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1 Download: 0

기계호흡 중인 중증폐렴에서 기관지내시경 검체와 경기관지흡인 검체간의 호흡기 균주의 일치성 평가

Title
기계호흡 중인 중증폐렴에서 기관지내시경 검체와 경기관지흡인 검체간의 호흡기 균주의 일치성 평가
Other Titles
The clinical significance and consistency between bronchoscopic samples and endotracheal or tracheostomic aspirates
Authors
박혜성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중현
Abstract
Background: Distal airway bacterial colonization occurs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endotracheal tubes or tracheostomy. Diagnosis of the lower respiratory infection is complicated due to the difficulty in distinguishing true infection from colonization, as well as isolating a reliable and true pathogen. In general, bronchoscopic samples are considered to be more accurate than transtracheal aspirates. In this study, we tried to evalu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and consistency between bronchoscopic samples and transtracheal aspirates (TTA). Method: We investigated retrospectively the consistency between bronchoscopic samples and transtracheal aspirates among patients with endotracheal tubes or tracheostomy. Fiberoptic bronchoscopy was performed in 212 patients with mechanical ventilation via endotracheal tube or tracheostomy between January 1st, 2004 and December 31th, 2008 in intensive care units at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We tried to evaluate the consistency alteration trends according to hospital stay (<5 days vs. > 5 days, <6 days vs. > 6 days, <7 days vs. > 7 days, <8 days vs. > 8 days, <9 days vs. > 9 days, <10 days vs. > 10 days). Result: Among the 212 enrolled patients, 99(47%) had consistency between bronchoscopic samples and transtracheal aspirates. When we evaluated the consistency alteration trends according to hospital stay, cut-off day was 9, showing a higher consistency rat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patients with a hospital stay less than 9 days. However, there was an attenuation of statistical relationship when adjusting for sex, age, and presence of cerebrovascular disease (<9 days vs. > 9 days; OR 2.040 vs. 1, 95% CI= 0.047-3.424, p=0.048). Consistency between the method of airway (endotracheal tube vs. tracheostomy) was also evaluated,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R 1.9 vs. 1, 95% CI= 0.997-3.582, p= 0.051). Conclusion: Shorter hospital stay (less than 10 days) had higher probability of consistent between bronchoscopic samples and TTA samples. Therefore TTA may be enough to detect the respiratory pathogen in patients with mechanical ventilation within 9 days of hospital stay. We suggest that TTA may be as effective as bronchoscopic samples in patients with shorter hospital stay.;배경: 기관내튜브(endobronchial tube, ET)를 하고 있거나 기관절개(tracheostomy, TS)를 하고 있는 환자에서는 빈번하게 하부 호흡기 내 세균의 군체형성(colonization)이 일어난다. 하부 호흡기 내 염증을 진단하는 데 있어서 진성 감염증과 군체형성이나 오염(contamination)을 구분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신빙성 있는 폐렴의 원인균을 규명하고 동정하는 것 또한 쉬운 일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기관지내시경(fiberoptic bronchoscopy, FOB)이 경기관지흡인(transtracheal aspirates, TTA)에 비해서 하부 호흡기 염증에 있어서 더 정확한 원인균을 제공할 것이라는 믿음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FOB 검체와 TTA 검체 사이의 일치성을 따져보고 이의 임상적 의미를 평가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후향적인 분석을 통하여 기관내튜브를 하고 있거나 기관절개를 하고 있는 환자들 가운데에서 기관지내시경을 시행한 사람을 대상으로 TTA 검체와 FOB 검체 사이의 일치성을 살펴 보았다. 2004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이대목동병원의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중에서 기관내튜브나 기관절개를 통하여 기계호흡을 적용하였던 사람을 일차적으로 선별하였고 그들 가운데에서 FOB를 시행한 사람을 최종으로 하여 총 212명의 환자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우리는 재원일수의 많고 적음에 따라 FOB 검체와 TTA 검체 사이의 일치성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TTA 검체는 대상 환자들의 상황에 따라서 기관내튜브에서 시행된 것인지 기관절개 하에서 시행된 것인지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212명의 환자들 가운데에서 FOB 검체와 TTA 검체가 일치했던 환자는 99명(47%) 이었다. 재원일수의 길고 짧음에 따라서 일치성의 변화 추이를 살펴본 결과 FOB 당일의 재원일수가 5일 미만에서 9일 미만이었던 환자들에서는 재원일수가 짧을수록 FOB 검체와 TTA 검체가 일치할 확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하지만 재원일 수뿐만 아니라 성별, 연령, 뇌혈관질환 (cerebrovascular accident, CVA)에 대해서 보정한 후에는 p값이 0.016에서 0.048로 통계적 유의성이 감소하였다. TTA의 두가지 방식, 즉 기관내튜브와 기관절개 여부에 따라서 FOB 검체와의 일치성 빈도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해 본 결과 기관내튜브에서 odds ratio(OR) 1.9로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효한 수준은 아니었다 (p=0.051). 결론: 재원일수 5일 미만에서 9일 미만의 환자들에서는 FOB를 하든 TTA를 하든 하부 호흡기에서 추출된 균이 서로 일치할 확률이 높았다. 따라서 5일 미만에서 9일 미만의 재원일수를 가진 중증폐렴 환자에 있어서는 TTA로서 FOB를 대체할 만한 하부 호흡기 병원균의 검출 수단으로 삼을 수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짧은 재원일수를 가진 환자에서는 TTA 검체가 FOB 검체를 대신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