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옥수-
dc.contributor.author김지현-
dc.creator김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3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1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7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10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operation-related outcomes and satisfaction among elderly gastric cancer patients receiving laparoscopic gastrectomy or open gastrectomy in order to provide decision guidelines for future patients. Data were obtained through face to face interviews with a questionnaire, which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09. The sample consisted of 144 gastric cancer patients who 65 years old or older, who visited an outpatient department at a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Bundang in Gyeonggi Province.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30 items including nine about patient general characteristics, nine about clinicopatholoical characteristics, six about the selection of the operation method, and six about the postoperative satisfac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percentages, mean, standard deviation, and chi-square tests by SPSS WIN 17.0.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Study participants received disease or operation-related information mostly from health professionals (physicians or nurses), then family, relatives, and media such as television or radio. Primary concerns of the patients were recovery period after operation (23.4%), expected degree of post operation pain (19.7%), type of surgery performed to other cancer patients (13.1%), expected cost of surgery (11.9%), days in hospital after operation (10.7%), size of post operative scar (10.0%), and justification for surgery (9.7%). Patient made a decision regarding the method of surgery based on nurse (38.2%) or physician recommendation (35.4%), family or relatives advice (10.4%), or patient's own will (7.6%).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decisions on the operating method depending on type of diagnosis (χ2=12.110, p=.001), stage of cancer (χ2=13.236, p=.004), type of surgery (χ2=15.635, p=.001) and length of hospital stay (χ2 =8.450, p=.038).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cisions by patient prior experience of abdominal surgery. 3. Patients who had laparoscop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than those had open surgery in overall satisfaction about operation (χ2=23.619, p=.001), size of scar (χ2=104.481, p=.001), post operation pain (χ2 =63.894, p=.001), recovery period after surgery (χ2=19.162, p=.001) and operation cost (χ2=13.666, p=.00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about present health conditions between the two groups. 4. Patients who had laparoscopy reported greater future preference for laparoscopy (χ2=45.133, p=.001) and willingness to recommend laparoscopy to other patients (χ2=10.366, p=.001) than those with open surgery. Elderly gastric cancer patients who have undergone laparoscopic gastrectomy showed higher post-operative satisfaction regarding the operation method, minimal scar, postoperative pain, shortened hospital stay, and operation cost.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confirm these findings among divers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lso m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practical and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that enhance the quality of nursing practice with these surgical techniques.;본 연구는 최근 들어 많이 시행되는 복강경 수술과 기존의 개복 수술에 있어서 위암으로 진단받은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방법 선택과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고, 수술 후 만족도를 파악하여 노인 위암 환자가 수술방법을 선택하는 데 있어 정보를 제공하는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에 소재한 B 대학병원에서 위암으로 복강경 수술 또는 개복 수술을 받은 후 외래를 방문한 65세 이상 노인환자로 총 14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기간은 2009년 9월부터 11월까지였다. 본 연구는 총 30문항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지의 내용은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 및 수술 선택 관련, 수술 후 만족도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chi-square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는 의료진으로부터 질병관련 정보나 수술관련 사전 정보를 가장 많이 제공받았고, 그 다음으로는 가족이나 친척, 정보통신매체 순이었다. 대상자가 수술 전에 가장 궁금해 했던 사항은 회복기간 23.4%이었고, 통증 정도 19.7%, 다른 암환자들에게 주로 시행되는 수술방법 13.1%순이었으며, 수술비용, 입원기간, 상처의 크기, 수술시행이유는 비슷하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수술방법 선택에 가장 영향을 준 자는 간호사가 38.2%, 의사가 35.4%로 나타났으며, 가족이나 친척은 10.4%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술방법 선택의 차이는 없었다. 수술방법의 선택은 진단명(χ2=12.110, p=.001)과, 암의 병기(χ2=13.236, p=.004) 및 위 절제 정도(χ2=15.635, p=.00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과거 복부 수술 경험여부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수술에 따른 수술 후 만족도에 차이가 있었다. 개복 수술보다 복강경 수술이 수술 후 만족도가 더 높았다(χ2=23.619, p=.000). 상처의 크기(χ2 =104.481, p=.000), 수술 후 통증(χ2=63.894, p=.000), 수술 후 회복기간(χ2 =19.162, p=.000)에서도 복강경 수술이 만족도가 더 높았다. 그러나 수술비용(χ2=13.666, p=.003)에 있어서는 복강경 수술이 만족도가 낮았다. 4. 대상자는 다시 수술법 선택의 기회가 있다면 수술방법을 재 선택하겠느냐는 물음에서 복강경 수술을 다시 선택하겠다(χ2=45.133, p=.000)라고 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술 후 타인에게 수술방법을 권유하겠느냐는 물음에서도 복강경 수술을 타인에게 권유하겠다(χ2=10.366, p=.001)라고 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노인 위암환자가 외래에 방문하여 수술방법을 결정하는 데 있어 간호사의 정보가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복 수술보다 복강경 수술의 수술 후 만족도가 더 높았다. 따라서 간호사는 최근 변화되는 수술방법에 대한 최신의 정보를 갖추어 복강경 수술에 대한 교육과 상담을 좀 더 체계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 정의 5 II. 문헌고찰 7 A. 노인 위암환자 7 B. 복강경 수술 10 C. 개복 수술 14 III. 연구방법 17 A. 연구설계 17 B. 연구대상 17 C. 연구도구 18 D. 자료수집기간 및 방법 19 E. 자료분석방법 19 F. 연구대상자의 윤리적 측면 20 G. 연구의 제한점 20 IV. 연구결과 및 논의 21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1 B.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 23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술방법 선택의 차이 28 D.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수술방법 선택의 차이 31 E. 대상자의 수술방법에 따른 수술 후 만족도 차이 34 F. 대상자의 수술방법에 따른 재선택 및 타인권유의 차이 37 V. 결론 및 제언 39 A. 결론 39 B. 제언 42 참고문헌 43 부록. 연구참여동의서 56 Abstract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917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노인 위암 환자의 수술방법 선택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복강경수술과 개복수술-
dc.title.translatedSelection of Operation Methods in Elderly Gastric Cancer Patients : Laparoscopic Surgery versus Open Surgery-
dc.creator.othernameKim, Ji-Hyun-
dc.format.pagevii,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