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영식-
dc.contributor.author김진-
dc.creator김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0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55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7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551-
dc.description.abstractIn the era of digital information in the 21stcentury which is characterized by speed and competition, people pursue physical and mental stability, and desire richness and relaxation. What we call well-being culture is something to make mind and body healthy and to improve quality of life and this is the area that color can play a role of the medium. Color is mainly used for emotional and visual aspects of human beings but also it affects human beings in terms of psychology, mentality and body. This is why we call color the new content of the 21stcentury that is needed for every area of the industrial society. Being a tool for mind expression and conversation, color is the common language that is used mostly frequently on the earth as a representative of unique characteristic among geographical region, culture and race, and information close to emotion and feeling of human beings is communicated through color. In addition, color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product design as it effectively performs the function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In the modern society where the importance of color is emerging socially and culturally,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products and color is increasing. In this context, we need a new interpretation and study on all factors associated with color from the viewpoint of interface by using color for an important factor in communication, which has been treated relatively neglectfully in the planning phase of product design compared to shape design. In this study, I will explain color with a new, systematic and objective approach of “color interface” by combining theories and terms which are needed to explain communication of color in planning of effective product design with studies on interface. Color plan in product design is the comprehensive plan for product image and can be understood as an active creation process to resolve design issues. I think that we can produce high value-added products at the least cost within the shortest time by acquiring positive, mental satisfaction through the new image created by color only with improvement through application of color interface. Therefore color should be used as the key factor in design whereas people tend to evaluate color just as a physical characteristic of products. Color can get various results based on what kind of shape or texture it is combined with. However color itself has not only various meaning and symbolic representation but also mental characteristics that can communicate certain messages. In other words, color is an excellent tool for communicatio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importance of color interface through relationship between color and interface and to seek a way to effectively use color through color interface in planning product design by classifying and arrange systematically cases of color interface in product design. To use color effectively, specific studies color should be carried out, on its symbolic representation and meaning base together with its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t is effective to see color from the viewpoint of interface when studying meaning base of color. Therefore I defined color, in this study, as one of interfaces that enables communication and examined meaning base and interpretation of color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face. Based on studies in this context, I have classified color interface into 4 kinds and tried to make importance of color interface be recognized through cases by kind. First, emotional interface is a property that arouses emotional response through factors of color composing of external form when perceiving an object. Second, cognitive interface is a property that occurs when we use an object to perform certain purpose. Third, physical interface is a property that has frequent direct or indirect contact with users through the use of products. Fourth, symbolic interface is a property that has created by imaging commonly of people from color and agreement it customary. I have derived adjectives corresponding to 4 kinds of color interface and carried out verification analysis through survey on colors associated with each adjective. Analysis result suggested that planning of product design through color interface on which a new theory was applied can satisfy users more than the existing planning of design does and it also can improve the design problem which occurs due to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a designer when making the final decision on color.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 have suggested color interface process for planning of product design and the guidelines for color interface through hue and tone. I expect these can be used for design guidelines for planning of all kinds of design as well as home appliances such as a toast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examination on various material and literatures. Due to the lack of precedent studies, I have put my subjective interpretation on integration of color into interface. I think that it is needed for future studies to focus on suggestion on detailed color interface through more comprehensive research on category.;속도와 경쟁사회의 21세기 디지털 정보화시대에서 사람들은 신체적•정신적 안정과 풍요를 추구하고 여유로움을 갈망한다. 