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4 Download: 0

비 영역 업무공간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공간디자인 계획

Title
비 영역 업무공간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공간디자인 계획
Other Titles
A Study on Spatial Design for Improving Efficency of Non-Territorial Workspace
Authors
김슬옹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연정
Abstract
The period we live in is dobbed as the Digital Age. In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business trends are changing over time; and accordingly, hierarchy as well as workspace of organization has undergone some significant changes. The evolution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s affected the environment of workspace tremendously. The present workspace has transformed into ‘Mobile Office’ –which enables the employees to work anywhere, anytime by transcending the boundaries of geographic location and time. In other words, we enter a new period - the revolution of a conventional work style. By overcoming location and time constraints, there is no need to be in a fixed location i.e. the office building and go through massive document files. Indeed, searching information at home, partners’ and customers’ office, even on the street is enabled. Historically, the transformation of workspace has corresponded to changes in economic structure. The workplace became modernized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futuristic interior designs for office were suggested after the 20th century. Therefore, currently, much research efforts are contributing to transformation of the conventional bureaucratic organisation into horizontal and mobile organization. There is new wave of office design such as a non-work-related common space which consists of conference room, meeting room and refresh room, independent space only for work-related purpose, and improving flexibility of use of office space with respective to expansion or downsize of business. As a result, mobile office is offered as a solution that can support cross-department operation on demand, regardless time and location. The objective of incorporating mobile office i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workspa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ore factors in an office design for mutual support between human and workspace and to design mobile office based on the proposed factors. The new office is expected to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create advantages in time-based competition by providing a common place for face-to-face communication amongst suppliers, customers and organisation, and empowering the employees to handle any relevant issues on spot. In contrast, the traditional workspace was task-centric and pursuing uniformity.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a design plan for new type of workspace particularly concentrating on mobility and work-speed.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In the first section, literature review regarding status quo of workspace is performed to identify the current problems. Then, the backgrounds and objectives of this paper from design perspective are stated. Also, the scope of this study and the process of the research are outlined. In the second section, based on theoretical framework of present workspace, the concept and meaning of space is explored. This paper investigated and organized trends of office interior design in terms of time series and technological changes. In the third section, this paper investigated the workspace design plan for mobile offi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designs; then it performed a case study collected from overseas and local design cases. The crucial factor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workspace design are derived from above research. In the forth section, the site candidates which are subject to reimburse in this project are select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degree of spatial relevance. This paper offered new mobile office design plan to the chosen candidate in order to mitigate the conventional problem of existing workspace. In the fifth section, this paper organized and summarized the key points found in the previous sections. Lastly, the expected effects of mobile office design plan and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are presented. The important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orkspace transforming from performance-focus into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focus, workspace is required not only for task fulfillment; the recent workspace is also required