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명선-
dc.contributor.author이은정-
dc.creator이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7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8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6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849-
dc.description.abstract최근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 우리나라도 국민건강증진법 제정 및 보건소법 개정을 통해 보건소가 지역사회의료사업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상자의 건강행위와 관련하여 Pender의 건강증진모델을 이용하여 지역사회 건강증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보건소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건강행위 실천 실태를 파악하고, 대상자들의 건강행위 실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대상자들의 건강행위 실천을 증가시킴으로써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증진에 올바른 역할모델이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서울시 소재 5개 보건소에 근무하는 406명의 보건소 공무원을 대상으로 2010년 10월 25일 ~ 11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들의 과거 건강행위를 분석한 결과 일주일에 6번 이상 아침식사를 하는 사람이 가장 많았고, 간식은 일주일에 4~5번 먹는 사람이 가장 많았다. 또한, 술은 한달에 3~4번 마시는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운동은 일주일에 2~3번 실시했던 사람이 가장 많았다. 195명(48.0%)의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이 좋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대비 건강상태는 172명(42.4%)가 보통이라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 지각된 유익&#8231;장애성, 자기효능감은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직무스트레스는 3.06±0.469, 지각된 유익&#8231;장애성은 3.74±0.471, 자기효능감은 3.49±0.469로 나타났다. 건강행위의 경우 매일 아침을 먹는 사람들이 115명(28.3%)로 가장 많았으며, 하루에 간식을 1~2번 먹는 사람들이 281명(69.2%)로 과반수 이상이었다. 하루 평균 수면시간은 5~6시간이 202명(49.8%)로 가장 많았고, 한달에 1번 정도 음주를 하는 사람들이 145명(35.7%)로 가장 많았다. 또한, 담배를 피운 적이 없는 사람이 326명(80.3%)로 과반수 이상이었고, 30분 이상의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 사람이 119명(29.3%)로 가장 많았다. 2.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건강행위 관련 특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지각된 건강상태의 경우 연령(p<.05), 학력(p<.05), 직급(p<.01), 고용형태(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는 결혼상태(p<.05), 직급(p<.01), 고용형태(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지각된 유익&#8231;장애성은 성별(p<.05), 직군(p<.05), 고용형태(p<.05),에 따라 자기효능감은 종교유무(p<.01), 학력(p<.05), 직급(p<.05), 고용형태(p<.01), 보건소 근무기간(p<.05)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건강행위는 성별, 종교, 보건소 근무기간을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인구학적 특성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행위를 살펴본 결과 연령, 학력, 결혼상태, 직급, 직군, 고용형태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과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행위 실천율이 높았으며, 직군의 경우 약무직을 제외한 다른 직군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지각된 건강상태에 따른 건강행위 관련 특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직무스트레스, 지각된 유익&#8231;장애성, 자기효능감 모든 요인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났으며, 관련 특성 보두 ‘매우 좋다’고 대답한 경우 가장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5. 과거 건강행위에 따른 건강행위 관련 특성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의 경우 과거 음주횟수(p<.05)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지각된 유익&#8231;장애성은 과거 아침식사 횟수(p<.05), 과거 간식섭취 횟수(p<,05), 과거 운동횟수(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자기효능감과의 관련을 살펴본 결과 과거 음주횟수(p<.01)만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6. 건강행위와 관련 있는 요인들과 건강행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건강행위에 지각된 건강상태(p<.01), 과거 건강행위, 지각된 유익&#8231;장애성과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났다(p<.05).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은 건강행위 실천과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7. 건강행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과거 건강행위, 고용형태, 직군 순으로 유의하였다. 인구학적 특성, 지각된 건강상태, 과거 건강행위, 지각된 유익&#8231;장애성이 보건소 공무원의 건강행위의 실천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54.8%였다.;Recently, the rate of death by chronic disease, is increasing steadily. To prevent this, the public health center will have taken a leading role in the local community medical business through an establish to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act and an amendment to the law of public health center in Korea. Accordingly this research, using the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which is related with subject health behavior who government employees serve at the public health center have taken important position in the local community health promotion, have comprehended the actual condition of health behavior. For increasing the health behavior practice of subject to comprehend the factor which have effect on health behavior practice, which can be a correct role model in the local community health promotion. A survey was performed on 406 government employees who serve at five public health centers in Seoul. The period of survey was from 25th October, 2010 to 15th November, 201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below. 