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수정-
dc.contributor.author마주연-
dc.creator마주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1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1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7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7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789-
dc.description.abstractCity brand is a condition that sets distinction from other cities by means of a various functions, facilities, and services and a kind of city marketing that challenges consumers, whose desire is to purchase urban goods, with a strong awareness. Such urban brand is used as a way to differentiate one from the competitive cities and to express the uniqueness of a city and its goods in which a ripple effect of the economy results. Seoul is the city that is changing all too quickly and entirely. Modern and contemporary Seoul has been built on the basis of the political and economical necessity. All the while, the projects for our city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manner of hasty achievement and have lacked a long-term continuous establishment of values or a sufficient consultation with the public. Accordingly, the plans and execution to brand a long lasting city for the sake of creating Seoul’s identity has failed, and consequently, Seoul lost its identity. In realizing such problems, the city of Seoul is currently carrying forward projects to brand the city in order to actively create the innovative urban policies and strategies while recognizing a higher value-added business of the brand of Seoul. By applying a design guideline to each object that forms the city of Seoul, all institutions that belong to the city must put forth the creation of its urban identity in order to provide a consistent urban image out of the aggregation of all components of the Seoul city. In terms of urban marketing strategy, because the consumer purchasing power plays an important role for visual media, a consistent urban identity should be realized by designating a design concept that sui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 urban identity, the more the images conveying media the better the concurrent and repetitive exposure can be favorable. If we repetitively convey the image of Seoul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in which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s advanced, the superior transportation media that can greatly contribute to creating the urban image can actually be a symbolic element that represents Seoul. The current exterior design of the city tour buses, which are necessary and provides tourists easy access to Seoul, is not in harmony with the urban image of Seoul. In addition to the groundless and highly saturated color, the design concept of both a single and double-decker bus that almost give a sense of difference work as a main factor that prevents them from playing a vital role even though they could be a medium that helps establishing the city image effectively. The principle of design the city of Seoul advocates, in this study, has tried to develop a design that empty and integrates and cooperates and a sustainable design by grafting it onto the Seoul City Tour Bus in which result not a transportation medium that gives a sense of difference but that gives a harmony with the city as well as a sense of dynamics. The design guide that can become a means to establish the urban image of Seoul, which is currently ongoing, should be subdivided and be able to maintain a continuous management system, and the increasing interest and effort from the city institutions as well as from the citizens are needed in order for Seoul to rise to an urban brand that is distinctive from that of other competitive cities in the world.;도시브랜드는 도시가 가지는 다양한 기능, 시설, 서비스 등에 의해 다른 도시와 구별되는 상태이자 도시의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에게 강한 인식을 갖도록 하는 일련의 도시 마케팅 활동이다. 이러한 도시브랜드는 도시라는 상품을 경쟁도시 과 식별하고 도시 및 도시상품의 개성과 이미지를 표현하는 수단으로 활용되며 이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가져오게 할 수 있다. 서울은 빠르게 전면적으로 변하고 있는 도시이다. 근 현대 서울은 정치 경제적 필요에 의해 무분별하고 경쟁적으로 세워져 온 듯하다. 그 동안 우리의 도시에 대한 기획들은 대체로 성급히 완료하려는 태도로 수행되어 왔고, 장기지속적인 가치정립이나 충분한 공공적 합의는 부족했다고 판단되어 진다. 이러한 이유로 서울의 정체성확립을 위한 장기적인 도시를 브랜드화 하는 기획과 실행은 부족했고 서울은 정체성을 잃어 버렸다. 이런 서울의 문제점을 인지하여 현재의 서울시는 도시브랜드 사업의 고부가가치적 특성도 인지하면서 적극적으로 도시혁신 정책과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서울브랜드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맞춰 서울의 소속된 모든 기관들은 서울을 구성하는 각 객체들에 디자인가이드라인 적용함으로써 서울이라는 도시구성요소들의 큰 집합체에서 일관된 도시이미지가 인식되도록 지속적인 도시 아이덴티티 정립에 힘써야 한다고 생각한다. 도시 마케팅 전략에서 시각적 전달매체의 소 구력은 대단히 큰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 도시 특성에 맞는 디자인 컨셉 을 설정하고 적용하여 일관된 도시의 아이덴티티를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도시 아이덴티티 정립 과정에서는 동시다발적이고 반복적인 노출을 위한 이미지 전달매체가 많을수록 유리하다. 이러한 이유로 교통 인프라가 발달한 서울의 특성을 이용하여 교통매체를 통해 서울의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전달한다면 개발한 교통매체는 도시이미지정립에 크게 이바지하고, 더 나아가 서울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요소로도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서울 방문객들이 쉽게 접할 수 있고 필요로 하는 서울시티투어버스의 현재 외관디자인은 서울의 도시이미지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근거 없는 고 채도 색채와 1층 버스와 2층 버스의 이질감이 느껴지는 디자인 컨셉 은 서울시티투어버스가 서울의 이미지정립을 효율적으로 도와 줄 수 있는 매개체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역할을 수행 할 수 없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디자인 원칙인 비우는, 통합하는, 더불어 하는, 지속 가능한 디자인을 서울시티투어버스에 접목하여 도시와 이질적인 느낌을 주는 교통매체가 아닌 도시와 조화를 이루는 동시에 관광매체로써 동적인 느낌을 부여하는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힘썼다. 현재 진행 중인 서울시의 도시이미지정립의 수단이 될 디자인가이드라인들은 더 세분화되고 지속적인 관리체계를 유지하여야 하며, 세계 다른 경쟁도시와 차별화되는 도시브랜드로 서울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도시기관들은 물론 시민들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배경 및 목적 1 B. 연구방법 및 내용 3 II. 본론 4 A. 도시브랜드의 이해 4 1. 도시브랜드의 개념 4 2. 도시브랜드의 역할 5 3. 도시브랜드의 구성요소 8 B. 서울의 도시브랜드 분석 10 1. 서울의 도시이미지 아이덴티티 현황 10 2. 서울의 상징요소 11 3. 서울시 공공시설물 가이드라인 21 C. 도시브랜드로써 교통매체의 사례분석 23 1. 해외사례 23 2. 국내사례 25 III. 서울시티투어버스 외관디자인 개선안 제안 27 A. 기획 및 전략 27 1. 서울해치택시 가이드라인 분석 27 2. 서울시 업무용차량 가이드라인 분석 31 3. 서울시티투어버스 외관디자인 분석 37 B. 서울시티투어버스 외관디자인 개발 42 1. 디자인 컨셉 42 2. 컨셉별 외관디자인 시안 53 3. 선호도 조사 및 시안분석 64 4. 최종안 선정 66 IV. 결론 및 한계점 70 참고문헌 71 ABSTRACT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5238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도시브랜드 관점에서 본 서울시티투어버스 외관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ies on the Exterior of Seoul City Tour Bus from the view of City Brand-
dc.creator.othernameMa, Ju-Yeon-
dc.format.pagex, 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