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선희-
dc.contributor.author이은혜-
dc.creator이은혜-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5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5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1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7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14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어 담화 공동체가 기대하고 요구하는 장르적 특성에 맞추어 글을 쓸 수 있도록 교수하기 위해 공동체에 속한 사람들이 모두 동의하는 담화의 특징과 방식을 중급 과정에 있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얼마나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중급 과정에 있는 학습자들에게 가장 필요로 되는 장르를 ‘정보를 주는 글’ 장르와 ‘설득하는 글’ 장르로 보고 ‘정보를 주는 글’ 장르의 대표적 쓰기인 설명문과 ‘설득하는 글’ 장르의 대표적 쓰기인 논설문을 분석 장르로 정하였다. 중급 단계에 있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장르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설명문과 논설문을 작성하게 하고, 이와 비교 ㆍ 분석의 기준이 될 수 있는 한국어 모어 화자들의 설명문과 논설문을 수집하여 두 집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들에게서 수집된 자료는 본고에서 제시한 다섯 가지 장르 지식인 ‘의사소통 목적에 관한 지식’, ‘필자와 독자의 관계에 관한 지식’, ‘구조 ㆍ 형식적 지식’, ‘주제 ㆍ 내용적 지식’, ‘수사적 지식’의 분석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 점수를 통해 두 집단의 장르 지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차이가 있다면 어느 지식에서 차이가 있는지 등에 관한 분석을 하였다. 평가 점수 분석 이후에는 각 지식 영역에 대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구체적인 양상을 분석하였는데 이를 통해 한국인 집단과 학습자 집단의 설명문 장르 인식 양상과 논설문 장르 인식 양상을 비교 ㆍ 분석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 집단의 설명문과 논설문에서 장르적 특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 한국어 학습자 집단의 설명문을 분석 기준에 따라 평가한 결과, 다섯 가지 장르 지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 모두 다섯 가지 장르 지식 중에서 ‘필자와 독자의 관계에 관한 지식’에서 높은 평가 점수를 받아 이 지식에 대한 인식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한국어 학습자 집단에서는 ‘구조 ㆍ 형식적 지식’에 대해 가장 낮은 평가 점수를 받았는데, 설명문의 삼단 구성이나 문단 조직과 같은 특성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음을 반영한 결과였다. 둘째,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 한국어 학습자 집단의 논설문을 분석 기준에 따라 평가한 결과, 다섯 가지 장르 지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 모두 설명문과 마찬가지로 ‘필자와 독자의 관계에 관한 지식’에서 가장 높은 평가 점수를 받았다. 하지만 한국어 학습자 집단에서는 ‘구조 ㆍ 형식적 지식’과 ‘수사적 지식’ 영역에서 가장 낮은 평가 점수를 받았는데, 이는 논설문에서 필자의 의견을 논리적으로 서술하기 위한 논증 유형의 사용과 타당성 있는 주장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음을 뜻하는 결과였다. 셋째, 한국어 학습자 집단의 설명문과 논설문을 분석 기준에 따라 평가한 점수를 바탕으로 비교ㆍ 분석한 결과, 다섯 가지 장르 지식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설명문과 논설문의 장르적 특성의 차이를 잘 인식하지 못 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장르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 결과물에 나타난 장르 지식 인식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 문제점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고, 장르 중심 쓰기 교육에서 학습자들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밝힐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 결과물에 나타난 장르적 특성의 양상이 학습자의 모국어의 영향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지 살펴보지 못 했다는 점이 본 연구의 한계이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how much learners of Korean language on the intermediate level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thods of discourse that everyone belonging to the community of a Korean language discourse agrees to teach them in such a way that they can express their thoughts in writing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that is expected and required by the community. For the purpose, we have determined that the genres that are needed most by th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on the intermediate level are the genre of 'Information writing' and the genre of 'Persuasive writing', and identified explanation as the most representative writing of the former and essay as the most representative writing of the latter, to be used as the target genres for our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genre recognition of th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on the intermediate level, we had each of them to write an explanation and a thesis, and collected equivalent explanations and theses that have been written by native Korean language speakers to serve as the criteria for comparison and analysis. in our effort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native Korean language speakers and th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ere evaluated on the basis of five genre knowledge that have been presented in this thesis, namely 'Knowledge on communication purpose', 