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민주-
dc.contributor.author현선이-
dc.creator현선이-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35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35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1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8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128-
dc.description.abstractL'objetif de notre étude est de vérifier si la dictée est une méthode efficace pour améliorer la compétence en compréhension écrite des apprenants du niveau A1-A2. S'il est généralement admis que la dictée a un rapport très fort avec la compréhension orale, nous avons voulu éclairer que la dictée jouait également un rôle très important dans l'apprentissage de la compréhension écirte et ceci, surtout chez les apprenants A1-A2. Nous avons établi trois questions pour orienter notre étude : 1) Est-ce que la dictée est une activité pertinente pour améliorer la compétence en compréhension écrite? 2) Lors des activités de la dictée, quels types d'erreurs est-ce que les apprenants A1-A2 comettent le plus et quelle évolution peut-on y voir? 3) Est-ce que les activités régulières de la dictée jouent un rôle à attirer les intérêts des apprenants pour l'apprentissage du français? Pour répondre à ces trois questions, nous avons mené une expérimentation des activités de la dictée pour un semestre auprès des étudiantes de deuxième année divisées en deux groupes qui suivent le même type de cours de grammaire avec le même professeur. Les conditions d'apprentissage de deux groupes sont identiques. Nous avons donc choisi le premier groupe de 25 étudiantes pour l'expérimentation. Et l'autre groupe de 24 étudiantes pour le groupe de contrôle. Avant de commencer les activités de la dictée, nous avons d'abord effectué un pré- questionnaire et un test de compréhension écrite avec un texte court et facile pour tout le monde dont le résultat nous a montré l'homogénéité incroyable de ces deux groupes. Ensuite, nous avons procédé pour le groupe d'expérimentation la dictée de 8 séances (une fois par semaine) toujours au début de chaque cours. Après avoir terminé ces 8 séances, nous avons fait pour les deux groupes deux tests de comprénsion écrite avec deux textes à différents niveaux pour comparer et vérifier le progrès des apprenants. Et pour compléter notre enquête, nous avons effectué un post questionnaire pour le groupe d'expérimentation. Voici les résultats de l'expérimentation. Premièmement, les dictées exécutées n’ont pas donné un résultat bien significatif mais pourtant positif pour la compétence en comprénsion écirte. Deuxièmement, nous avons découvert que les erreurs les plus fréquemment commises par les apprenants sont les petites erreurs concernant sur les accords du genre et du nombre ou les erreurs d'orthographe. Selon le post-questionnaire, beaucoup d'étudiants ont admis que la dictée leur a aidé à améliorer le français. Pendant 8 séances de dictée, si le nombre total d'erreurs sont maintenues, la quantité d'erreur concernant les morceaux fondamentaux a beaucoup réduit. Vu que le niveau de difficulté