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9 Download: 0

한국어 모어화자와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논설 텍스트 분석

Title
한국어 모어화자와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논설 텍스트 분석
Other Titles
The analysis of an argumentative text by a Korean native speaker and a Korean language learner from Mongolia
Authors
김선미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an argumentative text produced by a Mongolian student studying Korean in Korea and a text produced by a Korean native speaker from a text linguistical perspective, and find the reason behind that difference. The reason why the research chose Mongolian students as the number of Mongolians among the total foreign student population in Korea is only second to Chinese, and it is still steadily on the rise. The students from Mongolia are to be able to complete a text that contains the constituting principle and factors acceptable by those in the same language community when taking part in Korean writing. That is why a text that displays uniqu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vocabulary, style, and structure, and also suits the purpose, function and situation of language usage, according to the general rules and traditions of language community members who use target language should be produced. Thus, this research has compared and analyzed the argumentative text by a Korean mother tongue speaker and a Mongolian learner in three aspects of content, organization, and expression for the text section; and the aspect of logical unity device that is often used in editorial texts.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such text would be meaningful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scene as depending on the analysis result, the learner can provide the basic of functionality for a writing education to produce a good text. For this research 20 Korean mother tongue speakers, and learners who have studied in the regular course in K university, a Korean education institute, for about a year were used as the subject for analysis.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are as below: Chapter 1 state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research, the study deems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format and the meaning altogether as a process of producing a text which is a single combination with meaning, instead of teaching writing just to teach vocabulary and grammar, and has proposed a text analysis as a detailed method. For the previous studies, existing research related to editorial text that is the subject of analysis, and the former research on Mongolians who are studying Korean were referred to. Chapter 2 talks about the research about text linguistic, which is the theoretical basis of this research,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the research on argumentative text. Chapter 3 proposes the topic for research and states the design and process of the research to verify the subject proposed. There are 3 topics for research suggested by this research, first, it is to seek for unique characteristic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Mogolian learners when writing an argumentative text. Second, the style of how the logical linking device used in an argumentative text, and lastly, to see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the argumentative text by Korean native speakers and Mongolian learners when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proposed subject for the topics. Chapter 4 reveals the results of the subject and stated its interpretation. Chapter 5 talks about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the conclusion derived b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topics for research are as below. First, after analyzing the text section,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Mongolian learners in terms of unity in context and validity of argument. The reason for such difference is because the general rules and traditions when Mongolians write a argumentative text is different from a Korean native speaker. Mongolians preferred a context of argumentative writing that focused on expressing personal opinions, a liberal mind, and reporting one's perspective about a certain topic while reaching a conclusion. For the composition section, the way paragraphs is worked out and the logical structure was the focus. And in this aspect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a Korean native speaker and a Mongolian learner. In other words, the capability regarding the composition of the text for both Korean and