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9 Download: 0

어린이 디자인교육 프로세스를 통한 주제중심 교육콘텐츠 개발

Title
어린이 디자인교육 프로세스를 통한 주제중심 교육콘텐츠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Topic-based Education Contents through Design Education Process for Children: With an Emphasis on the Third and Four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Authors
박윤희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희
Abstract
우리는 정보와 지식이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사회에 살고 있다. 사회현상들이 복잡하고 다양하게 변화될수록 인간은 직면한 여러 가지 문제를 하나로 통합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러한 사회 현상 속에서 단편적인 개별 지식으로는 사회에 적응할 수 없다. 때문에 체계적인교육을 접하게 되는 초등교육과정에서부터 창의적이고 통합적 사고를 위한 교육방법이 필요하다고 본다. 현재 우리나라의 초등교육의 현황을 살펴보면 제7차 교육과정에서 국민공통 기본 교육, 수준별 교육과정, 통합교육 등의 열린 교육으로서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실질적인 학교 교육 현장에서는 아직도 정형화된 교과서를 중심으로 획일적이고 주입식인 교수방법으로 교육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제7차 초등교육과정에서 보이는 문제점을 교수-학습 측면의 내용, 구성, 방법을 중심으로 해결안을 제안하기 위해 ‘디자인을 통한 교육’을 배경에 두고 초등학교 어린이 개인 수준의 다양성을 추구하며, 자율성과 창의성을 실현하는 주제중심통합학습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한 콘텐츠를 수업에 적용한 후 그것이 아동의 학습흥미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실험 대상은 서울 서대문구 소재 초등학교 3, 4학년(11명)의 어린이로 구성되었고 300분 2주간 총 2번에 걸쳐 연구자가 개발한 콘텐츠를 적용하여 실험하였으며, 실험에 참가한 어린이와 교육전문가 3인을 대상으로 사후 검사를 질적 측정을 하였다. 교육전문가로는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전공 박사과정, 성균관대학교 디자인전공 박사과정, 이화부속초등학교 미술교사, 3인으로 이루어 졌다. 연구결과 실험에 참가한 어린이들의 경우 학습 초기엔 평이한 반응만 있을 뿐 두드러지게 흥미로운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학습의 후반부로 갈수록 수업 내용과 활동 과정 중에서 배우고, 생각한 점을 구체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문가3인의 질적 분석 결과, 디자인을 통하여 여러 과목과 접목을 시도하여 학습을 진행함으로서 활동 위주의 수업이 되고 어린이의 특성상 수업 흥미도와 참여도가 높아져 학습동기도 높아지는 확률에 대한 긍정 답변도 있었지만, 실제 수업에서의 교육적 효과, 어린이의 개인적 편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과 수업의 평가방법, 교사의 자질에 대한 현실적인 대안과 그 적합성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결론적으로 디자인을 통한 주제중심수업콘텐츠가 어린이의 학습동기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이 확인 되었으나 짧은 기간에 이루어진 연구 결과이기에 본 논문을 계기로 장기간에 걸친 치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며, 좀 더 다양한 과목으로 통합이 모색되었을 때 재량수업을 거쳐 정규과정의 학습프로그램으로서 실질적 수업에 그 효과성이 커질 것이라고 예상된다. ;We are living in a society where information and knowledge increase so fast. As social phenomena become complex and change more variously, men would show a more prominent tendency to integrate various problems into one. Under these social circumstances, we cannot adjust to the society only with fragmented and individual knowledge. Hence, we would need education for creative and integrative ways of thoughts from elementary school education where children would experience systemic education. As for the status of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education in Korea, the 7th educational course shows a characteristic of open education such as basic education commonly applied to all, by-level educational courses, and integrated education. However, on-site school education provides uniform and cramming methods of teaching based on standardized textbooks. This study developed topic-based integrated learning contents that promote individual divers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realize spontaneousness and creativeness with the 'education through design' as the background to solve problems shown in the 7th elementary school education course with ideas of the teaching-learning contents, composition, and methods. Also the study aimed to verify the impact of the developed contents on children's interest to learn and results after application of the contents. The subject of this study included the third and fourth grade children (11 samples) from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daemun-gu, Seoul. The 300-minute-long content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ere applied twice over two weeks. Ex-post verification took place qualitatively for children and three education experts who took part in the experiment. The three education experts were composed of a Ph.D student majoring in infant education from Ewha Woman's University, a Ph.D student majoring in design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and an art teacher working for the elementary school attached to Ewha Woman's University. Based on the results, at the beginning, children who took part in the experiment showed only common responses rather than particularly interested ones. However, at the latter part of learning, children concretely responded to what they have learned and thought in classes and activities.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es of three experts, there were positive answers as to the probability that classes become oriented in activities and children's motivation to learn increase based on improved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children's learning as various subjects were integrated through design. However, there were problems as to educational effects of actual classes, methods to decrease individual differences among children and to evaluate classes, realistic alternatives to teachers' aptitude, and its feasibility. In conclusion, topic-based contents through design positively affected children's motivation to learn. But the study took place over a short period of time. So more thorough and long-term studies will be necessary after this paper. When the integration of more various subjects is pursued, the effect of substantial classes as regular learning programs, after the process of discretionary classes, is likely to increa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