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희-
dc.contributor.author이승구-
dc.creator이승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7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7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8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791-
dc.description.abstract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classwide peer tutoring on the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s and achievement at an inclusive elementary clas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 located in Seoul, from which one inclusive class (with 31 students) was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single class (with 31 students) was assigned to be the control group. The research was conducted over the course of 16 sessions, and the changes in the dependent variable were measured through testing of the students’ learning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the conduct of examinations of academic achievements in mathematics which was designed by the researcher, prior to and after the classwide peer tutoring.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learning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between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experienced the classwide peer tutoring in the mathematics subject and those in the control group, an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conducted using the pre-testing scores in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s and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s the covariate variable.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changes in the learning attitude toward mathematics compared between the student with a dis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classwide peer tutoring and the student with a disability in the control group which did not participate, the points of the test results measuring the learning attitude toward mathema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collected. Also, to confirm whether classwide peer tutoring in mathematics exercises an influ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for the student with a disability, the points earned by the student with a disability through performance on the study materials were collected at each session to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exis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arning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demonstrated respectively by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classwide peer tutoring in mathematics, and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control group which did not participate in the classwide peer tutoring in mathematics. Secondly, the student with a dis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classwide peer tutoring in mathematics received higher scores in all sub-fields of the test on learning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when compared to the student with a disability in the control group which was not exposed to classwide peer tutoring in mathematics. Thirdly, although there did not exis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between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which the classwide peer tutoring in mathematics was conducted and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control group in which the classwide peer tutoring in mathematics was not conducted, the results of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corrected average of points earned by the experimental group was 82.58, which was higher than the corrected average of 77.70 points obtained by the control group. Fourthly, the student with a disability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wide peer tutoring exhibited improvements at each session in their points earned on study materials in mathematics. This study has verified that classwide peer tutoring in the mathematics subject is a useful teaching strategy in elementary level inclusive classes. Also, this activity instilled confidence and interest in mathematics among the students of the inclusive class as well as making a positive impact on friend relationships, and it was meaningful in that the classwide peer tutoring was applied within the current educational curriculum.;최근 교육 현장에서는 통합교육이 점차 강화되고 있으나 장애학생을 통합교육 상황에 배치하는 것으로 우리나라 통합교육의 질이나 위상이 높아졌다고 말할 수는 없다. 오히려 통합교육 상황에 장애학생을 배치하는 것은 장애학생을 ‘교수의 사각지대’에 놓이게 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실제로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초등 특수교사들은 통합교육의 효과로 장애학생의 사회성과 언어 및 의사소통에서의 발달을 꼽았고 교과 학습 발달이라는 응답은 미미했다. 이것은 통합교육 상황에서 교수의 질적 측면의 노력 없이 물리적 통합만으로는 통합교육이 장애학생의 교과 및 학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없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제는 장애학생이 통합되어 있는지, 아닌지 여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통합교육 상황 안에서 사회적 통합과 교수적 통합을 이루어야 한다는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이 속한 통합학급에서 교과목들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것이다. 많은 선행연구들은 이질적 집단이 모여 있는 통합교육 상황에서 유용한 교수 전략으로 학급차원 또래교수를 들고 있고 다양한 교과목에서의 효과를 보고하고 있다. 수학은 학생들이 가장 싫어하는 교과목 중 하나로 기계적인 문제풀이식의 학습을 통해 ‘지루하다, 어렵다’라는 인식이 팽배해 있고 학생들이 수학을 학습하는데 있어서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이 낮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학급차원 또래교수를 통해 학생들이 수학을 좀 더 재미있고 친근하게 접할 수 있도록 수학 학습태도와 수학 학업성취도를 종속변인으로 선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과 학급차원 또래교수가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수학 학습태도와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는 서울 A 초등학교 4학년 통합학급 한 반이 실험집단으로, 다른 통합학급 한 반이 통제집단으로 참여하였다. 종속변인의 변화는 수학 학습태도 검사, 연구자가 제작한 수학 학업성취도 사전, 사후검사 및 수학 학습자료를 통해 측정하였다. 수학과 학급차원 또래교수를 실시한 실험집단 비장애학생과 통제집단 비장애학생의 수학 학습태도와 수학 학업성취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학 학습태도와 수학 학업성취도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수학과 학급차원 또래교수를 실시한 실험집단 장애학생과 통제집단 장애학생의 수학 학습태도에 나타난 변화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 장애학생과 통제집단 장애학생의 수학 학습태도 사전, 사후검사 점수를 수집하였고 수학과 학급차원 또래교수가 장애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장애학생의 매 회기 수학 학습자료 점수를 수집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과 학급차원 또래교수를 실시한 실험집단 비장애학생과 수학과 학급차원 또래교수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비장애학생은 수학 학습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수학과 학급차원 또래교수를 실시한 실험집단 장애학생은 수학과 학급차원 또래교수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장애학생에 비해 수학 학습태도 검사의 모든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셋째, 수학과 학급차원 또래교수를 실시한 실험집단 비장애학생과 수학과 학급차원 또래교수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비장애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를 비교한 결과, 기술통계상으로는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높았지만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학급차원 또래교수에 참여한 장애학생의 수학 학습자료 점수는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학급차원 또래교수가 초등 통합학급에서 유용한 교수 전략임을 입증하였다. 또 통합학급 학생들에게 수학에 있어서 자신감과 흥미를 심어주었고 친구관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현 교육과정 안에서 학급차원 또래교수를 적용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용어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6 A. 학급차원 또래교수의 개관 및 효과 6 B. 학급차원 또래교수가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태도와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15 Ⅲ. 연구방법 18 A. 연구 참여자 18 B. 연구 기간 및 장소 22 C. 독립변인: 수학과 학급차원 또래교수 22 D. 종속변인 28 E. 실험 설계 및 절차 30 F. 중재 충실도 및 사회적 타당도 33 G. 자료 수집 및 자료 처리 36 Ⅳ. 연구결과 38 A. 수학과 학급차원 또래교수가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수학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38 B. 수학과 학급차원 또래교수가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48 Ⅴ. 논의 및 제언 52 A. 논의 52 B. 연구의 제한점 57 C.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58 참고문헌 60 부록 66 ABSTRACT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059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수학과 학급차원 또래교수가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수학 학습태도와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Classwide Peer Tutoring on the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s and Achievement at an Inclusive Elementary Class-
dc.creator.othernameLee, Seung Gu-
dc.format.pagex,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