Mongolian, were different for each individual. Spelling, spacing, usage of vocabularies, accuracy of sentence, and style were the focus for the expression aspect, and in this aspect there was conspicuous contrast between a Korean native speakers and a Mongolian learner. This seems to be because Koreans mostly are aware of the expression aspect of a argumentative text while Mongolians are not used to emphasis on expression aspect. Secondly, it was to look at the style of usage of logical connection device used within an argumentative text. As a result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a Korean native speaker and the Mongolian learner. The style that Korean preferred was a logical connection device of expansion, while Mongolians preferred the logical connection device of strengthening. Especially Koreans preferred the arrangement and addition, comparison and conversion of the expansion aspect, and the cause-effect connection device for the strengthening aspect. Whereas Mongolians preferred the cause-effect connection of the strengthening aspect and the logical connection device of time, and after that the comparison and conversion of the expansion aspect and often used the logical connection device of referring to above for the explanation aspect. For that reason, it can be seen that Mongolians use a cause-effect connection to link paragraphs instead of using a logical connection device. Lastl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 between the argumentative text by Korean native speakers and Mongolian learners can be seen. For the similarities, for the composition of argumentative text, the introduction section provides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topic, present one's argument through quotations, concrete examples, and statistics, or express the motive, purpose of writing the text and indicating the direction the text would be heading to. The main body would be about giving detailed examples and evidence about one's argument, and the conclusion would be about strengthening one's argument through a personal opinion. The difference is how Mongolians form their main body. The main body is consists of either one paragraph or many paragraphs. The paragraphs that form the main body states the thesis sentence at the beginning of each paragraph then the behind sentences would provide evidence or proof about the thesis sentence. Another difference is that the purpose of a argumentative text for a Korean is to convince someone. However, a Mongolian argumentative text, as mentioned above, focuses more on the process of reaching a conclusion of a fixed topic. Also, in the Korean language there is a concept of logical connection device often used in argumentative texts, whereas in Mongolian language, it is used as linker, thus it can be seen there is a different in usage.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proposed that in order to produce a text that has a composition principle and factor that is acceptable by the language community, the Mongolian learners should be first taught of the strategy such as general argumentative text structure or organization when writing an argumentative text in Korea, also it can be proposed that they should be familiarized with expression methods such as vocabulary and sentence style. However, since this research analyzed a total of 40 cases, 20 for each group, there would be limitations to use the result of this study to universally apply to all Mongolian learners. Also, as it is limited to the content, organization, and expression aspect of an argumentative text, it cannot be said that there is an detailed analysis. Also since the linking device that appeared in the argumentative texts were only limited to logical linking devices. Hence, for future discussions, there should be a various and detailed analysis of texts, and not only should linking devices should be considered, but also the actual usage of other text composition factors should be further researched.;본 연구는 현재 한국에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몽골인 유학생이 생산한 논설 텍스트를 통해 텍스트 언어학적 관점에서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국인이 생산한 텍스트와 어떤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 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자가 연구대상을 몽골인 유학생으로 결정한 이유는 현재 국내의 외국인 유학생 중 몽골인의 비중이 중국인 다음으로 많고 지금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몽골인 유학생들은 한국어 쓰기 활동 시 언어 공동체 구성원이 수용하고 인정할 만한 텍스트의 구성 원리와 요소를 갖춘 완결된 글을 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목표어를 사용하는 언어 공동체 구성원들의 글쓰기의 일반적인 규칙과 관습에 따라 언어 사용의 목적과 기능, 언어사용 상황 등에 맞추어 어휘, 문체, 구조 등에서 고유한 특질을 나타내면서 텍스트를 