이른바 웰빙 문화는 근본적으로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자신이 추구하는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이것의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는 분야가 바로 컬러(Color)이다. 컬러는 인간의 감성적인 측면과 시각적인 측면에서 주로 활용하지만 심리적•정신적•육체적 측면에서도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컬러를 산업사회의 전 분야에 요구되는 21세기 새로운 콘텐츠 라고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컬러는 심리 표현 및 대화의 수단으로, 지역•문화•민족 간의 고유 특성의 대변자로서 지구상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공통 언어로서 인간의 정서와 감정에 밀접한 정보들은 모두 컬러를 통해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컬러는 제품디자인에 있어서 제품의 정보 전달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당히 중요한 요소이며 사회적•문화적으로 컬러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제품과 컬러 간 관계의 중요성은 점차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상황 인식을 바탕으로 제품디자인 계획 단계에서 형태디자인에 비해 비교적 소극적으로 다루어졌던 컬러를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요소로 활용함으로써 컬러에서 느껴지는 모든 요소들에 대한 인터페이스적 관점에서의 새로운 해석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효과적인 제품디자인 계획을 위해서 컬러의 커뮤니케이션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이론과 용어를 인터페이스에 관한 학문과 결합하여 ‘컬러인터페이스(Color Interface)’라는 보다 새롭고 체계적이며 객관적인 접근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제품디자인에서의 컬러 계획은 제품 이미지에 대한 포괄적인 계획이며, 디자인 문제 해결에 대한 적극적인 창조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컬러인터페이스를 적용한 개선만으로도 컬러에 의한 새로운 이미지 창출을 통해 제품에 대한 긍정적, 심리적 만족감을 얻어 낼 수 있게 유도하여 가장 빠른 시간에 가장 적은 비용으로 고부가가치의 제품을 만들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컬러는 디자인에 있어서 핵심적인 요소로 활용되어야 하는데 단순히 컬러를 제품의 물리적인 특성으로만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컬러는 어떤 형태 또는 질감과 결합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컬러 자체만으로도 여러 가지 의미와 상징성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한 메시지(Message)를 전달할 수 있는 심리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다시 말해 컬러가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강력한 수단이라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컬러와 인터페이스, 두 분야의 관계를 통하여 컬러인터페이스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제품디자인에서 컬러인터페이스의 사례를 일정하게 분류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제품디자인 계획 시 컬러인터페이스의 과정을 통해 컬러를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컬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컬러의 물리적인, 심리적인 특성과 더불어 컬러의 상징과 의미기반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컬러의 의미기반에 대한 연구를 위해서는 컬러를 인터페이스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컬러를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하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정의하고 컬러의 의미기반과 해석을 인터페이스적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컬러인터페이스의 유형을 4가지로 분류하였고, 각각 유형별 사례를 통해 컬러인터페이스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하였다. 첫째, 감성적 컬러인터페이스는 대상을 지각하는 순간 그 외형을 구성하고 있는 컬러의 요소로 인해 감성적 반응을 유발시키는 속성이다. 둘째, 인지적 컬러인터페이스는 일정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대상을 사용 할 때 주로 발생하는 속성이다. 셋째, 물리적 컬러인터페이스는 제품의 사용을 통해 사용자와의 접촉이 직•간접적으로 일어나는 속성이다. 넷째, 상징적 컬러인터페이스는 모든 사람들이 컬러에 의해 공통의 연상을 하고 이를 관례적으로 합의함으로써 생성되는 속성이다. 위의 유형별 컬러인터페이스에 해당하는 형용사를 추출하여 각각의 형용사에서 느껴지는 컬러에 관한 설문조사를 통해 검증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새로운 이론이 적용된 컬러인터페이스를 통한 제품디자인 계획으로 기존의 디자인 계획에서 보다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최종 컬러 결정시에 디자이너의 주관적 해석에 따른 디자인의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제품디자인 계획을 위한 컬러인터페이스 프로세스와 휴(Hue)& 톤(Tone)을 통한 컬러인터페이스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으며 제품디자인뿐만 아니라, 모든 디자인 계획을 위한 설계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각종 자료와 문헌에 의한 조사로 이루어졌다. 컬러와 인터페이스와의 접목은 선행된 연구의 부족으로 연구자의 주관적인 해석에 따랐으며 차후 연구에서는 보다 포괄적인 유형 연구에 의해 세분화된 컬러인터페이스에 대한 제안이 보강되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II. 본론 5 A. 컬러의 이론적 배경 5 1. 컬러의 개념 5 2. 컬러의 속성 6 가. 색상(Hue) 6 나. 명도(Value) 7 다. 채도(Chroma) 8 3. 컬러의 체계 10 가. 먼셀 표색계 11 나. 오스트발트 표색계 13 다. NCS 표색계 15 라. PCCS 표색계 16 4. 컬러의 기능 19 가. 컬러의 미적 기능 20 나. 컬러의 상징적 기능 21 다. 컬러의 심리적 기능 22 라. 컬러의 소통 기능 28 B. 인터페이스의 이론적 배경 29 1. 인터페이스의 개념 29 2. 인터페이스의 유형 32 가. 감성적 인터페이스 33 나. 인지적 인터페이스 35 다. 물리적 인터페이스 36 C. 컬러와 인터페이스의 상관관계 37 1. 컬러인터페이스의 개념 37 2. 컬러인터페이스의 유형 38 가. 감성적 컬러인터페이스 38 나. 인지적 컬러인터페이스 39 다. 물리적 컬러인터페이스 39 라. 상징적 컬러인터페이스 40 3. 컬러인터페이스의 가치와 필요성 41 III. 제품디자인과 컬러인터페이스의 상관관계 42 A. 제품디자인에서 컬러인터페이스의 중요성과 계획 42 1. 제품디자인에서 컬러인터페이스의 중요성 42 2. 제품디자인에서 컬러인터페이스의 계획 44 B. 제품디자인에서 컬러인터페이스 사례분석 47 1. 감성적 컬러인터페이스 사례 47 2. 인지적 컬러인터페이스 사례 49 다. 물리적 컬러인터페이스 사례 52 라. 상징적 컬러인터페이스 사례 53 C. 제품디자인에서 컬러인터페이스의 관계분석을 위한 검증 55 1. 검증 방법 및 절차 55 가. 검증 절차 55 나. 검증 대상 선정 55 다. 참여응답자 집단 선정 56 라. 검증 방법 및 설문지의 구성 56 2. 검증 결과 및 내용 59 3. 검증 분석 종합 64 IV. 컬러인터페이스를 통한 제품디자인 계획에 관한 연구 68 A. 제품디자인 계획을 위한 컬러인터페이스 프로세스 68 B. 휴(Hue)& 톤(Tone)을 통한 컬러인터페이스 가이드라인 제시 69 V. 결론 72 참고문헌 75 부록1. 설문지 82 부록2. 설문결과 83 ABSTRACT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4753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컬러인터페이스를 통한 제품디자인 계획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rdy on Planning of Product Design through Color Interface-
dc.creator.othernameKim, Jean-
dc.format.pagexi,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