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2 Download: 0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Exposure to Foreign Culture and Self-Perceived Global Competency

Titl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Exposure to Foreign Culture and Self-Perceived Global Competency
Other Titles
대학생의 외국 문화에의 노출과 자각하는 국제적 역량 수준과의 관계
Authors
이유라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지현
Abstract
급속한 세계화의 영향으로 전 세계적으로 국경을 초월하여 활약할 수 있는 글로벌 인재의 수요가 점차 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나라에서도 수 년 전부터 ‘영어 열풍’, ‘유학 열풍’이 불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이러한 외국문화에의 노출과 학생들의 글로벌 역량 수준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 지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특히나 기존 연구들의 초점은 과거의 노출 경험에만 치우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1) 대학생의 외국문화에의 노출 상황을 살펴보고, 2) 그들의 국제적 역량 수준을 측정하여, 3) 외국문화에의 노출과 국제적 역량 수준 사이에 어떠한 유의미한 관계가 존재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 소재 ‘ㅇ’대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12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SPSS 17.0 버전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양적 데이터 분석에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 등의 방법이 활용되었고, 분석시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40.5 퍼센트의 학생들이 해외 거주 경험이 있었고, 64.5 퍼센트는 현재도 꾸준한 노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55.5 퍼센트의 학생들이 대학 강의를 통하여 관련 지식을 쌓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글로벌 역량 수준은 대체로 보통이거나 보통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문화간 수용 경향은 매우 높은 수준인 것으로 분석 되었다. 학생들의 외국 문화에의 노출은 일부 국제적 역량 척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다문화간 수용 경향과 적응 경향의 2가지 척도와는 유의미한 상관이 발견되지 않았다. 학생들이 2가지 역량 수준에서 높은 평균을 기록하였던 것을 감안하면, 학생들은 이미 노출 정도, 종류와 상관 없이 다문화 현상에 대한 수용 능력과 적응 능력을 갖추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 연구 결과들과 마찬가지로 잦은 노출, 다양한 종류의 노출이 국제적 역량 수준과 정의 상관을 유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제적 역량 수준을 높이는 노출 요소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 수 있었으므로, 이를 다각화 및 보편화하여 조금 더 객관적인 자료로 정리한다면 국제화 교육 커리큘럼 개발 등에 활용한다면, 개인의 국제화 역량 개발뿐 아니라 대학생 전반의 역량 개발에 널리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growing interdependency among nations around the world has called the needs for the individuals to be globally competent. The so-called Koreans’ ‘crazy wave’ toward learning English and study abroad are prominent reflections of this phenomenon. However, only a limited number of studies ha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nes’ exposure to foreign culture and their levels of global competency. Moreover, the focus of most of the current studies is usually on students’ past experiences of exposure only. Therefore, this paper 1) examines university students’ exposure to foreign culture by covering both the past experience and current exposure habits, 2) measures university students’ level of global competency, and 3) ident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exposure to foreign culture and their level of self-perceived global competency. The target subjects of the study were students of ‘E’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The study used online survey questionnaire as the assessment tool. The data (n=121) was analyzed with SPSS 17.0,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indicate that 40.5 percent of the students have had experiences abroad, 64.5 percent of the students expose themselves repetitively to foreign cultures, and 55.5 percent of the students have taken college courses related to foreign studies. Also, the university students possess moderate level of substantial knowledge in globalization, moderate-high level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kill, high level of tendency toward intercultural acceptance, moderate-high level of intercultural adaptation and integration, and moderate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About the relationship among students’ exposure to foreign culture and their level of global competency, only partial aspects of global competency showed significance with exposure experience. Levels of global understanding, integration tendency toward cultural diversity, and English proficiency were positively related to students’ exposure experiences, while tendency toward intercultural acceptance and adaptation showed no significance with students’ exposure experiences. The frequency and diversity of exposure sources and types also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ree dependent scales stated above. Since the number of cases collected was limited and data were reported only through self-report questions, overgeneralizing the results should be abandoned.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can contribute in developing university students’ general level of global competency if the limitations are supplemented in the future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