de la dictée a augmenté chaque séance, cela peut se traduire que les apprenants ont fait du progrès. Troisièmement, la dictiée régulièrement effectuée a attiré l'intérêt et encouragé les apprenants de travailler le français. Ce changement est exprimé dans les réponses du post-questionnaire. D'après notre étude, s'il n'est pas facile de constater le rôle important de la dictée pour améliorer la compréhension écrite, nous nous contentons pourtant de voir du progrès des apprenants de ne plus commettre les mêmes types d'erreurs et de trouver une sorte de stratégie d'analogie pour comprendre le texte. Cela veut dire que les activités régulières de la dictée ont joué le rôle important à développer la conceptualisation dans le mécanisme d'apprentissage chez les apprenants du niveau A1-A2 pour mieux comprendre le texte.;세계화 시대에 더불어 외국어 학습의 중요성은 점차 확대되어가고 있다. 우리는 외국어를 사용함에 있어서 가능하면 유창하게 그리고 정확성을 가지고 사용하도록 권장하며 노력하고 있다. 학습자들은 다양한 목적으로 외국어를 학습하고 있으나, 한국에서의 교육 환경을 살펴보았을 때 프랑스어는 타 외국어에 비해 실생활에서의 사용과 연습 등이 어렵다는 제약을 받기에 자연스럽게 숙달하기 어려운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본 연구자는 이 안타까운 현실적 고민을 해결해보고자, 통합적 능력을 신장시켜주는 받아쓰기 교수-학습법이 한국의 교육적 여건과 시간 제약 그리고 학생들의 심리적 부담감 등을 고려했을 때 교육적 효과가 탁월하지 않을까 생각해보았다. 그리하여 받아쓰기 활동을 통한 독해력 향상 및 학습 흥미도 와 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를 시작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받아쓰기 교수-학습법을 이용하여 초.중급 프랑스어 학습자들의 프랑스어 사용의 정확성을 길러줌과 동시에 그에 따른 독해력을 길러주는데 효과적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프랑스어에 대한 초기 학습법이 근본적으로 학습의 흥미나 동기부여적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인 만큼 연구자는 받아쓰기 교수-학습법을 활용하여 교수 자에게는 체계적이며 검증된 교수 방법을, 학생들에게는 쉽고 효과적인 학습 방향을 제시해주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 2학년을 대상으로 실험을 시행하였다. 실험 집단 학생 25명에게는 실험 전 설문 조사, 실험 전 독해 A, 8회 차의 받아쓰기, 실험 후 독해 B와 C, 그리고 실험 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통제 집단 학생 25명에게는 실험 전 설문 조사, 실험 전 독해 A, 그리고 실험 후 독해 B와 C만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통제 집단을 제외한 실험 집단 학생들에게만 한 학기 동안 8회 차의 받아쓰기를 실시하여, 두 집단 간의 독해력 향상을 비교하여 보았으며, 실험 후 설문 조사를 통해 받아쓰기에 대한 견해 및 학습 흥미도 변화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받아쓰기 활동이 프랑스어 초.중급 학습자의 독해력 향상에 적지만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 비교적 난이도가 낮으면서 동일 수준의 테스트인 독해 A와 독해 B만을 통해서 독해력 향상을 가시적으로 확인하기는 어려웠으나, 독해 A와 독해 C를 통해서는 두 집단의 독해력과 학습 태도 등의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두 집단을 비교하자면, 실험 집단은 어휘를 모르는 경우 그 어휘 자체에만 빈칸을 두거나 문맥을 유추하여 해석하려고 시도를 하는 반면, 통제 집단은 문장 전체를 빈칸으로 둔 경우가 많았다. 독해 C 분석 결과를 통해, 우리는 통제 집단의 학생들이 긴 문장을 해석하는데 더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전반적인 문장을 이해하는 능력 또한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물론 두 집단 간의 실력 편차가 크게 나타난 것은 아니 였 으 나, 조금의 차이를 확인 할 수는 있었다. 둘째, 받아쓰기를 통해 초.중급 학습자들이 주로 범하는 오류는 프랑스어라는 언어적 특징상 성 수 일치에 따른 사소한 철자 및 부호에서 많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아직 초.중급 학습자였던 만큼 학습자들이 범한 오류의 종류가 다양하여, 단 하나의 종류로 구분 짓기는 어려웠다. 또한 받아쓰기 회 차가 거듭될수록 학습자들의 오류 개수가 감소하는 것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 현상은 받아쓰기가 진행될 수록 문항 구성의 난이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해석해보았다. 