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영옥-
dc.contributor.author이주연-
dc.creator이주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8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8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4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6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431-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도시공간을 향유하는 거주민의 서비스 수요에 대한 조사가 충분히 병행되지 못했고 도시라는 공간에 대한 철학 및 비전이 수반되지 못한 상태에서 기술위주의 도시계획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문제인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따라서 ‘지역’이라는 한정적 공간에서 u-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역 주민 커뮤니티의 활성화 및 비즈니스의 장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의 ‘지역’은 생활권 중심 공간으로써 역 세 권 위주의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로 그 의미를 한정하였고, 사례지역으로 은평구 뉴 타운과 연신 내 역 근방을 선정하였다. 대부분의 u-City에서 서비스 모델로 제공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잘 이용되지 않고 있는 기존의 u-포털 서비스에 주목하여 해외와 국내의 공공/민간부문 모 바일 서비스 사례를 살펴본 후 이동성과 즉시 성을 충분히 살린 모 바일 기기, 즉 스마트 폰 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지역기반 모 바일 웹 포털 사이트를 제안하였다. 이후 제안한 서비스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업체 점주와 주민 대상의 설문조사 및 서비스 제공 주체인 지자 체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통해 서비스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후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 수익창출 기능의 비즈니스 모델로서의 가능성 역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방적인 정보제공 형식의 웹 기반 사이트 대신 언제 어디서나 정보의 접근이 가능한 모 바일 웹 형식의 생활정보 서비스를 제안하고 주민의 참여의사 율을 알아봄으로써 u-City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던 시민 체감 형 서비스 부재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엿보았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된 서비스를 통해 지역 내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도출하였다. 수익창출의 관점에서 상품의 정보 제공과 구매 상품의 할인이라는 방법을 이용하여 지역 내 소상공인 및 주민을 타 겟 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보았다. 지역 내 상인은 광고 전략을 통해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점 간 연계 등 새로운 마케팅 수단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으며 시민은 다양한 정보 획득 및 불특정 타인 대신 익숙한 이웃의 상점 평가 내용을 보고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제안한 결과 62% 정도의 주민과 74% 정도의 업체가 서비스의 참여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여기에서 전제되어야 할 사항은 직접적인 혜택(할인, 매출 증가 등)및 정보의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된 서비스를 통해 지자 체는 도시민의 정보사용 양상과 소비성향 등에 대한 직접, 간접적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주민들은 소 셜 네트워크 기능을 통해 지역에 대한 애착을 형성하고 연대감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된 서비스에 대한 지불의사 금액을 기준으로 연차 별 수익성을 분석한 결과 3차년도 이후부터 투자 대비 수익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비즈니스 모델로 기능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가상의 공간과 실제적인 공간의 일체화를 통해 주민의 교류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지역전체가 생활하기에 최적화된 공간이 되어 지역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알아본 것이 본 연구의 핵심적 시사점이지만 제안하는 서비스를 발전시켜 수익모델로 만드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시범 서비스 도입을 통해 실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의사를 실제적으로 알아볼 수 있고 경제적인 창출효과를 상세히 분석할 수 있는 연구로써 확대 발전시켜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obile ubiquitous portal service model through 'smart phone'. Affecting factors are used that derived from polling and interviewing the residents and vendors of the case region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mobile ubiquitous service. There is a large number of city-planning which has title of 'Ubiquitous City', but most of them do not have any particular understanding about the district and the residents. Simply, this study focused on the offering useful services to residents who live in specific region, 'Eun-Pyeong New Town', and this study suggests a service model for various interested parties, including residents, vendors, and public organizations. To be so, this study analyze status of development in Mobile Web 2.0 and research into the related literature was conducted, along with empirical researches about domestic and foreign, also public and private mobile services. After several key factors were set up for users, 'Mobile U-Portal Service Model' is established.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surveys are carried out divided into two groups(residents and vendors), and a 'Business Model' that considered price range that also derived by result of surveys is establish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 First, this study offers the chances for experiencing customized services to residents in ubiquitous city. As using smart phone, people can access the exact information or social network anytime and anywhere. Unlike other U-City service related previous researches that mostly were conducted in the standpoint of provider like local government bodi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U-City service using opinions of citizens by surveys and interviews. So this service can fully reflect the opinion of the residents. Secon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improve regional economic vitalization in some specific Region. After polling and interviewing, this study deducted factors of willingness-to-pay of residents in Eun-Pyeong. So when residents use the mobile u-portal service, they involve the mechanism of the process of service model and go through some prescribed formalities, 'pay some money and share the information of stores'. Most of users answering to the survey gave an affirmative reaction with regard to expansion of participatory opportunity and expressed their opinions of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And to the vendors, as service get energized, also rise profits and grow sales. Third, local government can get useful information of people's behavior and feed into local policy. These outputs can be used when setting up customized local political vision or strategy.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ervice can improve local amenity of urban space. However, this study ended up planning a service that made up mobile web and mobile application, and also used arbitrary charging method. Therefore, sustainable researches will need be conducted in the future in consideration of such limit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배경 및 목적 1 B. 연구 내용 7 C. 연구 방법 및 절차 8 Ⅱ. 정보기술 동향 및 지역정보 서비스 관련 연구 동향 10 A. 모바일 웹 2.0의 개념 및 발전 동향 10 B. 지역정보 서비스 관련 선행연구 고찰 17 Ⅲ. 모바일 u 서비스 관련 사례연구 23 A. 공공부문 사례 23 B. 민간부문 사례 35 C. 사례연구에 대한 시사점 45 Ⅳ. 모바일 u 포털 서비스 구상 및 비즈니스 모델 분석 46 A. 모바일 u 포털 서비스 기본 구상 46 B. 모바일 u 포털 사이트 구성 55 C. 모바일 u 포털 적용가능성을 위한 수요조사 및 분석 62 D. 모바일 u 포털 비즈니스 모델 가능성 분석 76 Ⅴ. 결론 및 제언 81 참고문헌 84 부록 1. u 포털 서비스 이용에 대한 설문조사(주민용) 88 부록 2. u 포털 서비스 이용에 대한 설문조사(점주용) 92 ABSTRACT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974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모바일 웹 2.0개념의 지역기반 u 서비스 모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모바일 u 포털 서비스를 사례로-
dc.title.translatedA Study about localized u Service Model based on the concept of Mobile Web 2.0-
dc.creator.othernameLee, Joo-Yun-
dc.format.pagevi,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생활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