'Knowled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er and the reader', 'Formal knowledge', 'Subject-matter knowledge', and 'Rhetorical knowledge'. On the basis of evaluation points, an analysis was carried out on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re knowledge between the two groups, and if there is, on which knowledge there is a difference. After the analysis based on evaluation points, another analysis was carried out on concrete aspect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on each knowledge area. And through this, a comparison and analysis on recognition of explanation genre and essay genre of the native Korean language speaker group and the learner of Korean language group. At the same time, an analysis was carried out 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genre characteristics in the explanations and essays of the learner of Korean language group. The result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on explanations by the native Korean language speaker group and the learner of Korean language group based on the aforementioned criteria, a statistically signifiant difference was discovered in the five genre knowledge. It was also discovered that both groups had higher recognition of the 'Knowledge on the writer and the reader' among the five genre knowledge as they both had higher evaluation points on this knowledge. However, the learner of Korean language group had the lowest evaluation points on the 'Formal knowledge', reflecting their poor recognition of the characteristics regarding mono-syllogism and paragraph organization of the explan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ses by the native Korean language speaker group and the learner of Korean language group based on the aforementioned criteria, a statistically signifiant difference was discovered in the five genre knowledge. It was also discovered that, as in the case of explanation, both groups had the highest recognition of the 'Knowledge on the writer and the reader'. However, the learner of Korean language group had the lowest evaluation points on the 'Formal knowledge' and 'Rhetorical knowledge'. This reflects low recognition of the use of demonstrations for presenting the writer's thought logically and the feasible opinion in their essay. Third, as a result of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learner of Korean language group's explanations and theses on the basis of evaluation point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criteria, the difference in the five genre knowledge was not noticeable. This reflects that the learner of Korean language group did not fully recognize the difference of genre characteristics in the explanation and the essay. In this thesis, based on genre theory, it was possible to grasp what the problem was in the writing of the learner of Korean language group by examining the recognition of their genre knowledge as revealed by their writings and to clarify what is practically needed to the learner of Korean language group in the genre-oriented writing education. The failure to examine, however, how genre characteristics as revealed by the writings of the learner of Korean language group could have varied depending on the influence of their native language remains as a limitation of the present thesi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연구 3 C. 연구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8 A. 장르 지식 8 B. 장르 유형 14 C. 설명문과 논설문의 장르적 특성 22 1. 설명문의 장르적 특성 22 2. 논설문의 장르적 특성 29 Ⅲ. 연구방법 37 A. 분석자료 37 1. 한국어 모어 화자의 설명문과 논설문 37 2. 한국어 학습자의 설명문과 논설문 38 B. 연구절차 39 C. 측정도구 40 D. 분석방법 43 1. 분석 기준 설정 43 2. 분석 진행 절차 47 IV. 연구결과 및 해석 49 A.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설명문 분석 49 1. 의사소통 목적에 관한 지식 52 2. 필자와 독자의 관계에 관한 지식 54 3. 구조ㆍ형식적 지식 57 4. 주제ㆍ내용적 지식 62 5. 수사적 지식 69 B.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논설문 분석 78 1. 의사소통 목적에 관한 지식 80 2. 필자와 독자의 관계에 관한 지식 83 3. 구조ㆍ형식적 지식 85 4. 주제ㆍ내용적 지식 90 5. 수사적 지식 98 C. 한국어 학습자의 설명문과 논설문 분석 108 V. 결론 123 참고문헌 127 ABSTRACT 13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066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장르 인식 양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설명문과 논설문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spects of Recognition of Genre in Korean Learners' Writing : Centering on Explanation and Essay-
dc.creator.othernameLee, Eun-Hye-
dc.format.pagexii, 13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