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자형-
dc.contributor.author조해련-
dc.creator조해련-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0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0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2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7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21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levels of knowledge, attitude towards infant oral health, and related health behavior of parents. The sample consisted of 380 parents who provide care for a child aged ranging from 11 to 16 months in the metropolitan Seoul area. Data were collected in October, 2010 using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Bae (2009), which included 11 items for knowledge, 12 items for attitude, and 4 items pertaining to behavior in relation to oral health of infant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17.0. The major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Participants obtained the information on infant oral health via the internet (54.0%), infant care books (40.8%), and families or friends (28.3%). While showing right attitude towards infant oral health, parents were ill-informed regarding infant oral health and engaged in low levels of health behavior. Parents were a lack of knowledge about infant foods and drink, important foods for infant oral health, and infant oral health care. Most participants were not aware of the critical role of parents in maintaining infant oral health. In this study, 42.6% of the parents used a bottle for sleep and 55% currently did not breast feed.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gave their infant drink (54.7%), milk (75.0%), and water (21.2%) before sleep or at night. For snacks, infants had crackers (71.1%), light meals (50.0%), fruits (46.7%), bread (38.5%), and vegetables (7.0%).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ant oral health knowledge according to parents age, education, income, and age of the infant. Attitude towards infant oral healt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arents education and income.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behavior practice for infant oral health according to parents age, income, parents relation to infant, and infant age.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knowledge and behavior for infant oral health.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parents had low levels of knowledge had health practice for infant oral health whereas their attitude towards infant oral health was right. To promote infant oral health, programs that focus on improving parents knowledge and facilitating participation and adherence to such programs utilizing various educational resources such as written materials and the internet. These also need to be tailored to participant age, education, income, relation to infant, and infant age.;본 연구는 영유아 구강건강 관리 실태를 파악하고 구강건강에 대한 부모의 지식, 태도 및 실천을 분석하여, 영유아 구강건강 유지 및 증진에 기여하고자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생후 11개월부터 16개월 영유아의 부모 380명으로 자료수집기간은 2010년 10월 11일부터 29일까지이었다. 연구도구는 배수명(2009)이 개발한 한국 영유아 구강건강 평가도구 중 영유아 구강건강에 대한 부모의 지식 측정 도구 11문항, 태도 측정 도구 12문항, 실천 측정 도구 4문항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test,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모가 영유아 구강건강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로는 인터넷이 54.0%로 가장 많았고, 그 외 육아서적, 가족과 친척 및 지인, 치과, 소아청소년과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영유아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은 평균 5.30점으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고 영유아 식이에 대한 지식과 식이의 중요성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였다. 특히 영유아의 첫 치과 검진 시기, 영유아에게 권장되는 치약의 종류, 치아를 닦아주기 시작하는 시기 같은 구강건강 관리 방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태도는 평균 10.19점으로 대체로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부모의 88.2%가 자녀의 충치 예방을 전문가에게 의존하며 부모가 아동의 구강 건강관리를 자발적으로 하는 것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천은 평균 3.48점으로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영유아 구강건강에 대한 실천은 부모의 42.6%가 자녀를 재우기 위해 우유병을 사용하였고, 54.7%가 밤이나 잠자기 전에 자녀에게 음료를 제공하고 우유와 물을 가장 많이 먹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에게 간식으로 과자를 주는 경우는 71.1%로 우식성 식품인 스낵과 빵을 먹이고 있었다. 영유아 구강건강에 대한 부모의 지식 정도가 높을수록 올바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r=.260, p<.001) 실천은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모의 영유아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 정도는 부모의 연령과 영유아의 월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F=2.631, p=.034, F=2.275, p=.047), 교육수준이 높고 가계 수입이 많은 경우 지식 정도가 높았다(H=33.873, p<.001, F=7.645, p<.001). 그리고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고 가계 수입이 많은 부모의 태도점수가 높았으며(F=11.449, p<.001, F=7.254, p<.001), 실천정도는 부모의 연령, 가계 수입, 영유아 월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F=4.648, p=.001, F=2.818, p=.025, F=3.582, p=.004) 조부모가 양육을 하는 경우 낮았다(F=3.462, p=.032).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부모의 영유아 구강건강에 대해 바른 태도를 가지고 있으나 지식과 실천 정도는 낮은 편이었다. 따라서 영유아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고 올바른 건강행위로의 이행을 강화하는 영유아 구강건강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 시 부모의 연령, 학력, 가계 수입, 주 양육자, 영유아의 월령을 고려하고, 접근성이 높은 인터넷이나 서적 등 다양한 자원에 올바른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3 C. 용어정의 4 II. 문헌고찰 5 A. 영유아기 구강건강 5 B. 영유아 구강건강을 위한 부모의 역할 7 C. 부모의 영유아 구강건강을 위한 지식, 태도 및 실천 8 III. 연구방법 11 A. 연구설계 11 B. 연구대상 11 C. 연구도구 12 D. 자료수집방법 및 기간 13 E. 자료분석방법 14 F. 연구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14 IV. 연구결과 및 논의 15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5 B. 대상자의 영유아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 19 C. 대상자의 영유아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의 관계 31 D.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영유아 구강건강 지식, 태도 및 실천의 차이 33 V. 결론 및 제언 38 A. 결론 38 B. 제언 41 참고문헌 43 부록. 설문지 49 Abstract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65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영유아 구강건강에 대한 부모의 지식, 태도 및 실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Knowledge, Attitude towards Infant Oral Health, and Related Health Behavior among Parents-
dc.creator.othernameCho, Hae Ryun-
dc.format.pagevii, 5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