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태-
dc.contributor.author김영란-
dc.creator김영란-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4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4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9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7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968-
dc.description.abstractOne of the tasks Korean society should swiftly perform in pace with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children resulting from recent drastic rise in international marriages is language and other educations for the mothers, who moved to Korea to marry Korean men, and their children. Speech-language pathology’s main concern is children from low-income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mothers, who are reported as a high-risk group in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in a lot of previous studies, and their language problems. For the recent few years, basic, substantial studies on overall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performed in the field of speech-language pathology. These studies intended to illuminate those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in multi-dimensional areas by utilizing standardized language tests or informal tests devised by researchers, or collecting voluntary conversations between children and their mother in natural play activity. Prior studies have verified tha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elonged to a group of high-risk in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from their youth and that such problem could develop into their school years. However, most studies were conducted in a limited way by focusing on only group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r comparing their language capabilities with those of children of similar ages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who were living nearby, without strictly controlling other factors such as intelligence or socio-economic status. It is a well-known fact that surroundings of most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rural or urban areas are similar to those of non-Multicultural low-income families in terms of their low socio-economic status and poor language stimulation, and such poor environment is a factor threatening these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However, there have not been any studies of comparing groups—whether children from low-income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ose from non-Multicultural low-income families show homogeneous language development or how different the language development aspec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s from that of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middle-income famil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re clearly define language development aspect of children from low-income Multicultural family by carrying out comparative studies on the three groups’ language characteristics. Such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become important data for establishing plans to make efficient language intervention of those children from low-income Multicultural families. Reflecting such need,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wo parts. Study I compared and analyzed language capabilities of children from low-income Multicultural families, non-Multicultural low-income families, and non-Multicultural middle-income families, thereby examining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study I, study II used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CAI) in order to carry out training of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se children are highly risky in vocabulary developmental delay, and looked at the effect. Study I measured overall language capabilities and vocabulary abilities of a total of 60 children living in Seoul, Inchon, and Gyeonggi-do (39 boys and 21 girls)—20 children aged 3 to 4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other 20 children aged 3 to 4 from low-income families, whose chronological age, intelligence, and socio-economic status were adjusted to be equal, and the other 20 children from middle-income families, whose chronological age and intelligence were adjusted to be equal—with a standardized language test. In order to perform comparative analysis of language and vocabulary capabilities among children from different types of groups, One-Way ANOVA and Scheffé Post Hoc test were conducted using SPSS/Win 12.0 program.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language comprehension, language expression, vocabulary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expression abilities of the group of children from low-income Multicultural famili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from non-Multicultural middle-income families. Compared with the group of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low-income families, the group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a significantly low result only in language expression abilities. Such a result suggests that poor language command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s caused by language and other cultural factors unique to those families (in particular, inadequate input of language and interactivity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erms due to their mothers’ poor language ability) and that therefore parent training for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necessary. Therefore the study result supports careful monitoring of language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has been proposed by previous studies, and early distinction of their language disorders, and importance of language therapists’ role in diagnosis