the capability to accept multiple changes in space utilization. This is a result of the optimization of the proposed design factors derived from the overhaul of academic literatures. This finding proved the future potential and effectiveness of mobile office. This study shed a light on two current affairs: communication-focus workplace and the decrease of need of ‘gathering at office and working together’. Therefore, the benefits of ‘gathering together’ are discussed. These may be useful to design an efficient and effective mobile office. Workplace in the future will become the place for maximizing the benefits from harnessing information quickly. Therefore, space for effective business aids will be needed because workspace is not simply for office task, but also for active communication. Continues research efforts to explore specialized space optimization solution for a particular or ganisation is required to achieve the improvement of work efficiency. To do so, precise and in-depth analysis of office user and work environment is compulsory. The author expects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increase work efficiency in mobile office setting.;과거 업무 공간은 기능만이 요구되는 단지 업무 수행을 위한 보조적인 차원의 기능만을 충족 시켰다. 하지만 시대 변화에 따라 기술의 발전은 인간을 시간과 공간에 얽매이거나, 물리적인 업무 공간의 의미를 벗어나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 받지 않는 유동적인 업무공간으로 변화시켰다. 과거의 기술은 유선전화, 컴퓨터, 고정된 장비 등으로 우리를 묶어놓았기 때문에 우리는 한 사무실 또는 한 장소에 정주하여 행동이나 자유를 제한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은 오늘날 정보 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점차 변화하고 있으며 기술의 도입으로 개인의 업무 유형에 따른 맞춤형 오피스 공간으로 변화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정보통신의 기술 발달은 업무공간의 제반(諸般)적 환경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시대적 변화에 따라 업무공간은 장소와 시간의 경계를 넘어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원하는 곳에서 업무 진행이 가능한 '움직이는 사무실'로 변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사라짐으로써, 책상 앞에 앉아 서류를 뒤적이지 않아도 집이나 거래처, 고객의 사무실, 심지어는 거리를 오가면서도 업무에 필요한 정보검색이 가능해졌다. 업무공간은 20세기 이 후 미래형 업무공간에 대한 여러 종류의 대안이 제시되었다. 기존의 전통적인 조직 관계가 수직적이고 관료적인 형태를 지니고 있었다면, 미래의 업무공간은 수평적이고 기동성 있는 조직관계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형태들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목적은 상호적 업무지원을 위해 필요한 업무공간의 개념을 분석하여 공간을 계획하고 단순히 기능 중심적이거나 획일적인 기존 업무공간과 차별화된 생산자와 소비자, 기업과 고객이 직접 만나 의견교류를 통한 서로 얼굴을 보며 상호작용(face to face interaction)을 업무공간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계획은 기술의 발달로 특정 공간에 제약받지 않고 시대적 변화에 따라 새로운 업무 패턴을 지원할 수 있는 공간을 계획하여 기존의 공간과는 차별화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필요에 따라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근무환경을 조성하여 업무공간을 활발한 소통의 장으로 진화시키며, 기업의 이미지와 비즈니스에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이동성과 신속성에 기반을 둔 업무지원 서비스 공간을 계획 하여 쾌적하고 효율적인 업무공간을 창출해내는 것이 논문의 주된 내용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제 1장에서는 현재 단편적으로 형성된 업무공간의 형태와 기능에 대한 이론적 개념들을 정리한 후, 여기에서 발생하는 업무공간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일반적인 연구의 배경을 도출하고 디자인적 관점을 적용하여 연구의 범위 및 연구과정의 체계를 통하여 연구의 목적을 제시한다. 제 2장에서는 기존 업무공간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공간의 개념과 의미를 살펴보며, 업무공간의 개념 변화를 유형변화와 기술변화로 나누어 흐름을 짚어보고 모바일 오피스 업무공간의 확립 방안과 공간의 특징을 요소별로 정리하여 진행 방향을 연구하며 각 특성을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제 3장에서는 실제 모바일 오피스의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여 공간 계획에 필요한 디자인 개념을 도출하였다. 제 4장에서는 앞의 연구를 바탕으로 계획의 대상지를 선정하고 분석된 공간의 상호연관성을 고려하여 기존 업무공간의 현실적 문제점을 토대로 대상지에 새로운 모바일오피스를 제안하였다. 제 5장에서는 모바일오피스 디자인 적용안의 기대효과가 가진 근본적 의미를 통한 연구의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를 밝히며 연구의 결과를 마무리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현재 업무공간이 과거의 전통적 방식의 생산적 기능보다는 집단 또는 개인 사이의 상호 교류 및 소통의 장으로 변화함에 따라, 업무공간과 팀 작업 환경이 소통을 위한 공간뿐만 아니라 다양한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 형태가 함께 요구 되고 있다. 이는 이론적 자료 분석 내용을 토대로 각 개념들이 적절히 활용된 결과로서, 예측성 결론이 아닌 업무공간의 더 많은 미래 가능성과 효율성을 증명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업무공간이 상호교류 및 소통의 장으로 변화는 시대적 상황과, '모여서 업무를 한다.' 라는 필요성이 저하되었음에 주목하여, 보다 효율적인 모바일 오피스를 계획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미래의 업무공간은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검색하고, 그에 따른 이익을 창출하는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즉, 업무공간은 단순히 업무를 보는 장소가 아닌 소통의 장으로써 효율적인 업무환경을 지원해 줄 수 있는 공간을 계획하고 제시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 이다. 또한 모바일 오피스 계획 시 이용자의 정확한 업무환경을 파악하여 각 기업의 특성에 맞는 공간 활용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며, 모바일 오피스를 각 기업의 특성에 맞게 구현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의 도입과 효율적인 공간의 활용 방안을 찾는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가 모바일 오피스에서의 업무환경의 효율성 증대에 일익을 담당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