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52 Download: 0

고등학교 환경 동아리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Title
고등학교 환경 동아리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nvironmental Croup Activities in High School
Authors
윤혜원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석순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nfirm how the environmental self-directed education is carried out within an environmental group and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such groups. The researcher recruited 8 members of an environmental group from H high school in Korea with considerations in the actual performance of the research topic, the acceptance of the research purpose by the subjects and the acceptance of the approach of the researcher. The interview and the document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from 6 of the students as a qualitative case study. This study found the answer of the research questions that were set within the research proces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what is the recognition of the students in environmental group?’ 'How are the interactions within the group?’ ‘How do the self-directed learning occur within the environmental group?’ and the main contents and the results are shown below. First, the environmental group students seem to have become interested in the environment through the previous environmental activities, experiences from the surroundings and the media and the current interests were highest in energy conservation and also in resource conservation and the 4 river project. The students define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s an education that cannot be learned from the curriculum, an education that warns of the seriousness of the environment, or an education that nurtures a mindset for the environment preservation and thought the current environmental education only deals with the issue in a shallow manner that emphasizes the pollution only and is mainly is a topic of no interest. Also, the reason that the schools are not choosing an environmental subject is because they do not feel the need for an environmental education, it does not show a quick result and it is an education that can only be self-taught. Second, the factors of interaction within the environmental group students are the expectations, a want to announce, difficulty, interest, the views from the others and the feeling as the group leader. The students had an expectation that they would be able to resolve the time restrictions that disabled the off-campus environmental activities with the interests in the environment by starting an on-campus environmental activities and thought of the visual aids as tools to effectively spread the environmental message and a method to elicit interests. The students also felt difficult to lead the environmental recognition to the actual habits of the non group members and felt sorry that they could not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he on-campus environmental activities due to the time restrictions that fell short of the expectations. However, being able to participate directly and seeing the direct results from the activities and also wanting a continuous environmental activities and wanting to utilize the group more showed that the students were still interested in the activities. The students felt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views from the others and the factors specifically observed in the group leader were concern, gratitude, encouragement, responsibility and disappointment. Third, the students all had the will to participate in the plan of the groups but responded that they take a long time to set a plan, there are conflicts of opinions and it was difficult to come up with creative ideas. They also showed a desire to understand and solve the reasons of the problems and had a feeling of achievement in accomplishing something freely on their own. The factors that students thought as necessary in self-directed learning were information, directing teacher, willpower, time, place and ideas and the responses of the students that the theory becomes a reality, the interests start to grow and the realization comes through learning showed that there was an effec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this study, I believe the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group activities can be heightened to provide the foundation of the future environmental education utilization and also the on-site application with the suggestions below. First, an in-depth study of the environmental group should be carried out. This requires an active observation of the self directed group activities of the students in the long term and analyze the in-depth data collected from multiple interviews. Second, a specific solution set for the support of the environmental groups for an active utilization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s necessary. By providing teaching materials, spaces in school and a connecting program with a teacher as an advisor, we need to enable them to contribute systemically in the environmental education.;본 연구는 환경 동아리 안에서 자기 주도적 환경교육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확인하고 동아리 활동을 하는 학생들의 정의적 측면을 이해하는 것에 목표가 있다. 연구 참여자는 실제로 연구 주제를 실행하고 있는지, 연구 대상이 연구자의 목적을 수용하는지, 연구자의 접근을 허용하는지를 고려하여 서울 소재 H고등학교 환경 동아리 원 8명을 섭외하였다. 그 중 6명의 참여자에게 얻은 인터뷰자료와 문서자료를 연구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고, 질적 사례연구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과정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의 답을 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문제는 ‘환경 동아리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환경 동아리 내 상호작용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환경 동아리 내에서 자기주도학습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이며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연구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 동아리 학생들은 이전의 환경활동 경험과 주위 환경으로 인해 접하게 된 경험 그리고 매체를 통해 환경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관심분야로는 에너지 절약이라고 응답한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자원 절약, 4대강 사업 분야 순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환경교육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응답으로 교과과정으로 배우지 않아도 되는 교육, 환경의 심각성을 알려주는 교육, 환경 보전을 위한 마음을 길러주는 교육이라 하였고, 현재 환경교육은 수박 겉핥기 식 교육, 오염만을 강조하는 교육을 하고 있으며, 무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학교에서 환경과목을 선택하고 있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환경교육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빠른 효과가 보이지 않으며, 스스로 깨달아야 하는 교육이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환경 동아리 활동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의 요소로는 기대, 알리고 싶음, 어려움, 흥미, 타인의 시선과 동아리 부장으로써 느끼는 감정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환경활동 계획에 대한 호감을 가지고 교외 환경활동을 하지 못했던 이유인 시간적 제약을 교내 환경활동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있었으며, 비 동아리 학생들에게 환경에 대해 효과적으로 알리고, 관심을 끌어낼 수 있는 방법으로 시각적 매체를 생각하였다. 학생들은 비 동아리 인의 환경인식을 실천에 까지 이르게 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꼈으며, 기대와 다르게 교내 환경활동을 하면서도 시간적 제약으로 인해 활동에 소홀해지면서 서로 미안한 마음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활동에 직접 참여할 수 있다는 점과 활동에 따른 직접적인 결과를 볼 수 있다는 점, 지속적인 환경활동을 원하고 동아리를 활성화시키고 싶다는 점을 통해 학생들이 활동에 흥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자신을 보는 타인의 시선에 대해서는 긍정적, 부정적 시선과 무관심함을 느꼈고, 동아리 부장으로써 특별히 관찰되었던 요소들로는 걱정, 고마움, 격려, 책임감, 서운함이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모두 동아리의 계획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있었으나 스스로 계획을 세우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 다는 점, 의견충돌이 있다는 점,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생각해야 한다는 점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욕구가 나타났으며, 무엇인가를 이루고 있고 자유롭다는 점에서 성취감을 느끼고 있었다. 학생들이 생각하는 자기주도학습에 필요한 요소로는 정보, 지도교사, 의지, 시간, 장소, 아이디어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론이 실천으로 이어지고, 대상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며, 학습의 과정을 통해 깨달음을 얻는다는 학생들의 응답에서 자기주도학습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동아리 활동을 통한 환경교육의 이해 수준을 높이고, 향후 환경교육 활성화 기반 구축에 기초를 제공하여 현장에 반영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는 바이다. 첫째, 환경 동아리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장기간 학생들의 동아리 활동 내 자기주도학습과정을 참여 관찰하고 여러 회의 인터뷰로 심도 깊은 데이터를 수집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위의 연구를 바탕으로 환경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환경 동아리의 지원에 관한 구체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지도 자료의 보급과 학교에서의 공간마련, 조언자로써 지도교사와의 연계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체계적으로 환경교육에 이바지 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환경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