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1 Download: 0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여성숭고 연구

Title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여성숭고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eminine Sublime in Oh Jung-Hee's novels
Authors
강지희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현
Abstract
오정희가 주로 작품을 창작했던 1970, 80년대는 정치적으로는 유신 정권이 장악하고 있었으며, 경제적으로는 급속하게 산업화가 진행되던 혼란의 시기였다. 오정희 소설은 이런 상황 속에서 여성이라는 사회적 약자로서 살아갈 때 더욱 가중되는 존재론적 불안을 형상화하며, 비천하고 재현 불가능한 타자성과 적극적으로 합일됨으로써 스스로를 파괴하고 해체시키며 탈 존을 경험하는 독특한 양상을 드러낸다. 이 논문은 오정희 소설 전반에 내재되어 있는 양가 성, 상징질서 내부로 환원되지 않는 죽음이나 충동이 발현되는 근본적인 원인이 타자와의 결합과 분리라는 길항 관계에 있다는 것을 밝히고, ‘여성숭고(the feminine sublime)’라는 방법론을 통해 오정희 소설 속의 여성 주체가 타자와 관계 맺는 양상의 통시적 변화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살펴 볼 ‘여성숭고’는 포스트모던적 숭고의 연장선상에 놓이며, 그 핵심에 재현 불가능한 급진적 타자 성(alterity)과의 조우를 내포하고 있다. 여성은 무시무시한 광포함과 역겨움, 생사가 구별되지 않는 순수한 충동의 경험, 자신 안에 타자를 합치시키는 우울증, 자아의 상실 등을 통해 스스로를 비천한 몸으로 구성함으로써 가부장제 아래서 왜곡된 미의 범주를 벗어나 주체가 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괴물적 형상이나 자아의 상실은 추상적인 차원에서 재현을 벗어나며, 타자와 분별되지 않고 밖을 향해 끊임없이 허물어지고 열린다. 숭고를 지향하는 여성 주체는 자신을 주체로 구성하는 순간 해체되는 영원히 구성 불가능한 진행형의 주체로서, 타자에 대한 모종의 윤리성을 획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여성숭고 개념을 구체화하기 위해 포스트모던적 숭고 개념과 함께 정신분석학적 용어들을 도입해 상보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타자성과 결합하는 독특한 양상을 분석한다. II장에서는 오정희 초기 소설에서 상실에 대한 애도를 거부하고 우울증적 주체가 되어 동성애를 행하는 독특한 면모를 통해 타자의 내면화나 합체가 이루어지는 것에 주목한다. 인물들은 동성애를 금지하는 기존 규범을 준수하지만 이런 명령 수행의 과정에서 결국 그 말들을 충실하게 전달하면서 동시에 배반하는 일탈 성을 보여준다. 그래서 이들의 동성애는 아버지의 법(근친상간 금기/동성애 금기)을 교란하는 최대치의 순간이 되며, 이를 통해 애도를 거부하고 상실한 인물들은 모두 내적으로 동일화함으로써 복수적 젠 더 정체성을 갖게 된다. 이들은 내밀한 사적인 공간에서는 동성애를 나누고 공적인 공간에서는 이를 숨기지만, 공적인 공간에서 동성애적 욕망은 금지됨으로써 역설적으로 그 욕망을 보존한다. 공간의 대립성은 거울이나 유리 같은 반사 성이 있는 사물에 의해서도 나타나며, 이는 주체와 타자의 분리를 드러내면서도 동시에 주체가 타자를 내재화하고 합일하는 것을 환상적으로 구현한다. 현실의 규제에 대한 방어로서 독백적 언술이 반복되고, 공적 공간에 흐르는 노래는 본래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애도 불가능한 대상에 대한 사랑을 상기시키며 그 대상에 관한 고백으로 변한다. 이런 분열적 언어를 통해 인물들은 가부장적 사회에서의 동성애에 대한 금지에도 불구하고 대상에 대한 불가능한 사랑을 유지하며, 서사는 애도 불가능성을 확인하며 길항 작용 속에서 순환한다. III장에서는 여성 인물들이 주체성 상실의 위협을 가져오는 어머니를 공포스럽게 느끼지만, 억압적인 가부장적 상징질서 속에서 낙태나 유아 살해, 성적 타락 같은 행위를 통해 스스로를 비 체(the abject)화 함으로써 어머니와 적극적으로 동일시하는 것을 보여준다. 상징 계는 어머니와의 분리를 통해 주체를 형성하길 요구하기에, 광기나 히스테리를 통한 어머니와의 동일시는 상징 계를 해체하는 하나의 전략으로 사용된다. 무엇보다 가부장제가 허락하지 않는 남성과의 성행위는 언뜻 사회적으로 타락한 부정한 여자가 되는 ‘자기 파괴’의 순간인 동시에, 위협적이기에 상징 계의 질서에서 배제된 어머니와 자신을 연결시키는 ‘자기 구성’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여성숭고를 보여주는 행위가 된다. 억압적 현실에서 공간은 전도되어, 편안함을 느껴야 할 내부 공간은 남성에 의해 지배되며 곳곳에서 부패가 진행되고 있는 부정적인 공간으로 감각되고, 여성 인물들은 남성 질서를 벗어난 외부 공간을 기억과 상상으로 재구성하면서 더 편안하게 느낀다. 그러나 남성적 내부 공간에 가부장적 상징질서가 배제하고 추방시킨 어머니/여성의 목소리가 침투하면서, 이 공간은 기호 계로서 모든 요구를 수용하는 코라(chora) 공간이 된다. 어머니와 분리 불가능한 우울증을 겪고 있는 우울증 환자들은 자신의 욕망을 숨기기 위해 흉내와 위장의 언어를 사용하고, 이는 상징질서를 향한 전략적인 저항의 언어가 된다. 소설 속 여성인물들의 충동적이고도 모순적 언술이나 복화술과 같은 이중적 발성은 로고스의 “아버지 언어”가 몸에 가까운 “어머니 언어”를 탈취하는 것을 거부하며, 로고스에 대한 패러디를 통해 로고스에 대항한다. 그리고 이는 괴물 여성, 미친 여성을 축출하고 배제해왔던 남성 질서의 허약한 토대를 폭로하는 서사로 이어진다. IV장에서는 오정희 후기 소설에서 일상 곳곳에서 권태와 친숙하지만 낯선 이물 감에 시달리던 인물이 급작스럽게 도래하는 타자성과 마주하면서 한없이 자아를 확장시켜 무한전체와의 교감으로 나아가는 지점을 고찰한다. 여기서 여성 인물들은 타자와 분리될 수 없음을 느끼고 자신을 거대한 자연과 영구한 시간의 일부로서 직감하면서, 온몸이 산산이 해체되는 희열로서의 여성숭고를 구현해낸다. 여성 신화적 공간은 성(聖)과 속(俗)의 두 가지 존재 양식이 긴밀하게 결부되어 있는 속에서 나타난다. 물은 세계 문명이나 신화에서 여성성과 모성 성을 상징하는 기호로서 통용되어 왔으나, 인물들이 현재 바라보는 파로 호는 물이 빠져 텅 빈 상태이며, 우물은 봉해져 흔적만 남아 있다. 하지만 인물들은 자신을 해체하고 거대한 외부 세계로 스스로를 열어 합일됨으로써 정지되어 있고 생명력이 제거되어 있는 속된 공간을 성스러운 공간으로 이행시킨다. 인물들은 죽음으로 점철된 자신의 삶에 대해 침묵하고 응시함으로써 이를 넘어서고자 한다. 언어의 절제와 외부로 향한 응시는 외부 세계에 대해 타자화된 자신의 내면에 대한 성찰과 직결된다. 이는 레비나스의 얼굴처럼 억압적이지 않은 정언적 명령과의 마주침을 통해 일어나고, 여성으로서의 존재론적인 삶에 대한 깨달음과 함께 무한한 타자와 생명을 포용하며 자신의 정체성을 새롭게 구성하는 서사로 완성된다. 이렇듯 오정희 소설은 초기작에서부터 최근의 후기작에 이르기까지 타자와의 결합과 분리 사이에서 끊임없이 길항하는 것을 보여준다. 스스로를 비 체 화 하고 적극적으로 자신을 해체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주체와 타자가 분리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과 주체의 유동성과 내적 분열에 대한 인지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모종의 윤리성을 획득한다. 