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선화-
dc.contributor.author노경민-
dc.creator노경민-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39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5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7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55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compare the imaging characteristics of retropharyngeal lesion in Kawasaki disease with those in non-Kawasaki disease, and seek distinguishing feature that aid in CT diagnosis of Kawasaki disease with retropharyngeal abnormality. Among enhanced neck CT of children with clinical presentation of fever and cervical lymphadenopathy in less than 8 year old for 6-year period, cases with retropharyngeal low density (RLD)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re was no additional clinical symptom at the time of CT examinations. The cases with rim enhancing RLD suggestive of retropharyngeal abscess were excluded. Demographic information, clinical presentation and CT finding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56 cases of RL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diagnosed as Kawasaki disease (n=34) and group B diagnosed as non-Kawasaki disease (n=22). We evaluated the CT features including thickness of RLD and it’s extent into the deep neck spaces, soft tissue change of adjacent structure, enhancing pattern and size (maximal diameter) of the lymph nodes. We also scored the extent of RLD into the deep neck spac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volved deep neck spaces (scoring: 0~6) and soft tissue changes of adjac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volving structure (scoring: 0~3). Comparison between group A and group B were performed with Mann-Whitney U test and Pearson chi2 test.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was used for statistical evaluation. The thickness of RLD was lager in group A than in group B (Group A, 6.0±2.1; Group B, 4.6±1.5, p = 0.01). The extent of RLD to deep neck spaces was significantly more extensive in group A than in group B (Group A, 2.3±1.3; Group B, 0.8±1.0, p <0.01). The adjacent soft tissue changes were more frequent in group A than in group B (Group A, 2.0±1.1; Group B, 1.0±1.0, p <0.01). The lymph nodes were significantly enlarged in group A than in group B (Group A, 20.8±3.2; Group B, 18.7±2.6, p = 0.01). When using score of RLD extent, which accounts more than 1.5 as the threshold for diagnosis of Kawasaki disease, the diagnostic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were 70.6%, 72.7% and 71.4%.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were 70.6%, 68.2% and 69.6% using score of adjacent soft tissue change which accounts more than 1.5 as diagnostic threshold. In conclusion, If children with fever and cervical lymphadenopathy that display retropharyngeal low density with extension into more than two deep neck spaces and changes in more than two adjacent soft tissue, the possibility of Kawasaki disease should be considered rather than non-Kawasaki disease.;본 연구의 목적은 경부 CT를 시행하여 테두리 조영증강이 없는 인두후공간 저음영이 관찰되었던 환아에서 가와사끼 병으로 진단된 군과 이외의 다른 질환으로 진단된 군으로 나누어 CT 소견을 비교 분석하고 가와사끼 병을 진단하는데 도움이 되는 CT 소견을 찾는 것이다. 최근 6년간 8세 이하의 소아 중 고열과 림프절 비대를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여 시행한 경부 CT에서 테두리 조영증강이 없는 인두후부 저음영이 관찰되던 경우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인두후 저음영이 발견된 75례 중 테두리 조영증강을 이 동반된 전형적인 인두후 농양이 있었던 19례를 제외시키고, 인두후 저음영이 있는 56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56례의 환아를 가와사끼 병을 진단 받은 34례 (A군, 60.7%)와 다른 질환을 진단 받은 22례 (B군, 39.3%)로 구분하여 CT소견을 비교하였다. 가와사끼 병 환아는 CT 시행 시 고열과 림프절 비대만을 보였고 이후에 추가로 나타난 임상적 소견을 바탕으로 가와사끼 병을 진단하였다. CT에서는 인두후 저음영의 전후 직경과 심경부로의 파급정도, 인접 연부조직의 염증성 변화 그리고 경부임파절의 최대 직경을 평가하였다. 이 중 인두후부 저음영의 심경부 공간파급 정도(score : 0 - 6)와 동측 경부 연부조직 염증성 변화의 정도(score: 0 - 3)를 점수화하였다. A군과 B군의 통계적 비교를 위하여 Mann-Whitney U test, Pearson 카이제곱검정을 사용하였고, RO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곡선을 이용하여 cut off value를 구하고 각 지표의 민감도, 특이도 그리고 정확도를 구하였다 (SPSS Window version 12.0). 인두후부 저음영의 전후 직경은 A군이 B군 보다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Group A, 6.0±2.1; Group B, 4.6±1.5, p = 0.01). 인두후부 저음영의 심경부 공간 파급 정도를 점수화하였을 때 A군이 B군보다 광범위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Group A, 2.3±1.3; Group B, 0.8±1.0, p <0.01). 인접 연부조직 변화 정도를 점수화하였을 때 A군이 B군보다 빈번하게 관찰되었다 (Group A, 2.0±1.1; Group B, 1.0±1.0, p <0.01). 가장 큰 림프절의 장경은 A군이 B군보다 더 컸다 (Group A, 20.8±3.2; Group B, 18.7±2.6, p =0.01). 인두후부 저음영의 저음영의 전후 직경의 기준 (cut off value)을 4.65mm로 하였을 때, 민감도, 특이도 그리고 정확도는 각각 73.5% (25/34), 54.5%(12/22), 66.1% (37/56) 이었다. 인두후부 저음영의 파급 점수의 기준을 1.5로 하였을 때, 민감도, 특이도 그리고 정확도는 각각 70.6% (24/34), 72.7% (16/22), 71.4% (40/56)이었고, 인접 연부조직 변화 점수의 기준을 1.5로 하였을 때는 각각 70.6% (24/34), 68.2% (15/22), 69.6% (39/56)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를 보였다. 고열과 림프절 비대가 있는 소아의 경부 CT에서 테두리 조영증강이 없는 인두후 저음영이 있으며 그 범위가 광범위하여 두 부위 이상의 심경부 공간으로 파급되어 있고, 두 부위 이상의 인접 연부조직의 변화가 있다면 인두후 연조직염보다는 가와사끼 병의 가능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대상 및 방법 3 A. 연구 대상 3 B. A군과 B군의 CT 소견 비교 5 C. 통계적 분석 6 IV. 결과 8 A. A군과 B군의 CT 소견 8 B. A군과 B군의 CT 소견 비교와 통계적 분석 9 IV. 고찰 11 V. 결론 17 표 18 사진 및 설명 20 참고문헌 26 영문초록 3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029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가와사끼 병에서 인두후 공간 병변에 대한 CT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T Analysis of Retropharyngeal Abnormality in Kawasaki Disease-
dc.creator.othernameRoh, Kyung Min-
dc.format.pageviii, 3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