1. As for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health behavior, there's large number of people who eat the breakfast 6times a week, eat the snacks 4 or 5times a week, drink alcohol 3 or 4times a month, also do the exercise 2 or 3times a week. 195 employees(48.0%) have self-confidence on their health. And 172 employees(42.7%) think that their health condition are average which compare their age. Work-related stress, perceptible beneficial&#8228;obstacle, and self-efficacy were composed by 5 points measure. The results show those work-related stress were 3.06±0.469, perceptible beneficial&#8228;obstacle were 3.74±0.471, and self-efficacy were 3.49±0.469. In the case of health behavior, 115people(28.3%) who eat the breakfast at every morning were large group in the subject. 281people(69.2%) eat snacks one or twice a day who take the greater part of the subject. In the case on average of sleeping hours, 202people(49.8%) sleep 5 or 6 hours a day who were large group in the subject. 145people(35.7%) drink alcohol once a month who take large group. Also, 326people(80.3%) were non-smokers who take the greater part, 119people(29.3%) had never done exercise over 30 minutes who were large group in the subject. 2. According to the analyzing of the results on characteristic difference of the health behavior by general characteristic, perceptible health condition have specific differences on age(p<.05), education level(p<.05), rank of the position(p<.01) and employment forms(p<.05) in statics analysis. Work-related stress have specific differences on state of marriage(p<.05), rank of the position(p<.01) and employment forms(p<.001). Perceptible beneficial&#8228;obstacle have specific differences on gender(p<.05), field of the occupation(p<.05) and employment forms(p<.05) and self-efficacy have specific differences on religion((p<.01), education level(p<.05), rank of the position(p<.05), employment forms(p<.01) and period of work at public health center(p<.05) in statics analysis. Health behavior have specific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 and statics analysis except gender, religion and period of work in public health center. 3. As for the health behavior by general characteristic, the results have specific differences on age, education level, state of marriage, rank of the position, field of the occupation and employment forms in statics analysis. 4. As for the health behavior by perceptible health condition, the results have specific differences on all factors as work-related stress, perceptible beneficial&#8228;obstacle and self-efficacy in statics analysis. 5. As for the past health behavior by health behavior characteristic, work-related stress have specific differences on the past frequency of drinking (p<.05) in statics analysis, perceptible beneficial&#8228;obstacle have specific differences on the past frequency of having breakfast(p<.05), having snacks(p<.05) and doing exercise(p<.05) in statics analysis. Self-efficacy have specific difference on the past frequency drinking(p<.01) in statics analysis. 6.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related with health behavior and health behavior, the health behavior have specific differences on perceptible health condition(p<.01), the past health behavior and perceptible beneficial&#8228;obstacle(p<.05). Work-related stress and self-efficacy don't have specific relation in health behavior practice. 7. The factors, which effect on health behavior practice have specific differences on the past health behavior, employment forms and field of the occupations. The ability of explanation occupied 54.8% what explained of the health behavior practice by general characteristic, perceptible health condition, employment forms and perceptible beneficial&#8228;obstacl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연구의 문제 4 D.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8 A. 건강행위 8 B. Pender의 건강증진모델 10 C.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4 Ⅲ. 연구방법 19 A. 연구 설계 19 B. 연구대상 및 방법 20 C. 연구도구 및 내용 21 D. 자료 분석 방법 25 E. 연구의 제한점 26 Ⅳ. 연구결과 및 고찰 27 A. 연구대상자의 특성 27 B.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행위 관련 특성의 차이 42 C.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행위 48 D. 지각된 건강상태에 따른 건강행위 관련 특성의 차이 50 E. 과거 건강행위에 따른 건강행위 관련 특성의 차이 53 F. 건강행위 특성간의 관련성 56 G. 건강행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8 Ⅴ. 결론 및 제언 60 참고문헌 63 부록. 설문지 68 Abstract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809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보건소 공무원의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Pender의 건강증진모델을 이용하여-
dc.title.translatedA Study on factors affecting Public Health Center Workforce for Health Behavior besed on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dc.creator.othernameLee, Eun Jeong-
dc.format.pagevii,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보건관리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