and intervention of them. Study II implemented a parent training program where parents and children participated together, in order to promote poor language expression skills of children from low-income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were verified in Study I. Ten pairs composed of mothers and children, aged 3 to 4 with vocabulary developmental delay and living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were selected and each five pairs with similar nationality,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Korean language skills were assigned to the interven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parent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a total of 12 times. The researcher trained them on how to use promotion strategies through modeling, coaching, and feedback giving. Then the mothers taught vocabulary to their children with CAI.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employ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 training program by measuring mothers’ change in language behaviors and children’s degree of improvement in language expression abilities when they were in dialogue while learning vocabulary. Regarding analysis of data, Mann-Whitney U-test was utilized to measure pre-post differences in frequency of mothers’ language behaviors, degree of precision in children’s vocabulary expression, number of different words, and mean length of utterance. According to the outcome, mothers of the intervention group who received parent training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otal frequency of proper language behaviors and use of questions inducing utterance, relative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former’s total frequency of improper language behaviors and use of directions and arguments significantly decreased. This situation was able to be applied to a condition without training. When there was no training, however, only “response” among proper language behavior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case of children, while those of the intervention group under training display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degree of precision in vocabulary expression and mean length of utterance, relative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children of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 when they were untrained. Regarding study II, mothers who were trained on how to use promotion strategies in detail through an individual parent training displayed positive change in their language behaviors, and their changed language behaviors resulted in their children’s improved language expression skills. Parent training program for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was verified to have positive effect on those mother’s language behaviors and their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ies. The result suggests that systematic and concentrated training of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poor language command can contribute to their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CAI providing immediate visual and auditory feedbacks (for example, animation of actions, letters, and voices of narrators) was useful for children with vocabulary developmental delay and their mothers to learn vocabulary. This study’s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Study I aimed to examine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low-income Multicultural families and it verified that their poor language command was due to uniqu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ies (for instance, causes related with their mothers), besides their socio-economic status; it suggests the importance of early intervention by language therapists and the need for intervention programs where these mothers and children participate together. Based on the result of Study I, Study II conducted a parent training program where the mothers and children participated together. As a result of training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on how to use specific promotion strategies through parent education utilizing CAI, these mothers changed positively in their language behaviors, which in turn enhanced their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ies. This means that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poor language skills may contribute to their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if they are trained in a systematic and intensive manner, and CAI is useful for children with vocabulary developmental delay and their mothers.;최근 급증하는 국제결혼으로 인한 다문화가정과 그 자녀수의 빠른 증가에 발맞추어 우리사회가 신속히 지원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중의 하나는 바로 국제결혼 이주여성인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그 자녀의 언어 및 교육 문제일 것이다. 언어병리학계의 주 관심대상은 많은 선행연구들에서 언어발달지체의 고위험군으로 보고되고 있는, 특히 도시 및 농어촌에 거주하는 저소득층 다문화가정의 아동들과 그 어머니들이며, 그들이 경험하는 언어문제이다. 언어병리학 분야에서는 최근 몇 년 동안 다문화가정 아동의 전반적 언어특성에 대한 실증적 기초연구들이 진행되어왔다. 이러한 연구들은 표준화 언어검사를 이용하거나(권수진, 2006; 김효정, 2007; 박미단, 2009; 박상희, 2006; 이수정 외, 2009; 정은희, 2004; 황상심, 2007), 연구자가 제작한 비공식검사를 사용하거나 혹은 자연스런 놀이상황에서 아동과 어머니 간에 이루어지는 자발적인 대화를 수집하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특성을 다각적인 영역에서 조명하고자 했다(권수진, 2006; 김효정, 2007; 박미단, 2009; 박지윤, 2007; 이윤실, 2009; 유승애, 2009; 최연실, 2007, 배소영 외 2010). 