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82 Download: 0

근대국어 형용사 연구

Title
근대국어 형용사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djectives in Early Modern Korean : With a focus on the vocabulary system and semantic relations
Authors
방영심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전혜영
Abstract
본고는 근대국어 형용사의 어휘 체계와 의미 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Ⅰ장에서는 근대국어 형용사 연구의 필요성과 ‘근대국어’에 해당하는 시기, 문헌 목록 등을 밝혔다. 본고에서의 근대국어 시기는 17세기~19세기(1884년)로 정하였다. 근대국어 형용사 목록은 『17세기 국어사전』,『우리말 큰 사전(4옛말과 이두)』, 『고어 사 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형용사 표제어를 추출하여 작성하였다. 또한 21세기세종계획에서 구축한 옛말 입력 자료 중 근대국어 시기에 간행된 문헌의 파일을 말뭉치로 구축하여 용례를 검색하는 데 사용하였다. Ⅱ장에서는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형용사의 유형 분류’와 ‘어휘 체계’, ‘의미 관계’ 등을 언급하였다. 형용사는 주어의 ‘속성’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서술어이다. ‘속성’과 ‘상태’는 주어의 자질에 따라 다시 ‘무정물의 속성’과 ‘유정물의 속성’으로 나눌 수 있다. ‘상태’도 ‘무정물의 상태’와 ‘유정물의 상태’로 나눌 수 있다. 유 정물과 무정물에 모두 사용되는 형용사는 기본 의미를 기준으로 하여 분류하였으며, 기본 의미에서 파생 의미로 확장되는 현상은 본문에서 각 형용사별로 기술하였다. 이와 같은 기준에 따라 분류하면 ‘무정물의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에는 ‘감각 형용사’와 ‘색채 형용사’가 있으며, ‘유정물의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에는 ‘성격 형용사’가 있다.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 중 ‘무정물의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에는 ‘형상 형용사’, ‘평가 형용사’가 있다. ‘유정물의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에는 유정물의 내면 상태를 나타내는 ‘정서 형용사’, 유정물의 외부 상태를 나타내는 ‘외모 형용사’가 있다. 어휘 체계에서는 ‘어종 체계’와 ‘의미 체계’에 대해 설명하였다. 근대국어 형용사는 어간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의 기원에 따라 ‘고유어’와 ‘혼 종 어’로 분류할 수 있다. 어간이 순수 고유어로만 이루어진 ‘검다’, ‘믉 다’, ‘가파라다’, ‘반듯하다’ 등은 고유어에 속하고, 어간이 ‘한자어+접사’로 이루어진 ‘密하다’, ‘可惜하다’, ‘可笑롭다’ 등은 혼 종 어에 속한다. 이와 같은 분류에 따라 고유어와 혼 종 어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고유어가 621개로 47.4%, 혼 종 어가 688개로 52.6%를 차지했다. 현대국어를 대상으로 한 어종 분석에서 형용사는 고유어 비율이 다른 품사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다. 그러나 근대국어 형용사의 어종 비율에서는 ‘한자+접사’인 혼 종 어가 절반을 차지하고 있어서 어종 체계가 현대국어 형용사와 상당히 다름을 알 수 있다. 근대국어 형용사 중 혼종어는 현대국어로 오면서 고유어에 비해 소멸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일음절 한자에 ‘-하-’가 결합한 ‘高하다’, ‘久하다’, ‘詭하다’, ‘多하다’, ‘短하다’, ‘大하다’, ‘慢하다’, ‘密 하 다’, ‘方하다’, ‘疎 하다’, ‘淸하다’, ‘黑하다’ 등과 같은 혼 종 어 들이 소멸의 길을 걷는다. 의미 체계에서는 형용사가 개별적,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관되어 있음을 설명하였다. 의미 관계에서는 어휘 소 간의 관계인 유의 관계와 반의 관계, 한 어휘 소 내부의 의미 간 관계인 다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였다. Ⅱ장에서 분류한 유형에 따라 Ⅲ장, Ⅳ장에서는 각 부류 별 형용사의 어휘 체계와 의미 관계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다. Ⅲ장에서는 속성 형용사의 어휘 체계와 의미 관계를 살펴보았다. 속성 형용사 중 감각 형용사는 ‘눈, 코, 귀, 혀, 살갗을 통하여 느끼는 바깥의 어떤 자극을 표현하는 형용사’이다. 어종 별로 살펴보면 혼 종 어 가 35개임에 반해 고유어는 94개로 나타나 혼 종 어 에 비해 고유어가 다양하게 발달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시각 형용사에는 ‘보하다/부희다’, ‘빈 나다’, ‘칙칙하다’, ‘훤하다’처럼 현대국어에서도 사용되는 형용사도 있지만 ‘녁 녁 하다’, ‘밤 의다’와 같이 현대국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형용사도 존재하였다. 