긍정적 변화로는 난이도 상향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동일 수준을 유지하였던 점을 감안한다면, 학습의 정도가 향상되었다고 진단해볼 수 있다. 덧붙여, 이전에 범하였던 오류는 반복해서 범하지 않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오류 교정을 통하여 실질적인 학습 효과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지속적인 받아쓰기 활동이 초.중급 학습자들의 흥미 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 변화는 실험 집단에게 실시한 실험 후 설문지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받아쓰기가 본인의 불어학습에도 도움이 되었으며, 이를 향후 본인들의 학습에서도 활용할 계획으로 이어졌다. 받아쓰기를 통해 절반 이상의 학생들이 프랑스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가 높아졌다고 응답하였으며, 복습 효과까지 가져다 주었다고 하였다. 이 결과는 받아쓰기 활동이 프랑스어의 사용에 정확성을 길러주게 되어, 실제 학습의 효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받아쓰기 활동이 실험 분석 결과에서는 뚜렷한 독해력 향상을 보였다고 확인하기는 어려웠으나, 적게나마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오류 분석 결과, 이전에 범하였던 오류는 다시 범하지 않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이미 알고 있는 문법적 지식일지라도, 학생들이 받아쓰기 하면서 오류를 범하고 스스로 교정하는 과정을 통하여 실질적인 학습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지속적 받아쓰기 활동이 프랑스어 사용의 정확성을 길러 주었을 뿐만 아니라 학습의 진척도 또한 확인하게 되어, 학생들의 흥미 도에까지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받아쓰기 활동은 학습자의 언어 습득 및 고정, 그리고 복습 효과를 주며, 더 나아가서는 흥미 도에도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상으로 교수 자는 학생들에게 지속적, 체계적 그리고 장기적 받아쓰기 활동을 제공해 줌으로서, 초.중급 학습자들이 단기간에 독해력 향상 및 다음 단계로 도약할 수 있도록 해 주고, 프랑스어에 흥미를 잃지 않고 꾸준히 학습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2. 연구 내용 2 1.3. 연구의 제한점 2 1.4. 선행연구 3 제2장 이론적 배경 5 2.1. 받아쓰기에 관한 이론적 접근 5 2.1.1. 받아쓰기의 정의 5 2.1.2. 받아쓰기의 유형 8 2.1.3. 받아쓰기의 진행 방법 11 2.1.4. 받아쓰기의 교육적 효과 13 2.2. 독해에 관한 이론적 접근 16 2.2.1 독해의 개념 17 2.2.2.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독해의 중요성 18 2.2.3. 받아쓰기와 독해 간의 상관관계 19 2.3. 오류에 관한 이론적 접근 20 2.3.1. 오류의 정의 20 2.3.2. 오류 발생 원인에 따른 구분 22 2.3.3. 오류의 언어 영역별 분류 24 2.3.4. 오류분석의 교육적 효과 25 2.4. 흥미도에 관한 이론적 접근 26 제3장 연구 설계 및 방법 28 3.1. 실험 조건 28 3.1.1. 실험 기간 및 학습자 구성 28 3.1.2. 받아쓰기 실험 자료 구성 30 3.2. 실험 진행 방법 32 3.2.1. 실험 전 및 실험 후 설문 33 3.2.2. 실험 전 및 실험 후 테스트 36 3.2.3. 받아쓰기 진행 방법 38 제4장 실험 결과 분석 및 해석 39 4.1. 실험 전 설문지 결과 분석 및 해석 39 4.2. 실험 전 독해 A 결과 분석 및 해석 49 4.2.1. 독해 A - 실험 집단 52 4.2.2. 독해 A - 통제 집단 57 4.3. 받아쓰기 결과 분석 및 해석 62 4.3.1. 1회차 받아쓰기 65 4.3.2. 2회차 받아쓰기 67 4.3.3. 3회차 받아쓰기 69 4.3.4. 4회차 받아쓰기 71 4.3.5. 5회차 받아쓰기 74 4.3.6. 6회차 받아쓰기 76 4.3.7. 7회차 받아쓰기 79 4.3.8. 8회차 받아쓰기 81 4.3.9. 받아쓰기 오류에 따른 학생의 구분 : 상, 중, 하 85 4.4. 실험 후 독해 B, C 결과 분석 및 해석 88 4.4.1. 독해 B - 실험 집단 90 4.4.2. 독해 B - 통제 집단 92 4.4.3. 독해 C - 실험 집단 97 4.4.4. 독해 C - 통제 집단 101 4.5. 실험 후 설문지 결과 분석 및 해석 105 제5장 결론 및 제언 110 참고문헌 113 RE'SUME' EN FRANC¸AIS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244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프랑스어 받아쓰기를 통한 독해력 향상 및 학습 흥미도 변화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성인 초.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Étude sur l'efficacité de la dictée pour la compréhesion écrite et l'intérêt des apprenants : pour le public d'adultes (niveau A1-A2)-
dc.creator.othernameHyun, Sunny-
dc.format.pagevi, 11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불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불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