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현-
dc.contributor.author진선영-
dc.creator진선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2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7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8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778-
dc.description.abstract한국 대중연애서사를 사랑의 양상과 의미에 따라 사적으로 구분하고 구체적 분석의 항목으로 사회적, 문학적, 심리학적 통찰을 시도한 본 논문은 대중문학 연구를 위한 분석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는 대중문학 연구의 산발적 노력을 종합하고 대중문학 텍스트를 재편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대중문학사를 작성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본 연구에서 논의의 중심이 되는 대중연애서사는 남녀 간의 사랑의 담론이 여타 권력과 사회적 특수성과 결합, 대결하면서 당대적 주체를 형성하는 일련의 서사를 말한다. 대중연애서사를 분석하기 위한 ‘다관점적 해석학’은 대중서사의 내ㆍ외적 조건을 역사적이고 미학적인 방법으로 설명한다. 사랑을 사회를 이해하는 방법적 고안물로 해석한 사회학적 이론을 중심으로 사랑의 사회ㆍ역사적 구성물로서의 성격을 확인해 보고, 각 시대별로 변화되는 사랑의 양상이 사회의 가변적 코드로서 특수한 내적 규율과 역사적 특수성의 결과임에 집중한다. 시대별로 변화되는 사랑의 양상이 변별되는 내적 속성과 사회의 구조 변동으로 특정한 이데올로기를 내포한다면 방법론의 다른 한 축을 형성하는 미학적 측면에 대한 고찰은 연애서사의 구조적 공식성과 수용미학 이론에 기대어 살펴보았다. 대중연애서사의 구조적 공식으로 멜로드라마와 로망스, 성장소설의 구조를 선별하였다. 공식이 서사적 측면에서 등장인물과 플롯을 형성하는 원리라면 대중성의 측면에서는 독자들과 공감대를 구축하는 근거가 된다. 독자들은 텍스트의 미학을 현실적 경험과 가치, 도덕율에 따라 ‘대중적 판별’로 전회시키는데 이러한 판단은 일정한 태도로 드러나게 된다. 이처럼 대중연애서사의 이데올로기와 미학을 각 시대별로 변화되는 사랑의 양상과 그 의미에 집중하는 것은 사랑을 통해 당대 인간들의 자기 이해와 세계관, 역사 규정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해 방식은 ‘사랑하기’가 어떠한 역사적 주체 형성에 도모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랑’은 이렇게 당시의 시대적 특수성과 부합하여 그에 적합한 ‘인간학’을 만들어 낸다. Ⅱ장에서는 1930년대 후반기 대중연애서사에 집중하였다. 1930년대 대중연애서사는 정신적 사랑의 절대성, 육체적 사랑에 대한 거부, 순정화, 대중을 위한 개인의 헌신 등을 통해 이상주의적 사랑의 경향을 드러낸다. 숭고한 사랑을 실천하는 서사주체는 성모, 예수, 보살 등의 종교적 인물로 등치되고 즉흥적인 충동과 거리가 먼 고도로 이상적인 비전(아가페적 사랑)을 따른다. 옳고 그름과 선악에 대한 명확한 이분은 멜로드라마적 공식성을 통해 구현됨으로써 인과응보(因果應報)라는 당위적 가치를 실현시키는 도덕적 우화의 성격을 지닌다. 우상적 주체들의 헌신적이고 희생적인 사랑의 태도는 심미주체로 하여금 숭고함을 미감케 한다. 수용주체들은 서사주체의 행위를 모범으로 규정하고 자신들의 역할에 행위모델로 삼게 된다. 도덕적 주체들의 이상적 행위는 당대의 독자들에게 자신들이 나아가야 할 바를 제시하는 모범적 행위이기에 1930년대 대중연애서사는 연애소설이면서 계몽적 교육소설로 역할하게 된다. Ⅲ장에서는 대중문학의 공과(功過)를 동시에 보여주는 전후 시기 대중연애서사를 중심으로 열정적 사랑의 모순성과 이로 인해 배태되는 역설적 주체를 고찰하였다. 1950년대 대중연애서사는 열정의 능동적ㆍ수동적 성격을 동시에 갖는 이중적 인물을 서사에 전면에 배치한다. 내용을 구조화하는 공식적 측면에서 볼 때 분리-입문-회귀의 로망tm적 모험구조는 일탈-전락-회개의 편력으로 서사화 됨으로써 서사주체의 행위는 희극과의 근접성 속에서 도덕적으로 마무리된다. 전후 대중소설은 연애를 핵심 소재로 수용하여 전쟁 후 고단한 일상을 살아가는 독자들에게 즐거움과 재미를 주었다. 즐거움은 독자들에게 풍속의 문화 산물을 통해 소비되고 적극적 쾌활과 현대적 명랑을 선보이는 서사주체에 의해 수용주체에게 향유된다. 하지만 수용주체가 현실의 삶에 대해 긍정하고 도덕적 가치를 수호하기 위해서는 서사주체의 부정적 자극이 체험되어야 한다. 당대 독자들은 양가적 주체의 에로스적 사랑을 통해 즐거움을 느끼지만 그들의 행위를 비판하고 감계함으로써 또다른 역설을 발생시킨다. Ⅳ장은 대중문화의 성장 속에서 대중연애서사가 폭발적 인기를 누렸던 산업화 시기를 고찰하였다. 1970년대 대중연애서사에서 전면화되는 낭만적 사랑은 자기 반성적 개인의 새로운 세계와 둘이 하나가 되는 상호 지향성을 통해 새로운 주체 형성의 계기를 마련한다. 낭만적 사랑을 수행하는 주체는 반성적 자의식을 지닌 주체로 개인적 자아의 성장을, 이전 세대의 문화 이념과 가치에 대한 반성과 지향을 꾀한다는 점에서 성장의 형식을 갖는다. 1970년대 개발이 불러들인 욕망의 폭발과 그 패망을 동시대에 경험한 대중독자들은 난폭한 성장의 신화 속에서 그 속도감을 정지시키고 삶의 실패를 무화시켜버리는 유순한 누이같은 서사주체를 통해 일상을 위로받는다. 멜랑콜리가 진정으로 추구하는 것은 상실된 대상이 아니라 그 대상의 부재이며 이 대상이 현존하지 않는 한 독자들은 자신의 죄를 면죄 받을 수 있게 된다. 혁신의 신화 속에서 자발적 희생양은 사회적 폭력을 미화하며 신성화된다. 대중독자들은 정화의식을 통해 부끄러움과 죄의식을 털어 버리고 성장의 이념으로 편입된다. 본고는 대중연애서사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전성기를 이루었던 시기를 중심으로 연애서사의 인기를 가능하게 했던 당대적 사랑의 양상과 의미를 사적으로 고찰하였다. 서사 속에서 사랑하고 성장하고 소멸하는 문학주체는 그들에게 공감하거나 반감하는 수용주체에게 선망과 경계의 대상이 됨으로써 당대에 적합한 사랑을 산출한다. 이때의 사랑은 기능적이며 효용적이다. 사랑을 이상화, 열정화, 낭만화 하는 문학적 표현들은 그 주제들과 관념들을 우발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당시의 사회와 그 변화 추세에 반응한다. 