청각 형용사는 시각 형용사에 비해 발달하지는 않았지만 ‘괴 요 하다’, ‘낭연 하다’, ‘훤텬 하다’와 같은 형용사가 ‘조용하고 시끄러운’ 정도를 표현하고 있는데, ‘시끄럽다’, ‘소란스럽다’와 같은 형용사는 아직 등장하지 않았다. 미각 형용사는 ‘달다’, ‘다’, ‘싀다,’ ‘다’, ‘다’, ‘다’, ‘늑지근다’, ‘흐믓하다’, ‘슴겁다’, ‘슴슴하다’, ‘들므쥬근하다’, ‘비리다’와 같은 어휘들이 사용되었다. 이 중에서 ‘다’는 현대와 같이 ‘고추나 겨자와 같은 것에서 느껴지는 매운 맛이 아니다. ‘술, 식초 등에서 느껴지는’ 알알한 맛을 표현한다. 후각 형용사는 다른 감각 형용사에 비해 발달하지 못하였다. ‘고소다’, ‘누리다’ 등이 후각에 관한 내용을 서술한다. 촉각 형용사는 피부에 닿아서 느껴지는 감각을 표현하는 형용사로, ‘冷하다’, ‘서느럽다/서늘하다’, ‘션션하다’, ‘션하다’, ‘싀원하다’, ‘차다’, ‘熱하다’, ‘덥다/덥달다/덥듣하다’, ‘다사하다/드사다’, ‘거츨다’, ‘머틀머틀하다’, ‘하다’, ‘부드럽다’, ‘만만하다’, ‘고파다’, ‘기갈하다’, ‘자리다’ 등이 있다. 색채 형용사는 ‘노다/黃다’, ‘검다/黑다’, ‘프르다/靑다’, ‘희다/白다’와 같이 고유어와 혼종어가 일관되게 유의 관계를 형성하며 존재했다. 색채를 나타내는 한자어에 ‘--’가 결합한 유형은 ‘紺靑다’, ‘丹靑다’, ‘션홍다’, ‘젹자다’, ‘쳥다’, ‘쳥황다’, ‘紫黑다’, ‘紫黯다’, ‘紫赤다’, ‘靑黯다’와 같이 기본색 외의 색채 형용사에서도 나타난다. 성격 형용사는 ‘강딕다’, ‘겸손다’, ‘고디식다’, ‘곰살갑다’, ‘공슌다’, ‘관곡다’, ‘교초다’, ‘교태롭다’, ‘귀롭다’, ‘대범다’, ‘댱댱졍졍다’, ‘독실다’, ‘돈후다’ 등과 같이 긍정적 성격을 나타내는 형용사와 ‘가다’, ‘간사다’, ‘간악다’, ‘간활다’, ‘강포다’, ‘강다’, ‘거오다’, ‘게으르다’, ‘경박다’, ‘교거다’, ‘교만다’, ‘교오다’, ‘교종다’ 등과 같이 부정적 성격을 나타내는 형용사가 있다. 이들 각각 형용사들은 현대국어보다 의미 구조가 단순하여 파생 의미가 나타나는 경우가 적다. 형상 형용사는 무정물의 ‘크기, 모양, 수량, 위치, 분포’ 등을 표현하는 형용사들을 말한다. ‘길다/르다, 短다, 댜다’, ‘굵다/가다, 다, 셰다’, ‘너르다, 굉굉다, 博다, 어위다/조얍다, 좁다’, ‘크다, 다, 大다/젹다, 횩다’, ‘높다, 高다/다’, ‘멀다/갓갑다’, ‘깊다, 深다/얕다’ 등이 있다. 평가 형용사는 무정물에 대한 화자의 평가를 표현하는 것으로 ‘간편다’, ‘즉다’ 등이 해당된다. 정서 형용사는 유정물의 내면 상태를 서술하는 형용사로, ‘깃브다’, ‘두굿겁다’, ‘화열하다’, ‘즐겁다’, ‘화락다’와 같이 긍정적인 정서를 나타내는 형용사와 ‘감창다’, ‘고롭다’, ‘곱갑다’, ‘두렵다’, ‘황괴다’, ‘고젹다’ 등 부정적인 정서를 나타내는 형용사가 있다. 외모 형용사는 유정물의 외형 상태의 어떠함을 표현하는 형용사로, ‘건장다’, ‘단정다’, ‘더부룩다’, ‘말슥다’, ‘머흐럽다’, ‘비대다’, ‘려다’ 등이 있다. ‘년천다’, ‘머르헙다’와 같은 외모 형용사는 현대국어로 이어지지 못하고 사어가 되고 말았다. Ⅴ장 결론에서는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고 논문의 의의와 앞으로 더 보충할 점에 대해 언급하였다.;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vocabulary system and semantic relations of adjectives in early modern Korean. Chapter I examined a need for research on adjectives in early modern Korean and identified the period and literature list corresponding to ‘early modern Korean’. The period of early modern Korean defined in the study spans from the 17th to the 19th century(1884). The list of adjectives in early modern Korean was made up by extracting adjective entry words from the Korean Dictionary of the 17th Century, Big Korean Dictionary(4 old words and Idus), Dictionary of Ancient Words, and Standard Big Korean Dictionary. The literature files published in the period of early modern Korean were extracted from the entry data of old words established by the 21st Century Sejong Plan, organized in corpora, and used to search for examples. Chapter II mentioned the ‘classification of adjective types’, ‘vocabulary system’, and ‘semantic relations’ before full-blown discussions. Adjectives are the predicates that represent the ‘attribute’ or ‘state’ of the subject. ‘attribute’ and ‘state’ are divided into ‘attribute of nonsentient and sentient beings’ and ‘state of nonsentient and sentient