무엇보다 후기에서 타자의 외연을 비가시적인 사물들과 자연 그리고 죽음에까지 넓혀가 자신의 존재를 파열시키며 자아와 타자 사이의 모든 경계를 무화 시키는 것은 오정희의 소설 세계가 미적 범주를 넘어 끊임없는 분열 속에서 주체의 외연을 넓혀나가는 진행형의 여성숭고적 특성을 체득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이렇게 여성숭고에 입각한 오정희의 소설 분석은 오정희 문학을 평가하는 새로운 미학적 ․ 윤리적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기존 논의에서 비정상적 욕구로 치부되거나 소통의 좌절로 읽혔던 많은 부분들을 긍정적인 시각 아래 새롭게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낸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지표가 될 것이다.;In 1970s' and 1980's, when Oh, Jung-hee created mainly her works, it was a chaotic period because Yushin regime seized politically and industrialization was progressed dramatically for economy. Oh's novels formulated ontological anxiety which is pressed more when a woman living as a second-class citizen in this situations and revealed unique aspect experiencing out of ontology with demolition and dissolution herself from unification with humble and impossibly reproductive alterity actively. This thesis will find the antagonism relationship as joint and distinct with others which becomes fundamental reason to reveal death or impulse that can't be back into ambivalence, inside of symbolic order in entire Oh's novels and has purpose on consideration of chronological changes of aspects having relationship between feminine main agent and others in Oh's novels with the methodology of 'the feminine sublime'. 'The feminine sublime' to be focused mainly in this thesis is as an extension of post-modern sublime and includes the encounter with impossibly reproductive radical alterity in the main idea. Feminines prepared the base to be a main agent beyond the scope of distorted beauty under the patriarchy by organization of humble body by herself with enormous fury, disgust, experiences of pure impulse which makes distinction of life and death impossible, melancholy unified others in herself, and loss of ego. However, this freaky form or loss of ego escape the reproduction as abstract aspect, demolished and opened with aiming outside continuously without distinction with others. Feminine main agent who are aiming sublime is disjointed at the moment of organizing herself as main agent as permanently impossible to organize main agent on the progress of acquiring a kind of ethic for the others. In this thesis, post-modern sublime and psychoanalysis terminologies are introduced and adjusted compelmentarily and analyze unique aspects joining with alterity to specify this feminine sublime conception. In chapter Ⅱ, I focused on how internalize others and unified to be established by unique aspects as refusal to condolences for loss and being melancholic main agent to do homosexuality in Oh's early novels. Characters in novels kept original standards prohibiting homosexuality, but in this process, they showed deviation betraying these standards with faithful delivery. Therefore, their homosexuality is the maximized moment of disturbing father's law(incest prohibition/homosexuality prohibition) and with this, they refuse condolences and all of lost characters unify intrinsically and had multi gender identity. For these characters with close desires as homosexuality, space is divided into private and public spaces according to possibility and impossibility of expression for desires. They share homosexuality in close private space and hide in public space; on the contrary, they preserve their homosexually ironical desire with being prohibited. In this opposition of spaces is expressed by objects with reflection such as mirrors, glass, and this reveals distintion of main agent and others and makes main agent's internalization and unification of others with fantasy at the same time. Characters repeated monologue discourse as defense for regulation with reality. The songs in public space remind love for impossible subjects irrelevant with original intends, and become confessions for that subject. Thus characters maintain impossible love for subjects nevertheless prohibition for homosexuality in patriarchy society and epics confirm condolences impossibility and circulated in antagonism. In chapter Ⅲ, you can see that feminine characters have fears with mothers for threats of identity loss, so they make themselves as the abject with abortion. infanticide, sexual corruption in aggressively patriarchal symbol order to identify with mothers actively. Symbolic world requires to