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혜경-
dc.contributor.author강혜원-
dc.creator강혜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31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31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5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6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598-
dc.description.abstract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까지 변실금에 대한 대부분의 역학 연구들은 고 위험군으로 생각되는 고 연령군, 여성 등을 제한된 인구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젊은 연령군부터 고 연령군까지, 남성과 여성을 모두 포함한 한국 성인에서의 변실금의 유병율 및 예측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연구 대상자는 건강검진을 위해 이대 목동병원을 방문한 사람들로 정하였다. 이들은 성별, 연령, 당뇨, 고혈압의 유무, 담낭 절제수술의 기왕력 및 기능성 위장장애와 관련된 배변 횟수 및 형태에 대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키, 몸무게, 혈압, 혈당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는 총 1149명 (평균연령 44.8±10.2세, 남자 648명)으로, 변실금의 전체 유병율은 6.4%였다. 50세 이상의 고 연령군에서 유병율이 50세 미만의 젊은 연령군에서의 유병율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10.4% vs. 4.9%, p=0.001) ,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남성 6.2%, 여성 6.8%, p=0.717). 이들 중 78.4%가 경증의 변실금이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고 연령 (OR=3.1, 95% CI=1.9-5.2, p=0.000), 설사 형태의 배변 (OR=2.8, 95% CI=1.5-4.9, p=0.001), 그리고 기능성 설사 (OR=2.7, 95% CI=1.4-5.4, p=0.004)가 변실금의 독립적인 예측인자였다. 그러나 당뇨, 고혈압, 뇌졸중, 치매, 담낭 절제수술의 기왕력, 비만과 기능성 소화장애는 변실금과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 결론: 한국성인에서 변실금의 전체 유병율은 6.4%였다. 이는 고 연령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빈도로 발생하였고,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고 연령 외에 설사와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 변실금의 독립적인 예측인자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배변 형태의 조절이 변실금의 예방에 중요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Background/Aims: Most previous epidemiologic studies about fecal incontinence (FI) were performed in specific populations such as aged people, female, or nursing home patients. We aimed to estimate the prevalence and predictive factors of FI in Korean population from young to old ages including both men and women. Methods: Subjects who had undergone comprehensive medical check-up were enrolled. They complet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including demographics, gastrointestinal symptoms including frequency and stool consistency, and medical and social histories, and also about their bowel habits associated with FI.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constructed to identify the predictive factors for having FI. Results: Among total 1,149 subjects (mean age, 44.8 ± 10.2 years; 648 males), the overall prevalence of FI was 6.4%, while the older group (≥ 50 years old) showed the higher results than the younger group (<50 years old) (10.4% vs. 4.9%, p = 0.001) without showing any gender difference. Most incontinence was mild in 78.4% of the FI group. As results of the multivariate analysis, old ages (OR = 3.1, 95% CI = 1.9-5.2, p = 0.000), watery stool (OR = 2.8, 95% CI = 1.5-4.9, p = 0.001), and functional diarrhea (OR = 2.7, 95% CI = 1.4-5.4, p = 0.004) were found to be independent predictors. Dementia, diabetes, hypertension, stroke, cholecystectomy, obesity, and functional bloating didn’t show any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FI.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FI in Korean adults was 6.4%, and it was significantly more prevalent in old peoples than the younger ones, without showing any gender difference. Aging, diarrhea were independent predictive factors of FI. Therefore, we could say that proper control of the bowel pattern would lead to the prevention of FI.-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INTRODUCTION 1 II. METHODS 3 A. Study Subjects 3 B. Data Collection 3 C. Definitions 6 D. Statistic analysis 8 III. RESULTS 10 A.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10 B. Prevalence of Fecal Incontinence 11 C. Assessment of predictors for Fecal Incontinence by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12 IV. DISCUSSION 24 V. CONCLUSION 29 REFERENCES 30 국문초록 3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1454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Prevalence and Predictive factors of Fecal Incontinence-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한국 성인에서 변실금의 유병율 및 예측인자-
dc.format.pageviii, 3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