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영식-
dc.contributor.author오수진-
dc.creator오수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0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6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8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692-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는 정신적이며 비가시적인 가치가 중요시 되는 창조화 사회이자 디자인이 산업과 문화혁신을 주도하는 시대이다. 디자인의 범위와 영향력 확대로 디자인 패러다임과 적용대상이 변화되고 있다. 생산자 중심에서 사용자 중심의 감성 지향적인 디자인으로, 물질적 형태의 디자인에서 무형적으로, 하드와 소프트, 서비스를 포함한 개념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공공서비스에서 디자인이라는 것은 이제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는 꼭 필요한 수단인 것이다. 공공 공간 디자인 개선을 통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 공공시각정보 개선을 통하여 효율적인 관광과 길 찾기를 돕고, 공공시설물의 디자인적 개선을 통하여 시민들에게 더 나은 환경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지하공간의 개발은 교통수단의 변화 및 발달을 가져왔다. 지하철은 대도시의 교통난을 해결하는 교통수단으로 발전되어 왔다. 지하철 역사라는 공간은 도시 생활 필연적인 환경요소이며 도시인의 생활에 큰 영향을 주는 곳이다. 그러나 지하철 역사 내 공공시각정보 서비스디자인의 질적 요구는 수준에 미치지 못한 채 시설 확장만 이루어지고 있다. 지하철 역사 이용객의 행태와 심리적 측면의 배려는 간과되어 왔다. 누구나 한번쯤은 지하철 역사 내에서 방향을 잃었거나 현재 위치 및 목적지를 알 수 없어서 당혹스러웠던 기억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복잡한 사적 정보로 인해 공적 정보는 이용객들에게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이용객들은 위치와 방향을 잃게 되고 불필요한 동선과 혼잡을 초래하여 시간을 소모하고 불쾌감을 유발하게 된다. 지하철 역사 내에서 필요한 것은 많은 정보가 아니라 적합한 정보를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형태로 제시하는 것이지만 제대로 표현되지 못하고 있다. 이용객들은 지하철 역사를 어둡고 폐쇄적인 공간으로 생각하며, 각 역마다의 개성화 없는 공간표현으로 인해 인지의 어려움을 느끼고 지하공간에서의 방향감 상실 등 지하공간에서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지하철 역사 내의 공공시각정보의 각 단계별 구성요소 적용 및 표현방법을 분석하고 설문검증을 통해 공공시각정보를 3단계로 구조화하고 그에 따른 디자인 전략과 공공시각정보를 관리함에 있어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지하공간에서의 공간지각과 공공시각정보의 상호관계와 어려움의 요소를 검토, 분석하여 지하철 역사 이용객에게 서비스를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만들어 이용객들의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어 공공시각정보 구조화는 공공서비스에 있어 필수적이라 하겠다.;The 21st century is the creative society that the invisible spiritual values are important and design is to drive innovation and culture. The design paradigm and subject to apply is changing because of expanding the scope and impact of the design. From emotion-oriented producers to user-centered design, from the material oriented design to in the form of intangible design, and the concept of design is including hardware, software, and services. The design became necessary means which can not be overlooked for public services. We can improve public spaces through design renovation, provide a comfortable environment and supply the visual information through public tours. Also design can provide efficient way to find and public facilities throughout improvement of a better environment for citizens. The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 has brought change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The subway have been developing to solve the traffic congestion of big cities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Subway station is a place that affect necessary city life. But subway services, designs, and quality of visual information in the public needs are not lower than average and are being conducted extensions of facilities without quality improvement. Psychological aspect and behavior of subway passengers have been overlooked. Everyone has an experience lost the way out or not knowing the current location at least once or even more in the subway station. Due to complex private information, public information does go out of sight for passengers. It is important that subway station is not necessarily giving much information to passengers but to present appropriate information in the form of the most effective and efficient way. So there are some problem that passengers feel the subway station is closed, dark space. This is caused by lack of distinctive feature. And it goes sense of direction in an underground space of subway. This paper analyzes difficulties between public visual representation and space perception of subway, how to apply the analysis of components and visual information to the public through surveys to verify the structure and the subsequent three stages of the design strategy. In conclusion, this paper propose that guidelines of spatial perception in order to manage public visual information of underground space at subway station.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e way of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services for subway users to enhance the satisfa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 방법 및 내용 3 2. 이론적 배경 4 2.1. 디자인 개념의 확대 4 2.1.1.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 4 2.1.2. 디자인 영역 및 역할의 변화 6 2.2. 서비스의 이론적 고찰 9 2.2.1. 서비스의 발전 배경 및 환경 변화 9 2.2.2. 서비스의 정의와 특성,구성요소 12 3.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연구 17 3.1. 서비스디자인의 정의 17 3.2. 서비스디자인의 필요성 21 3.3. 서비스디자인의 구성요소와 프로세스 22 4. 공공서비스의 이해 28 4.1. 공공서비스의 개념 28 4.2. 공공서비스의 특징과 유형,전달체계 30 4.3. 공공서비스 디자인의 역할과 중요성 35 5. 공공시각정보 사례연구를 통한 전략 도출 37 5.1. 공공시각정보 사례연구 37 5.1.1. 해외사례 37 5.1.2. 국내사례 44 5.2. 공공시각정보 구조화 분석 47 5.2.1. 공공시각정보 구조화 47 5.3. 공공시각정보 구조화 표현방법 60 5.4. 공공시각정보 구조화에 대한 검증 73 6. 공공시각정보 구조화 디자인 전략 78 6.1. 유니버설 공공시각정보 제공 78 6.2. 고객 접점 경험요소 개발 80 7. 결론 81 참고문헌 83 부록. 설문항목 및 결과분석 87 ABSTRACT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0942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공공서비스 개선을 위한 시각정보 구조화 전략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 지하철 공공시각정보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n Visual Information System Strategy for improvement of public services : Focusing on Seoul Subway Public Visual Information-
dc.creator.othernameOh, Soo-Jin-
dc.format.pageix, 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