being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subject. The adjectives used both in sentient and nonsentient being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basic meanings. The phenomena of the basic meaning being expanded into the derivative meaning were described for each adjective. When categorized according to those standards, there are ‘sensory adjectives’ and ‘color adjectives’ that represent the ‘attribute of nonsentient beings’ and ‘character adjectives’ that represent the ‘attribute of sentient beings’. There are also ‘shape adjectives’ and ‘assessment adjectives’ that represent the ‘state of nonsentient beings’ and ‘emotion adjectives’ that represent the internal ‘state of sentient beings’ and ‘appearance adjectives’ that represent the external ‘state of sentient beings’. The section about the vocabulary system explained the ‘system of word types’ and ‘semantic system’. Adjectives in early modern Korean can be divided into ‘pure Korean words’ and ‘mixed words’ according to the origin of the component that makes the stem. If the stem is comprised of only pure Korean words, the adjectives are pure Korean words. Examples include ‘검다’, ‘믉다’, ‘가다’ and ‘반듯다.’ If the stem is comprised of ‘Chinese words and affixes’, the adjectives are mixed words. Examples include ‘密다’, ‘可惜다’ and ‘可笑롭다’. The percentage of pure Korean words and mixed words was obtained according to the categorization; the pure Korean words were 621(47.4%), and the mixed words were 688(52.6%). In modern Korean, the percentage of pure Korean words was far higher in adjectives than the other parts of speech. However, the mixed adjectives of ‘Chinese words and affixes’ accounted for a half in early modern Korean. Thus there is a clear and wide difference in the system of adjective word types between early modern Korean and modern Korean. Compared with the pure Korean adjectives, mixed ones in early modern Korean disappeared in large numbers in modern Korean especially the ones that added ‘--’ to the one-syllable Chinese words such as ‘高다’, ‘久다’, ‘詭다’, ‘多다’, ‘短다’, ‘大다’, ‘慢다’, ‘密다’, ‘方다’, ‘疎다’, ‘淸다’ and ‘黑다’. The section about semantic relations explained that adjectives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instead of functioning individually and independently and about the synonym and antonym relations among lexemes and the polysemic relations in one lexeme. Chapter III and IV offered detailed descriptions about the vocabulary system and semantic relations of adjectives under each category defined in Chapter II. Chapter III examined the vocabulary system and semantic relations of attribute adjectives, of which sensory adjectives are ‘adjectives that express external stimuli felt through the eye, nose, ear, tongue, and skin’. There are 94 pure Korean sensory adjectives and 35 mixed ones, which suggests that the former are highly developed compared to the latter. In the group of visual adjectives, there are ones that are