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8 Download: 0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부모의 학습관여행동, 공격성 간의 관계

Title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부모의 학습관여행동, 공격성 간의 관계
Other Titles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Academic Stress,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Behavior and Aggression
Authors
이지영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방희정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대부분의 가정이 한․두 명의 자녀에게 관심을 집중하게 되면서 학업에 대한 부모의 관심이 아동에게 심리적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부모의 학습관여 행동, 아동의 공격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부모의 학습관여행동, 공격성에서 성차 및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부모의 학습관여 행동이 공격성에 어떤 설명력을 갖는지 공격성의 하위 변인별로 알아보는데 있다. 특히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공격성의 관계에서 부모의 긍정적 학습 관여행동 및 부정적 학습관여행동이 조절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소재하는 S초등학교 5․6학년 아동 32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부모의 학습관여행동, 공격성에서 남녀 차이를 비교한 결과, 아동의 학업스트레스는 남자, 여자 모두 비슷한 수준이었고, 부모의 학습관여행동 또한 남자, 여자 모두 비슷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긍정적인 학습관여행동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약간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공격성은 하위요인 중 신체적 공격성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공격적인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적의성과 언어적 공격성, 의심, 분노는 남자, 여자 모두 비슷한 성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학습관여행동과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및 공격성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모의 긍정적 학습관여행동과 학업스트레스, 긍정적 관여행동과 공격성 간에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부모의 긍정적 학습관여행동인 자녀학습방식존중 및 학습정보제공․조언이 높을수록 학업스트레스와 공격성이 낮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자녀학습방식존중이 높을수록 공격성의 하위요인 중 신체적 공격성, 적의성, 분노가 낮음을 알 수 있다. 부정적 학습관여행동인 학업성과 압력은 학업스트레스, 공격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데 이는 학업성과 압력이 높을수록 학업스트레스와 공격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아동의 학업스트레스가 공격성을 얼마나 잘 예측해 줄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아동의 학업스트레스를 예측변인으로 하고 공격성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아동의 학업스트레스는 아동의 공격성 하위요인 모두에 대해 정적인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특히 공격성 가운데 적의성의 경우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부모의 긍정적 학습관여행동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의 학업스트레스로 인해 유발되는 아동의 공격성 중 적의성에 부모의 긍정적 학습관여행동이 조절 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공격성의 나머지 하위 요인들에서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학업스트레스와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부모가 관여하는 학습 환경의 특성을 넘어서서 개인 내적인 요인이 설명력을 갖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업스트레스와 부모의 학습관여행동에서 오는 스트레스 변인을 연구하여 학교 현장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우발적인 공격행동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부모의 학습관여행동을 찾고자 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초등학교 고학년 역시 거의 전적으로 부모에 의해 영향을 받는 발달 시기라는 점에서 아동의 공격성을 유발하는 학업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부모가 제공하는 학습 환경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요구된다. 그러나 가정 내 변인만으로 초등학교 아동들이 겪고 있는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를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현실적으로 과중한 학업 부담과 진로에 대한 심리적 스트레스 자체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결국 본 연구 결과는 입시위주의 교육 현실, 경쟁을 유발하는 학업 성취에 대한 부담과 압박을 주는 학습 환경에 대한 대안이 초등학교 시기부터 체계적으로 마련되어져야함을 시사해 준다.;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rrelation and sexual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academic stress and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behavior and aggression and whether children’s academic stress and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behavior exert any explanatory power upon aggression by the subvariables of aggression. In particular, it attempts to verify if parents’ positive or negative learning involvement behavior has moderating effects upon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academic stress and aggression.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326 fifth and sixth graders attending S Elementary School, this researcher’s workplace, located in Jeongja-dong, Bundang-gu of Seongnam-si, Gyeonggi-do,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them by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were calculated to analyze the study questions, t-test was conducted to figure out sexual differences of each variable, and multiple regression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s’ positive or negative learning involvement behavior upon academic stress and aggression. The followings show the summary of chief results by study questions. Firs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essure on academic performance and academic stress and between pressure on academic performance and aggression; that is, as pressure on academic performance gets higher, academic stress and aggression become higher, too.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behavior and children’s academic stress and aggression, learning information provision/advice and academic stress indicated a negative correlation, and learning information provision/advice and aggress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oo. In other words, as respect for children’s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information provision/advice get higher, academic stress and aggression become lower. And particularly, it was also found that as respect for children’s learning styles increases, physical aggression, hostility, and anger among the subvariables of aggression decrease.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ing sexual differences between children’s academic stress,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behavior, and aggression by t-test, it was shown that children’s academic stress was similar in boys and girls, and the boys and girls recognized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similarly. However, girls perceived positive learning involvement behavior slightly more than boys while boys recognized negative learning involvement behavior slightly more than girls,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n order to examine how well children’s academic stress predicts aggression,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by taking children’s academic stress as a predictive variable and aggression as a dependent variable. Children’s academic stress exerted positive influence upon all the subvariables of children’s aggr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teractive effects of children’s academic stress and parents’ positive learning involvement were significant even after chief effects were controlled. It was shown that in the interactive effects of children’s academic stress and parents’ positive learning involvement, it indicated effects upon hostility. In other words, it can be inferred that parents’ positive learning involvement shows moderating effects upon hostility among the subvariables of children’s aggression induced by children’s academic stress. However, it was hard to find its moderating effects upon most of the subvariables, and this seems to be because academic stress and aggression are more greatly affected by their own thought and strength and are resulted from intrinsic factors more than environmental influence. This study aims to help find student and parent variables affecting aggression because as early education is being excessively expanded in Korea, only the aspect of cognitive development in childhood tends to be too much emphasized, and this raises the voice of concern over children’s aggression resulted from it. Although many studies have dealt wi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up to now, this study limits its subjects to elementary school fifth and sixth graders and examines stress variables resulted from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behavior and the academic stress of elementary school higher graders who are more greatly affected by their parents. Thus,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suggestions for variables affecting aggression of elementary school higher grad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