따라서 각 시대의 사랑의 양상과 의미는 ‘사회구조’와 ‘사랑하기’의 연관관계를 통해 시대와 당대 주체를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길을 열어줄 수 있다.;This study that are classified Korea's most popular romance novel into meaningful analysis of specific topics of social, literary, and psychological insight is presented for the study of popular literature. It is the sporadic efforts to synthesize popular literature study. Through a comprehensive reorganization of the popular literature text, it's an effort to create a chronicle popular literature ultimately. In order to analyze the popular romance novel, 'Analysis of Multi-exclusive' describes popular literature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as its historic and aesthetic way. Based on the sociological theory which is love is the method to understand the social, this study focuses on that the change of the different form of love each time is the variable results of a special internal discipline and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 as a social code. If the love that has been changed by era involves specific ideology which is informed distinctive internal characteristic and changes in social structure, the consideration of an aesthetic form which is the other side of methodology is examined against the theory of structural formula and the aesthetics of reception in the narrative structure of romance. Through the structural formula of popular romance novel, melodrama, romance, and bildungsroman are selected in this study. If the formula is the fundamental principle to form characters and plots in the narrative side, in terms of popularity side is the basis for building a consensus with the reader. The reader change the aesthetic of the text to popular discrimination followed by practical experience, values, and morals. This kind of decision reveals to a certain attitude. The reason why ideology and aesthetic of public narrative focus on the meaning of love and changes each era is possible to understand self-understanding of the contemporary human world and the history throughout the love. In this way, 'Love' produces its appropriate humanics accord with a particularity of the times Chapter II focuses on the late 1930s' public romance narrative. 1930's popular romance novel revealed the tendency of idealistic love that contains the absoluteness of the living spiritual love, refusal of physical love, purity of love, and personal commitment for the public. The main character of action of sublime love becomes the religious figures such as Virgin, Jesus, and Buddha, and it follows high level of ideal vision(Agape). The crystal clear separation of two sides about right and wrong, and good and evil has the characteristic of moral fable to execute the value of the sollen through the melodramatic formulation. These idols' dedicated and sacrificial love presents a noble for the public. The reader stipulate main character's act to a role model, and adapt to their own role. In chapter III, contradiction of passionate love and its generated paradoxical character were investigated with focusing on the popular romance novel in the postwar period which showed the merits and demerits at the same time. 1950s' popular romance novel places dual character at first who has the active and passive of passion. In terms of a formula of structuring information, romance's adventure structure of separation-initation-return becomes narrative, and the action of main character is finished morally in the approaching the comedy. Popular romance novel in post-war period that carried a love as a core material gave pleasure and fun to all readers who were exhausted after the war. Pleasure is consumed and shared for the reader to cultural products by the main character who have enthusiastic sanguineness and modern brightness. But, to