on the particular issues. Also institutional restraints such as filibuster should be also carefully examined in terms of mediation capability. In closing, this study has some limits since I have not speculated on the full range of factors including voices of lawmakers who actually participated in recent media bills revision procedure and some realistic problems. However, concerning the henceforth accelerated media changes, I hope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government’s future media-related legislative proposals. In addition, I expect this study to be used to form a sound basis of further debate and to solve conflicts in the legislative process, since the opposition actors are also able to figure out countermeasures and dispute resolution methods of pro revision actors.;미디어 매체의 발전과 다양화에 따라 현대 사회에서 미디어는 일반 국민들의 실생활에 가깝고, 매우 직접적인 방법으로 국민들의 의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정도로 생활의 일부분이 되었다. 따라서,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에 대응해 나가기 위한 미디어 관련 법안들은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미디어 관련 법안들의 갈등문제 해결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미디어 관련 법안의 입법과정에서 발생한 갈등구조를 분석해보고, 갈등의 원인, 대응전략, 해소요인 등을 중심으로 정책네트워크 모형을 통해 갈등해소요인 및 방안을 모색하였다. 우선, 미디어 관련 법안 중 갈등이 해소된 법안과 갈등이 해소되지 못한 법안의 비교를 통해 법안의 갈등 정도차이, 정책 대상의 차이, 협상과 최고의사결정기구의 역할의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입법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어떤 부분들이 필요한지 내용분석을 통해 밝혔고, 갈등해소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정당의 협상력 강화로서 현재의 분권화된 정치구조와 다양화된 사회 환경 하에서는 전문적인 협상능력 강화는 필수적이다. 둘째, 국회의원의 전문성 및 자율성 확보로서 복잡한 내용을 내포하고 있는 갈등 법안일수록 전문성과 자율성을 담보한 토론과 설득이 문제 해결의 열쇠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정책정당을 육성하고 정당의 공천권 제도를 개선함과 동시에 정당 안에서의 의사결정 구조를 민주화, 세분화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 정치관계법을 개정하고 국민의 정치의식과 시민의식을 함양해야 할 것이다. 셋째, 상임위원회의 조정능력 강화로서, 복수상임위제를 도입하거나 특위, 공청회를 통한 의견수렴 절차를 보다 강화하여 상임위 차원에서 충분한 토론과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하고, 필리버스터제도와 같은 견제장치도 조정능력의 한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앞으로도 더욱 가속화되어 변화해나갈 미디어 환경 속에서 정부가 미디어 관련 정책을 입안해 나가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 활용 될 것이라 기대한다. 법안을 반대하는 집단에서도 법안을 통과시키려는 집단의 대응방안과 갈등해소방안을 확인할 수 있어, 향후 서로간의 건설적인 토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나아가 입법 갈등을 해소해나가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본 연구의 한계는 내용분석에 한정되어, 실제 입법과정에 참여한 당사자들의 의견 및 현실에서의 문제점들을 충분히 감안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7 1. 연구의 범위 7 2. 연구의 방법 8 Ⅱ. 입법갈등 구조에 대한 이론적 배경 11 A. 입법과정과 입법갈등 11 1. 입법과정의 의의 및 기능 11 2. 입법과정의 특징 및 절차 14 3. 입법과정과 입법갈등 18 B. 정책네트워크와 입법갈등과의 관계 24 1. 정책네트워크 이론 24 2. 정책네트워크와 입법갈등과의 관계 33 C. 선행연구 검토 35 1. 선행연구의 고찰 35 D. 분석의 틀 37 Ⅲ. 미디어 관련법의 발의배경 및 입법과정 39 A. 발의배경 39 B. 입법내용과 주요쟁점 47 1. 신문 등의 자유와 기능보장에 관한 법률 47 2. 방송법 51 3. 지상파 텔레비전방송의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방송의 활성 화에 관한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 56 4. 저작권법 일부개정법률안 57 C. 입법전개과정 59 Ⅳ. 미디어 관련법 입법과정의 갈등구조와 갈등해소방안 61 A. 정책네트워크에 따른 갈등구조 분석 61 1. 신문법 62 2. 방송법 66 3. 디지털방송전환법 69 4. 저작권법 72 B. 갈등의 원인, 대응전략, 해소 결정요인에 따른 분석 75 1. 갈등의 원인에 따른 분석 75 2. 갈등의 대응전략에 따른 분석 77 3. 갈등 해소 결정요인에 따른 분석 79 C. 갈등해소방안 83 1. 정당의 협상력 강화 83 2. 국회의 자율성 및 전문성 제고 84 3. 상임위원회의 조정능력 제고 88 Ⅴ. 결론 91 참고문헌 95 Abstract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125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c.title미디어관련법 처리과정의 갈등구조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conflict in processing the Media laws-
dc.creator.othernamePark, Ji Yoon-
dc.format.pageviii, 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정책과학대학원 공공정책학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공공정책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