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계숙-
dc.contributor.author김영주-
dc.creator김영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1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1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6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7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658-
dc.description.abstract현대사회는 여성의 사회참여의 증가로 여성의 자아개발의 욕구가 증대되고 있다. 여성의 대표 직업인 비서직에도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증가에 따른 직종의 전문화에 대한 비서들의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드러나고 있다. 이는 점차 고도화되면서 다양성을 요구하는 현재 직업세계에서 비서직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문성 개발이 시급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계속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고 요구를 반영한 비서직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바람직한 계속교육의 모델을 제안하는 데 있다. 교육 요구를 구체화하는 방법으로 국. 내외 교육기관의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현직 비서를 중심으로 경력별 면담을 진행하였고, 설문을 통해 교육에 대한 참여도, 선호도, 필요도를 확인해보았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비서의 계속교육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국내 계속교육과 국외 계속교육을 비교했을 때 차이점은 무엇인가? 셋째, 비서의 계속교육에 대한 참여도는 어떠한가? 넷째, 비전공 비서의 계속교육에 대한 요구는 무엇인가? 다섯째, 전공 비서와 비전공 비서의 계속교육에 대한 요구의 차이가 있는가? 여섯째, 비서의 계속교육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계속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력을 지닌 서울 지역 국내 기업 비서 13명을 그룹별로 나누어 2년 미만, 2~5년, 5년 이상 총 세 그룹으로 전공자와 비전공자를 구분하여 일대일 면담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비서카페와 비서협회의 도움으로 85명을 실시하였다. 설문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위해 박혜원(2000)의 “비서직 계속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에 근거를 두었다. 이를 근거로 응답을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의 계속교육기관이 10년 전보다 수가 줄어들어 계속교육이 비서의 활성화에 큰 이바지를 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계속교육과 관련된 비서의 요구를 제대로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둘째, 국외의 계속교육기관은 비서협회를 중심으로 활성화가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외 교육기관은 자체 교육을 실시 후 자격증을 부여받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교육을 장려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비서협회를 중심으로한 네트워크 구축과 인재양성이 필요하다. 셋째, 계속교육에 대한 참여도는 꾸준히 증가해 현재는 32.9%정도의 수치를 보여주고 있으나, 비전공자와 전공자의 계속교육 참여 기관과 목적이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서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비전공자를 위한, 그리고 사내 교육이 대부분 없는 기업을 위한 계속교육 기관의 활성화가 시급하다. 넷째, 비서직종의 기초지식이 부족한 비전공 비서들은 계속교육 기관을 선호하고 참여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들에게는 실무중심의 업무에 대해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네트워크가 부족했다. 따라서 비전공비서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실무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그를 통한 네트워크 구축도 교육기관이 도움을 줘야할 부분이다. 다섯째, 비전공 비서는 비서직에 대한 기초지식의 부족함을 느껴 비서협회 교육을 통해 비서 업무의 체계성을 확립 후 업무를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전공 비서는 대부분 전공을 인정받아 사내교육이 실시되고 있는 대기업에서 근무를 하면서 적어도 일년에 한번씩 사내교육에 참여하고 있었다. 비서협회의 교육은 일회성에 그칠 가능성이 높아 계속교육 기관으로 활용한다는 것에 무리가 있었으며, 사내교육도 일정기간이 지나면 교육 내용의 질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 아쉬움이었다. 비전공비서는 경력을 갖고 있으나 전문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전문 비서에 대한 계속교육을 원하는 경향이 크며, 전공비서는 학문으로서 전공을 이미 갖추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지식을 후배를 양성하는 데 있어서 더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계속교육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여섯째, 실무 중심의 특성이 많기 때문에 비전공자든 전공자든 공통적으로 희망하는 교육의 형태가 사례 중심, 실무 중심의 교육이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기관이 단기간에 정보를 제공하려다보니, 단순 지식 전달형태로 끝나 계속교육에 대한 비서직의 활성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비서직종의 전문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업무의 기초 지식 전달과 사례를 통한 토의 학습이다. 이 두 가지의 구성요소가 레벨에 맞게 프로그램이 구성되어 비서직의 능력과 경력 발전에 맞는 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 본 연구는 10년 전 선행연구 후 비서의 계속교육에 대한 연구가 실행되지 못했다라는 점에 주목하여 비전공 비서를 위한 계속교육에 대해 연구하였다. 따라서 그간의 비서교육의 흐름을 파악하고, 비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비전공 비서의 교육 요구를 정확하게 파악 하는 것에 의의를 두었다. 그럼으로써 비서직종의 활성화를 기대하며, 나아가 기업에서 제도적으로 비서직종의 전문화를 지원해줄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The desire for women's self development in modern society has increased as women have taken more active roles in a variety of social sectors. In the same context, the desire for specialization of secretary job, which has been traditionally considered to be a women's typical job, has been highly demanded. This suggests that it should be an urgent issue to develop professionalism of secretary job in order to strengthen secretarial expertise in this highly advanced and diversified work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esirable model of continuous education for secretary professionalism improvement by reflecting and analyzing needs for continuous education. Specifically, the current secretary training programs that education institutions at home and abroad provide with have been analyzed; experienced secretaries have been interviewed; and a survey to verify proportion of participation, preference and necessity for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present condition on continuous education for domestic secretaries?