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6 Download: 0

성대결절로 인해 스테로이드 주입술을 받은 직업적 음성 사용자의 음성치료 효과

Title
성대결절로 인해 스테로이드 주입술을 받은 직업적 음성 사용자의 음성치료 효과
Other Titles
Voice Therapy Effect for Professional Voice Users with Vocal Nodules and Use Steroid Injection
Authors
최정임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심현섭
Abstract
직업적으로 음성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적 음성 사용자의 경우 음성장애가 많이 발생한다. 이들은 충분한 음성 안정을 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음성을 사용해야 하므로 음성장애가 많이 생긴다(Wingate, Brown, Shrivastav, Davenport & Sapienza, 2007). 음성장애 중 성대결절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Roy, Gray, Simon, Dove, Corbin-Lewis & Stemple, 2001), 성대결절은 성대 과기능 때문에 발생한다. 그러므로 성대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직업적 음성 사용자에게서 더 자주 발견된다(Boone & McFarlane, 2000). 성대결절은 성대에 발생하는 가장 일반적인 양성병변으로 일반적으로 양측성이다. 성대결절이 있으면 쉰 목소리, 기식적인 목소리, 인후두 불편감 등을 느끼는데(Roy & Bless, 2000), 직업적 음성 사용자의 경우 이런 문제점과 더불어 일을 하면서 불편함을 느끼거나 심할 경우 일을 그만두어야 하는 부가적인 문제도 겪게 된다(Yiu, 2002). 성대결절의 치료법은 약물, 수술과 같은 의학적인 치료와 음성위생법 교육, 음성산출 교육과 같은 음성치료가 있다. 최근에는 수술적 방법이 가진 한계점 즉, 입원, 전신마취, 수술의 위험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치료법으로 스테로이드 주입술이 있다. 스테로이드 주입술은 짧은 시간에 효과를 볼 수 있고, 시술 후 음성안정기간이 수술보다 짧아서 일상생활을 하는데 더 많은 이점이 있다(Tateya, 2009). 특히 수술을 하게 되면 오랜 시간 동안 음성안정을 취해야 하는데, 직업적 음성 사용자의 경우 직업적으로 음성 사용 요구가 많아서 수술을 하기에 어려움이 많다. 이와는 다르게 스테로이드 주입술은 보통 1주일 안에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고, 음성사용을 바로 할 수 있어서 이들에게는 더욱 편리한 치료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학적인 치료법만 시행 시에는 재발과 같은 문제가 따른다. 진용대·표화영·최홍식(1996)의 연구에 따르면 수술적 처치 후 오히려 음성이 나빠짐을 보고하여 음성치료의 효과 및 필요성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또한 음성치료를 병행하지 않을 경우 음성의 개선 없이 악화될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Boone & McFarlane(2000)도 성대결절이 주로 음성의 오·남용으로 인해 생기므로 근본적인 과기능적 음성행동을 줄이고 발성패턴을 바꾸지 않는 한 재발하게 된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므로 의학적인 치료를 할 때 음성치료를 같이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테로이드 주입술을 받은 성대결절 환자들에게 음성치료를 병행하였을 경우 음성치료의 효과를 연구한 논문이 없다는 점을 고려하여, 성대결절로 인해 스테로이드 주입술을 받은 환자 중 직업적 음성 사용자에게 음성치료를 하였다. 그리고 그것이 효과가 있는지 후두스트로보스코피(성대결절 재발률 비교), 음성장애지수작성(기능적지수, 신체적지수, 정서적지수), 음향학적 검사(주파수변동율, 진폭변동율, 소음 대 배음 비율)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성대결절 환자, 특히 직업적 음성 사용자의 성대결절 치료에 효과적인 치료법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양측성 성대결절로 인해 스테로이드 주입술을 받은 26명의 성인 여성이었으며, 교사, 텔레마케터, 영업사원 등 모두 직업적 음성 사용자였다. 이들을 각 집단별 13명씩 음성치료를 병행한 실험집단과 음성치료를 병행하지 않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의 경우 스테로이드 주입술을 시행하기 전 본 연구자에게 회기 당 30분씩 총 3회기의 음성치료를 받았으며, 스테로이드 주입술을 받은 후부터 8주 동안 언어치료사에게 배운 음성치료방법을 시행하면서 지내도록 하였다. 또한 스테로이드 주입술 2주 후, 4주 후, 6주 후 때 음성치료 재교육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의 경우 대상자들은 스테로이드 주입술만 받고, 음성치료는 받지 않았다. 각 집단은 스테로이드 주입술 전과 주입술 8주 후에 후두스트로보스코피, 음성장애지수작성, 음향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치료 효과를 비교하였다. 집단 간 스테로이드 주입술 전과 후의 음성장애지수 및 음향학적 변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삼원혼합분산분석(Three-way mixed ANOVA)을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집단 간 스테로이드 주입술 전과 후의 성대결절 재발률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 집단별로 집단의 전체 대상자 중 성대결절이 재발한 사람이 몇 명이었는지 백분율(%)을 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사전 검사 시 집단 간 음향학적 변수에 차이가 있었으므로 정확한 치료 효과 비교를 위하여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 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대상자들의 사전-사후 검사시점 간 모든 음성장애지수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후 검사 시 음성장애지수의 점수가 사전 검사 시보다 낮았다. 둘째, 전체 대상자들의 사전-사후 검사시점 간 모든 음향학적 변수 역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후 검사 시 모든 음향학적 변수의 수치가 사전 검사 시보다 내려갔다. 