affirm everyday life and to protect the moral value for the reader, main character's negative stimulus should be experienced. The reader in that period feel pleasure through the Eros of paradoxical character, but that they criticize their action and are on their guard brings another paradox. In ChapterⅣ, industrialization period that popular romance novel was highly enjoyed in the growth of popular culture was investigated. Characters to perform a romantic love have a grown-up novel form in the point of a reflective self-consciousness about the previous generations' ideology and values and its aim. The readers who experienced the explosion of desire and the destruction that were brought 1970's industrial development were comforted with a main character such as benign sister who stops the pace of aggressive growth and neutralizes the false of life. The voluntary victims in rapid industrialization are sanctified to beautify social violence. Through the public ritual of purification, the reader shakes off the shame and guilt, and incorporates into the ideology of growth. In this study, the aspect of contemporary love and meaning that popular romance novel achieved popularity were discussed in private. Main characters who love, grow, and disappear in a novel make an adequate contemporary love in terms of becoming an object of envy and alert to the reader who feel sympathy or antipathy for them. At this time, love is the functional and effective. Literary expressions that idealize, passionate, and romanticize a love react not accidentally selecting subjects and concepts but contemporary society and changing trend. Therefore, the pattern of love and meaning in an every era can open a new path to understand the era and the main character in that period through the 'social structure' and 'love' relationshi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사 검토 및 문제 제기 1 B. 연구 목적 및 연구 방법 15 C. 연구 범위 및 연구 대상 45 Ⅱ. 이상적(理想的) 사랑과 도덕적 인간학 55 A. 우상적(偶像的) 주체와 아가페적 사랑 55 1. 성모의 재현과 멸사(滅私)의 희생정신 56 2. 예수의 부활과 기독교적 박애주의 61 3. 보살의 현신과 인류애적 자비심 66 B. 멜로드라마 구조와 권위적 종교소설 72 1. 돈과 사랑의 이분법과 악(惡)을 통한 악(惡)의 징벌 72 2. 애욕과 순정의 이분법과 피(血)의 희생을 통한 회개(悔改)의 원리 78 3. 이기와 이타의 이분법과 죄(罪)의 고백을 통한 절대정신의 숭배 83 C. 대중적 숭고(Popular sublime)와 과정적 모방(模倣) 효과 90 1. 낙관적 센티멘탈리즘과 도덕적 우화의 상찬(賞讚) 효과 91 2. 숭고와 비장의 결합과 정서적 감응의 실천(實踐) 효과 96 3. 신성가족의 거룩과 진화적 향상(向上) 효과 102 Ⅲ. 열정적(熱情的) 사랑과 역설적 인간학 108 A. 양가적 주체와 에로스적 사랑 108 1. 자유ㆍ부인의 유희적 사랑 110 2. 자인ㆍ졸렌의 도취적 자기애 115 3. 차일드ㆍ우먼의 그로테스크적 사랑 120 B. 모험소설의 구조와 희극적 난봉소설 126 1. 변형 편력 구조와 전후파 여성의 허영에 관한 세태 보고 126 2. 가족로망스와 생리와 윤리의 세대(世代) 투쟁 131 3. 탐색 여행과 패륜(悖倫) 모녀의 남성 쟁탈 136 C. 대중적 즐거움(Popular pleasure)과 대상적 우월감의 감계(鑑戒) 효과 143 1. 공모적 즐거움(Complicit pleasure)과 풍자적 태도의 저항(抵抗) 효과 144 2. 교양적 즐거움(Cultural pleasure)과 속물적 처세의 비판(批判) 효과 150 3. 육체적 즐거움(Jouissance)과 혐오적 존재의 폄시(貶視) 효과 155 Ⅳ. 낭만적(浪漫的) 사랑과 반성적 인간학 161 A. 인식적 주체와 플라토닉 사랑 161 1. 공범자 되기와 구원적(救援的) 사랑 162 2. 백치 되기와 허여적(許與的) 사랑 168 3. 각성자 되기와 평등적(平等的) 사랑 174 B. 성장소설의 구조와 비극적 순수소설 180 1. 남성 입사식(入社式) 구조와 자연주의적 비극의 재현 181 2. 여성 제의적 성장구조와 파시즘적 알레고리 187 3. 성장과 반성장의 대립구조와 가족 풍속의 와해 192 C. 대중적 멜랑콜리(Popular melancholy)와 자발적 희생의 정화(淨化) 효과 199 1. 공동체적 애도와 속죄양을 통한 면죄(免罪) 효과 200 2. 신화적 동경과 낭만적 환상의 초월(超越) 효과 204 3. 비판적 연민과 결락된 일상의 재인(再認) 효과 210 Ⅴ. 한국 대중연애서사의 사적 의미 217 Ⅵ. 결론 241 참고문헌 246 ABSTRACT 2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684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 대중연애서사의 이데올로기와 미학-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deology and Aesthetic of Popular Romance Novel in Korea-
dc.creator.othernameJin, Sun young-
dc.format.pagevii, 259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