선행연구들은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어린 시절부터 언어발달지체의 고위험군에 처해 있으며, 학령기 이후까지 지속되는 문제로 발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다문화가정 아동집단만을 대상으로 하거나, 지능이나 사회경제적 지위를 엄격히 통제하지 않은 채 인접지역에 거주하는 또래의 일반가정 아동집단과의 언어수행력을 비교하는 등 제한된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사실상 농촌이나 도시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다문화가정은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와 빈약한 언어자극환경 측면에서 저소득층 일반가정의 환경과 매우 유사하며, 이런 열악한 환경이 어린 아동들의 언어발달에 위협적인 요소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과연 저소득층의 다문화가정과 저소득층 일반가정 아동의 언어발달 양상은 동질적인지 혹은 중산층 일반가정 아동과는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집단 간 비교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세 집단의 언어특성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해 저소득층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양상을 보다 명확하게 규정할 필요성이 있고, 이는 향후 저소득층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효율적인 언어중재 계획수립에도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Ⅰ에서는 저소득층의 다문화가정과 저소득층 및 중산층 일반가정 아동의 언어수행력을 비교분석하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하여 연구Ⅱ에서는 어휘발달지체 위험이 높은 아동을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컴퓨터보조학습(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CAI)을 활용한 부모훈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살피고자 하였다. 연구Ⅰ에서는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만 3, 4세의 다문화가정 아동 20명과 생활연령, 지능 및 사회경제적 지위(SES)를 일치시킨 저소득층 일반가정 아동 20명, 그리고 생활연령과 지능을 일치시킨 중산층 일반가정 아동 20명 등 총 60명의 아동들(남:39, 여:21)을 대상으로 하여,표준화된 언어검사로 전반적 언어능력 및 어휘능력을 측정하였다. 집단유형에 따른 아동집단 간 언어 및 어휘력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과 Scheffé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저소득층 다문화가정 아동집단은 중산층 일반가정 아동집단에 비해 수용언어력, 표현언어력, 수용어휘력 및 표현어휘력이 모두 유의하게 낮았으며, 저소득층 일반가정 아동집단에 비해서는 표현언어력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진한 언어능력이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 외에도 다문화가정 고유의 언어문화적 요인의 영향(특히 어머니의 비유창한 언어사용능력으로 인한 양적질적으로 불충분한 언어입력과 상호작용)에 기인한다는 사실과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위한 부모훈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선행연구들이 제안한 다문화가정의 취학 전 아동의 언어발달에 대한 주의 깊은 모니터링과 조기 언어장애판별, 확진 및 중재에 대한 언어치료사의 역할의 중요성을 지지하였다. 연구Ⅱ에서는 연구Ⅰ에서 확인된 저소득층 다문화가정 아동의 취약한 표현언어능력을 촉진하기 위해 어머니와 아동이 함께 참여하는 부모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어휘발달지체를 보이는 3, 4세 다문화가정 아동-어머니 10쌍을 선정하여, 어머니의 국적, 연령, 학력 및 한국어수준을 유사하게 짝지어 5쌍씩 중재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배정하였다. 총 12회의 부모훈련프로그램은 연구자가 모델링, 코치 및 피드백을 통해 어머니에게 촉진전략사용을 훈련하고, 훈련 받은 어머니는 자녀에게 컴퓨터보조학습(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CAI)를 활용하여 어휘를 지도하도록 구성되었다. 어휘학습 시 이루어지는 아동-어머니 간 대화상황에서 어머니의 언어행동 변화와 아동의 표현언어능력의 향상 정도를 통해 부모훈련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사전 사후 검사 통제집단 실험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를 사용하고, 자료분석은 어머니 언어행동의 빈도수, 아동의 표현어휘 정확도, 다른 낱말 수(NDW) 및 평균발화길이(MLU-w)에 대한 각각의 사전사후 차이에 대해 비모수 검정(Mann-Whitney U-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어머니의 경우 훈련 상황에서는 부모훈련을 받은 중재집단 어머니가 통제집단 어머니보다 적절한 언어행동의 총 빈도수와 ‘발화유도’ 질문의 사용이 유의하게 증가하고, 부적절한 언어행동의 총 빈도수와 ‘지시/주장’의 사용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이런 현상은 모두 비훈련 상황으로 일반화되었다. 단,비훈련 상황에서는 적절한 언어행동 중 ‘반응하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아동의 경우에는, 훈련 상황에서 중재집단 아동은 통제집단 아동에 비해 표현어휘력(표현어휘 정확도)과 구문길이(MLU-w)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비훈련 상황에서는 다른 낱말 수(NDW)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연구Ⅱ는 개별적인 부모훈련을 통해 촉진전략 사용법을 구체적으로 훈련한 어머니들이 언어행동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고, 어머니의 변화된 언어행동이 아동의 표현언어능력을 향상시킨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로써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부모훈련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언어행동과 아동의 표현언어능력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비유창한 언어능력을 지닌 다문화가정 어머니도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훈련을 통해 아동의 언어발달 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어휘발달지체를 지닌 아동과 어머니의 어휘학습을 위해, 즉각적인 시청각적 피드백(예: 동작의 애니메이션화, 글자 및 나레이터의 음성)을 제공하는 CAI의 활용이 유용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연구Ⅰ을 통해 저소득층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을 밝히고자 하였고, 그 결과 그들의 언어취약성은 사회경제적 수준 외에 다문화가정 고유의 특성(예: 어머니 관련변인)에 기인하는 것으로 언어치료사의 조기개입 중요성과 어머니-아동 동시참여 중재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연구Ⅰ결과에 근거하여, 연구Ⅱ에서는 어머니와 아동이 함께 참여하는 부모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저소득층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에게 CAI를 활용한 부모교육을 통해 구체적인 촉진전략 사용법을 훈련한 결과, 어머니들에게 언어행동의 긍정적인 변화가 생겼고, 어머니의 변화된 언어행동은 자녀들의 표현언어능력을 향상시켰다. 이는 비유창한 언어능력을 지닌 다문화가정 어머니도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훈련을 통해 자녀의 언어발달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어휘발달지체를 지닌 아동과 어머니의 어휘학습에 CAI 사용의 유용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문제 6 C. 용어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11 A. 다문화가정의 특성 11 1. 다문화가정의 정의 및 유형 11 2. 다문화가정의 현황 및 특성 12 B.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 19 1.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에 대한 선행연구 20 2.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휘발달에 대한 선행연구 30 3. 어휘발달 관련 변인 36 C. 부모훈련 프로그램 41 1. 부모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 41 2. 촉진전략 활용 프로그램 47 3. CAI(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활용 프로그램 52 Ⅲ. 연구 Ⅰ: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 57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57 B. 연구문제 58 C. 연구방법 58 1. 연구대상 58 2. 검사기간 63 3. 검사 환경 및 검사자 64 4. 검사도구 65 5. 평가자 간 신뢰도 68 6. 자료 분석 68 D. 연구결과 69 E. 결론 및 논의 79 Ⅳ. 연구 Ⅱ: CAI를 활용한 부모훈련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언어행동 및 아동의 표현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84 A. 연구의 필요성 84 B. 연구문제 87 C. 연구방법 87 1. 연구대상 88 2. 실험기간 92 3. 실험환경 92 4. 검사도구 및 중재도구 93 5. 실험설계 및 절차 98 6. 자료 분석 112 7. 평가자간 신뢰도 114 8. 사회적 타당도 115 D. 연구결과 120 E. 결론 및 논의 136 F. 제한점 및 제언 145 참고문헌 147 부록 173 Abstract 1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795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저소득층 다문화가정 취학전 아동의 언어특성 및 CAI를 활용한 부모훈련의 효과-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Language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Children from Low-Income Multicultural Families and Effect of Parent Training Using CAI-
dc.creator.othernameKim, Young Ran-
dc.format.pagexiv, 19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