still used in modern Korean such as ‘보다/부희다’, ‘빈나다’, ‘칙칙다’ and ‘훤다’ and ones that are no longer present in modern Korean such as ‘녁녁다’ and ‘밤의다’. In the group of auditory adjectives that are not as developed as visual adjectives, such adjectives as ‘괴요다’, ‘낭연다’ and ‘훤텬다’ express the degree of ‘being quiet or loud’. Such adjectives as ‘시끄럽다’ and ‘소란스럽다’ were not created yet. In the group of gustatory adjectives, such words were used as ‘달다’, ‘다’, ‘싀다,’ ‘다’, ‘다’, ‘다’, ‘늑지근다’, ‘흐믓다’, ‘슴겁다’, ‘슴슴다’, ‘들므쥬근다’ and ‘비리다’. Of them, ‘다’ was used to express the [알알하다] taste of ‘liquor, vinegar, and grass’ instead of ‘hot taste of pepper or mustard’ like in modern usage. In the group of olfactory adjectives that were not as developed as the other sensory adjectives, ‘고소다’ and ‘누리다’ were used to express a smell. In the group of tactile adjectives, such adjectives as express a tactile sense on the skin were mentioned including ‘冷다’, ‘서느럽다/서늘다’, ‘션션다’, ‘션다’, ‘싀원다’, ‘다’, ‘熱다’, ‘덥다/덥달다/덥듣다’, ‘다/드다’, ‘거츨다’, 머틀머틀다, 다’, ‘부드럽다,' 다’, ‘고다’, ‘기갈다’. In the group of color adjectives, the pure Korean and mixed ones coexisted maintaining synonym relations, and examples include ‘노다/黃다’, ‘검다/黑다’, ‘프르다/靑다’ and ‘희다/白다.’ The addition of ‘--’ to the Chinese words that represent colors was also found in many color adjectives besides the basic colors, and examples include ‘紺靑다’, ‘丹靑다’, ‘션홍다’, ‘젹자다’, ‘쳥다’, ‘쳥황다’, ‘紫黑다’, ‘紫黯다’, ‘紫赤다’ and ‘靑黯다.’ Character adjectives were comprised of adjectives that represented a positive character and those that did a negative character. The former include ‘강딕다, 겸손다, 도디식다, 곰살갑다, 공슌다, 관곡다, 교초다, 교태롭다, 귀롭다, 대범다, 댱댱졍졍다, 독실다 and 돈후다’ and the latter ‘가다, 간사다, 간악다, 간활다, 강포다, 강다, 거오다, 게으르다, 경박다, 교거다, 교만다, 교오다 and 교종다’. Each of those adjectives had a simple semantic structure compared to modern Korean and thus was hardly used as a derivative meaning. Shape adjectives refers to the adjectives that represent the size, form, amount, location, and distribution of nonsentient beings, and examples include ‘길다/르다, 短다, 댜다’, ‘굵다/가다, 다, 셰다’, ‘너르다, 굉굉다, 博다, 어위다/조얍다, 좁다’, ‘크다, 다, 大다/젹다, 횩다’, ‘높다, 高다/다’, ‘멀다/갓갑다’ and ‘깊다, 深다/얕다’. Assessment adjectives represent the speaker's assessment of nonsentient beings, and examples include ‘간편다’ and ‘즉다’. Emotion adjectives describe the internal state of sentient beings and are divided into the ones that express a positive emotion such as ‘짓브다, 두굿겁다, 화열하다, 즐겁다 and 화락다’ and the ones that express a negative emotion such as ‘감창다, 고롭다, 곱갑다, 두렵다, 황괴다, and 고젹다.’ Appearance adjectives express the external condition of sentient beings and include‘건장다, 단정다, 더부룩다, 말슥다, 머흐럽다(머흘다), 비대다, and 려 다.’ Such appearance adjectives as ‘년천다 and 머르헙다’ failed to continue in modern Korean and became obsolete words. Chapter V of conclusion presented a summary of the findings and mentioned the paper's significance and what should be supplemented in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