셋째, 집단과 사전-사후 검사시점 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통제집단의 경우 사전-사후 검사시점에 따라 모든 음향학적 변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실험집단의 경우 사전-사후 검사시점에 따라 모든 음향학적 변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실험집단이 사후 검사 시 모든 음향학적 변수의 수치가 사전 검사 시보다 많이 내려갔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넷째, 실험집단은 성대결절 재발률이 15.4%로 80%이상의 대상자들이 재발하지 않았다. 반면 통제집단은 성대결절 재발률이 53.8%로 50%이상의 대상자들이 재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대상자들이 스테로이드 주입술과 음성치료로 인해 성대결절로 인한 문제를 치료 전보다 심각하지 않게 받아들이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스테로이드 주입술과 음성치료로 인해 대상자들의 음성이 개선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스테로이드 주입술에 음성치료를 병행하였을 경우 스테로이드 주입술만 하는 것보다 성대결절 재발률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음성을 많이 사용해야 하는 직업적 음성 사용자들의 경우에는 스테로이드 주입술을 할 때 음성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성대결절 치료에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보이며, 성대결절 치료 시 의학적 치료를 선택할 경우, 음성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oice therapy effect for professional voice users who have vocal nodules and use steroid injection treatment.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mpared vocal nodules recurrence and voice by using laryngeal stroboscopy, subjective evaluation (voice handicap index, VHI), and objective evaluation (Jitter, Shimmer, NHR). Twenty-six female professional voice users who had vocal nodules and were treated with steroid injection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N=13) received the steroid injection and voice therapy, and the control group (N=13) received the steroid injection only.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between the two group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such as vocal nodules recur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measure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ree sessions of voice therapy for thirty minutes before steroid injection and three re-training sessions after steroid injection. All subjects were examined just before steroid injection and eight weeks later. The group differences in vocal nodules recurrence and voice were investigated by a 3-way mixed measures ANOVA (2 groups × 3 tasks × 2 times). When significantly different values were observed, two dependent samples t-tests were applied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of the means. Furthermore, the group differences existed in the pre-test phase, so ANCOVA was applied to compare the treatment effec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ll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oth in the subjective and in the objective evaluation before and after steroid injection. Second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bjective evaluation before and after steroid injection. But the control group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bjective evaluation before and after steroid injection. Third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less vocal nodules recurrence (15.4%) than the control group (53.8%) after eight weeks.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d that all subjects accepted their voice problems less after treatment than before, because of the steroid injection and voice therapy. Also, all subjects showed voice improvement after treatment because of the steroid injection and voice therapy. Furthermore, the experimental group's vocal nodules recurrence was less tha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voice therapy can be an effective method of removing vocal nodules and improving the voice. Also, voice therapy is a necessary treatment for professional voice users with vocal nodules using steroid injections. Therefore, when treating professional voice users with vocal nodules, voice therapy should be considered if medical treatments are u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