생산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논설 텍스트를 텍스트 영역에 해당하는 내용(content) 영역, 구성(organization) 영역, 표현(expression) 영역이라는 이 3가지 측면과 논설 텍스트에서 많이 사용되는 논리적 결속 장치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한국어 교육에 있어 이러한 텍스트의 비교·분석은 분석 결과에 따라 학습자가 좋은 텍스트를 생산하기 위한 쓰기 교육에서 활용성의 기초를 마련하게 되므로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어 모어 화자 20명과 한국어 교육 기관인 K대학의 정규과정에서 1년 정도 수학한 학습자들 20명이 생산한 논설 텍스트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하여 기술하였는데,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쓰기 교육이 단순히 어휘와 문법 교육 차원에서의 쓰기 지도가 아닌 하나의 의미적 총합체인 텍스트 생산의 과정으로 형식과 의미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중요하다고 보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텍스트 분석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는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 되는 논설 텍스트와 관련한 기존의 연구와 연구의 대상인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뒷받침이 되는 텍스트언어학에 관련한 연구와 텍스트의 유형중 논설 텍스트에 관한 연구를 이론적 배경에 다루었다. 3장에서는 연구문제를 제시하고 제시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 설계와 절차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본고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는 모두 세 가지로 첫째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가 논설 텍스트 작성 시 텍스트 영역에 따른 특징이 있는 지를 살펴보는 것이고, 두 번째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논설 텍스트 안에서 사용되는 논리적 결속 장치의 사용 양상을, 마지막으로 제시된 연구문제들의 결과를 봤을 때 한국어 모어 화자와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논설 텍스트의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다. 4장에서는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밝히고 그에 대한 해석을 기술하였다. 5장에서는 본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 및 연구의 제한점을 다루었다. 본 연구 문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텍스트 영역에 따른 분석 결과 내용의 통일성과 논증의 타당성 부분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와 몽골인 학습자들 간에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이유로 몽골인의 논설 텍스트의 작성의 일반적인 규칙과 관습이 한국어 모어 화자의 논설 텍스트의 작성과는 다르기 때문으로 보았다. 몽골인은 정해진 주제에 대하여 개인적인 의견, 자유로운 사고방식을 표현하거나 자신의 입장을 보고하는데 중점을 두고 결론에 이르는 논설 텍스트의 내용을 선호하기 때문이었다. 구성 영역은 단락 전개 방식과 논리 구조를 주로 살펴보았는데 여기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몽골인 학습자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다시 말하면 한국인이나 몽골인 각 개인이 가진 글의 구성에 대한 능력이 모두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현 영역은 맞춤법과 띄어쓰기, 어휘 사용, 문장의 정확성, 문체에 대하여 보았는데 여기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몽골인 학습자의 차이가 아주 분명하게 나타났다. 이는 한국인은 논설 텍스트에 대한 표현 영역에 대하여 대부분 인지하고 있고 몽골인 학습자는 형식성이 강한 논설 텍스트의 표현 영역에 대하여 익숙하지 않기 때문으로 보였다. 두 번째는 논설 텍스트 안에서 사용되는 논리적 결속 장치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는 것으로 그 결과 한국어 모어 화자와 몽골인 한국인 학습자가 생산한 논설 텍스트에서 사용한 논리적 결속 장치의 양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한국인이 논설 텍스트 작성 시 선호하는 논리적 결속 장치가 확대의 논리적 결속 장치이고, 몽골인이 선호하는 논리적 결속 장치가 강화 영역의 논리적 결속 장치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한국인은 확대 영역의 나열 및 첨가와 대조 및 전환, 강화 영역의 인과에 대한 결속 장치를 선호했고, 몽골인은 한국어로 논설 텍스트의 생산 시 강화 영역의 인과와 시간의 논리적 결속 장치, 그 뒤로 확대 영역의 대조 및 전환, 설명 영역의 상술의 논리적 결속 장치를 많이 사용했다. 그 이유로 몽골인의 논설 텍스트에서 단락의 연결은 논리적 결속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인과의 연결어들로 단락을 연결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모어 화자와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논설 텍스트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알 수 있었다. 유사점으로는 논설 텍스트의 구성에서 서론 부분이 주제에 대한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정보를 주고 자신의 의견과 주장을 인용이나 구체적 사례, 통계 등을 통해 제시하거나 글을 쓰게 된 동기와 목적, 글의 방향 등을 나타내는 것과, 본론에서 자신의 주장에 대한 근거와 예를 구체적으로 드는 것, 결론 부분에서 개인적인 의견을 통해 자신의 주장을 강조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차이점은 몽골인 논설 텍스트의 본론의 구성이다. 본론은 한 단락으로 이루어지거나 많은 단락으로 이루어진다. 본론으로 구성되어지는 단락은 매 단락마다 앞 에는 중심적인 문장을 그리고 뒤에는 앞에 놓인 문장의 근거나 예시가 되는 문장을 제시하는 점이다. 다른 차이점으로는 한국인의 논설 텍스트의 가장 큰 목적이 텍스트 수용자를 설득하기 위함이지만 몽골인의 논설 텍스트는 위에서 이야기 했듯이 정해진 주제에 대한 결론에 이르는 과정에 더욱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논설 텍스트에서 많이 사용되는 논리적 결속 장치의 개념이 한국어에는 있으나 몽골어에서는 연결어의 개념으로 사용하여 사용 양상에 대하여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볼 때 언어 공동체 구성원이 수용하고 인정할 만한 텍스트의 구성 원리와 요소를 갖춘 완결된 글을 쓸 수 있도록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어로 논설 텍스트 생산 활동을 할 때에는 일반적인 논설 텍스트의 구조나 구성 등의 전략에 대한 지도가 먼저 이루어지고, 또한 어휘나 문체 등의 표현 방법에 있어 익숙해질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을 제안할 수 있겠다. 그러나 본 연구가 각 집단별로 20부씩, 총 40부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본고의 결과를 모든 몽골인 학습자에게 일반화하기에는 한계를 지닌다. 또한 논설 텍스트의 분석이 내용, 구성, 표현 영역에 국한되어 구체적인 분석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없고, 분석의 자료가 된 논설 텍스트들에 나타난 결속 장치를 논리적 결속 장치로만 한정 지었기 때문에 이후의 논의에서는 텍스트의 다양하고 구체적인 분석과 결속장치뿐만 아니라 다른 텍스트의 구성 요소들의 실제 사용에 대한 연구들이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