form main agent through distinction from mother, so identification with mother using insanity or hysteria is used as one of the strategies to disjoint symbolic world. Above all, sexual acts with men which is not allowed by patriarchy means the moment of 'self-destruction' with being socially corrupted unfaithful woman, but also 'self-organization' with liking mother and herself excluded from order of symbolic world because of its threat, and this is the act to show feminine sublime. And this aggressive reality is expressed by conductivity of spaces. Inner space to be comfortable is ruled by masculine and perceived as negative space with corruptions in everywhere, female characters feel more comfortable in external space without masculine order with reorganization of memories and imaginations. However, mother/feminine voice excluded and dispossessed by patriarchal symbolic order invaded into masculine inner space and this space become Chora space accepted every requests as a symbolic world. Feminine characters in novels pretend to be not themselves to circumferential masculines, and try to overthrow aggressive order surrounding them with tricky languages. impulsive and ironic discourse and songs of characters is resistant because they are related to writings raising Chora disorder such as language of chaos, ironical discourse, illogic, and paradox related to death impulse, symbolic impulse and become epics revealing weak scaffolding of masculine order excluding and extracting freaky women and insane women in patriarchy. In chapter Ⅳ, I consider the point of going to communion with ultimate wholeness by diffusion of ego continuously when the character, who are accustomed to being bored in daily lives but suffered by strange feeling of irritation, facing alterity raising suddenly in late novels of Oh. In this occasion, feminine characters feel the impossibility of distinction from others and have intuition about themselves as a part of huge nature and permanent time, and make feminine sublime real as joy, the body disjointed into pieces. Feminine mythic space in late novels of Oh appeared inside connected closely with both existence ways of the saint and snob. Water is considered as revealing symbol feminity and maternity in civilizations in the world or myths, the Lake Paro is empty without water seen by characters now, and well is enclosed and just trace is remained. But characters opened and unified with external world by themselves, to implement snobbish space which is stopped and removed for life into sacred space. Melanchoiacs suffered from their melancholia with imppossibility of seperation with mothers use languages of imitation and camouflage to hide their own desires and these languages become languages of stragetic resistance aming to symbolic orders. Double discourse such as impulse and ironic discourse or ventriloquism of female characters in the novels refuses to seize "fathers' language" of Logos from "mothers' language" and resists to this Logos with parody of Logos. Besides, this is leading to epics revealing weak basis of masculine orders that is driving out and excluding freaky and insane women. As above, we can see Oh's novels form early to late ones are in the ultimate antagonism between joint and disjoint with others. The abject of themselves and disjoint themselves actively acquires a kind of ethics from the point of that main agent and others can't be disjointed and the point of cognition about liquidity and internal division of main agent. Above all, in her late novels, to fracture existing themselves and eliminate all the boundaries between ego and others to the invisible things, nature and death reveal that Oh's novel world is more than aesthetic scope, but learning of characteristics of progressive feminine sublime expanding main agent's extension from endless division. The analysis of Oh's novels with feminine sublime become meaningful mark because this put evidences to evaluate many parts which were abnormal desires or desperation of communication from previous discussions with positive views based on suggests of new aesthetic and ethical point of view to evaluate Oh's litera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