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in continuous education between home and abroad? Third, how is the proportion of participation for secretary's continuous education? Fourth, what are the needs of non-majored secretaries for continuous education? Fifth, Are there any differences about continuous education between domestic secretaries and abroad one’s ? Sixth, what are components of continuous education program that meet needs of secretaries? To solve these assignments, this study performed face to face interviews with 13 secretaries who work for domestic corporations in Seoul. They are categorized into 3 groups on the basis of their service experience. Each is as follows; less than 2 years, 2~5 years, and more than 5 years. Furthermore, each group is divided into the majored and the non-majored. Secondl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85 secretaries through KAAP(Korean Association of Administrative Professionals) and BISEOBACSEO(an internet cafe for secretaries). To enhance the validity and credibility of the survey,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based upon "A Study on Program Planning of Continuing Education for Secretaries (Park, Hye Won 2000)." Research findings by analysi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continuous education does not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the secretarial job environment because the number of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secretaries has decreased for the last decade. This situation shows the continuing education for secretaries does not meet the demands of secretaries. Second, continuing education for secretaries is provided mostly by professional associations in America. America secretaries can be educated, take qualifying examinations, and get certified in these educational institutions. If KAAP institutes this kind of a system in Korea, it will be able to build up a professional network and offer various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secretaries. Third, proportion of participation for continuous education has been growing steadily up to 32.9% for the last ten years. However, it is clear that there is a considerable gap between the majored and the non-majored in terms of education institutions and purposes. The invigoration of education institution is most important to non-majored secretaries and corporations without internal training curricula. Fourth, non-majored secretaries lacking basic knowledge as to secretary job want to learn in continuous education institutions. Yet, the non-majored do not have professional networks in which they can get practical information. Thus in-service training to enhance professionalism is urgent. The construction of network is an obligation of education institution. Fifth, this study discovers that realizing that they did not have sufficient knowledge to perform their job effectively, non-majored secretaries are conducting their services after establishing the system of secretary service through secretary association's education. The non-majored secretaries have demanded for continuous education leading to professionalism on basis of career. On the contrary, the majored prefer continuous education where they can acquire academic degrees. Sixth, since secretarial jobs are closely related to practical execution, what is commonly required and needed is a case-centered and in-service training. However, many education institutions tend to offer only fragmented information for a short period of time, so the vitalization of continuous education for secretary job often fails. Therefore, components of education program for professionalism of secretary job are the transmission of basic knowledge and the discussion learning based on case studies. These two components should be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program, which is indispensable for capability and career development. In fact, there has not been a study about continuous education for secretaries for the last ten years, Thus, this study have its significance in grasping the trend of education for secretaries and in getting to the heart of educational needs of non-majored secretaries. This study anticipates the vitalization of secretary job, wants to be a helpful material to professionalize secretary job systematical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및 연구 문제 4 C. 용어의 정의 5 II. 이론적 배경 6 A. 계속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6 1. 계속교육의 개념 6 2. 계속교육의 필요성 7 B. 계속교육의 목적 및 내용 8 1. 계속교육의 목적 8 2. 계속교육의 형태 10 C. 비서직 계속교육 에 대한 선행연구 12 D. 비서의 계속교육 국내 현황 14 E. 비서의 계속교육 미국 사례 18 1. 미국 비서 개념 18 2. 미국 비서 : 전문비서협회 21 F. 교육과정 개발 30 III. 연구방법 38 A. 연구 절차 38 B. 조사대상 38 C. 조사실시 39 D. 조사 도구의 구성 및 내용 40 E. 조사자료의 통계처리 40 IV. 연구결과 42 A. 교육 프로그램 요구 분석 42 B. 교육 프로그램 설계 과정 64 C. 프로그램 코스 개발 70 V. 결론 및 제언 74 A. 연구 결과 요약 및 논의 74 B.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77 참고문헌 78 부록 : 설문지 83 Abstract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858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비전공 비서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설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esign of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the Specialization for Non-majored Secretaries-
dc.creator.othernameKim, Young Joo-
dc.format.pagexi, 9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제사무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