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남수-
dc.contributor.author최하늬-
dc.creator최하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5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5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4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6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452-
dc.description.abstract1990년 이후로 한국 남자와 외국인 여자의 국제 결혼 건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여성 결혼 이민자들은 새로운 가정의 일원이 되는 과정 중 다양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한국에 거주하는 베트남 여성 결혼 이민자의 영양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 이민자들은 한국 식생활에 적응하면서 어려움을 겪고, 본국 음식을 접할 기회가 부족하기 때문에 영양상태가 불량해지기 쉽다. 그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문제로 인해 나타나는 식품 불안정성이 이들의 불량한 영양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국에 거주하는 다문화 가정의 식품 불안정성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베트남 결혼 이민자의 식품 불안정성 수준을 파악하고, 한국인 남편과 식품 불안정성을 인지하는데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베트남 여성 결혼 이민자 286명과 84쌍의 베트남 여성 결혼 이민자 - 한국인 배우자 부부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286명의 베트남 여성 이민자에서 최근 1년 동안 돈이 모자라서 식사량을 줄이거나 충분히 먹지 못한 대상자의 비율은 32.9 %이고, 식사를 거른 비율은 38.5 %로 나타났다. 그리고 최근 1년 동안 집 안에 음식은 있으나 내가 먹고 싶은 음식이 없어서 또는 입맛에 맞는 음식이 없어서 배가 고팠던 적이 있었던 대상자의 비율은 43.0 %이고, 식사를 거른 비율은 28.7 %였다. 식품 불안정성을 인지함에 있어서 베트남 여성과 한국인 남편 사이에 불일치가 나타났다. 베트남 여성이 경제적인 이유로 나타나는 식품 불안정성에 대해서 한국인 남편에 비해 5배 높게 인지했으며, 입맛에 맞는 음식이 없어서 나타나는 식품 불안정성에 대해서 남편보다 2배 정도 더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 안에 음식은 있으나 내가 먹고 싶은 음식이 없어서 또는 입맛에 맞는 음식이 없어서 식사를 거른 적이 있다고 응답한 베트남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식이섬유 (P = 0.046), 비타민C (P = 0.047), 엽산 (P = 0.038)의 섭취량이 더 낮게 나타났다. 한국인 남성에서는 그들의 베트남 부인이 경제적인 이유로 식사량을 줄이거나 충분히 먹지 못한 적이 있다고 대답한 경우에 그렇지 않은 대상자들에 비해 1,000 kcal 당 비타민 C (P = 0.049)를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인이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식사를 거른 적이 있다고 답한 남편은 그렇지 않은 군보다 1,000 kcal 당 칼슘 (P = 0.004)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그리고 부인이 집에서 입맛에 맞는 음식이 없어서 식사를 거른 적이 있다고 답한 한국인 남편은 우유 및 유제품과 두류 식품군을 식품 안정성이 보장된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추적연구를 통해 다문화 가정에서 부인과 남편 사이에 식품 불안정을 인지하는데 왜 불일치가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읍∙면 지역에 거주하는 저소득층의 여성 결혼 이민자의 식품 불안정성을 줄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International marriages (Korean men-foreign women) have been increasing rapidly in Korea since 1990. Female marriage immigrants must become part of a new family system but many of them face a variety of difficulties. Our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 nutritional status of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is inadequate. Food insecurity due to economic problems as well as a lack of adjustment to unfamiliar Korean foods and limited access to Vietnamese foods may be major reasons; however, no study has been conducted on food insecurity among such intermarried coupl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food insecurity in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and whether Korean husband-Vietnamese wife couples indicate food insecurity differently. A cross-sectional analysis of the Cohort of Intermarried Women in Korea was performed with 286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s and 84 intermarried couples. Among the 286 Vietnamese immigrants, 38.5 % skipped meals and 32.9 % reduced the size of meals or ate less than they desired because there was not enough money for food in the last year. About 43.0 % felt hungry and 28.7 % had skipped meals at times because there was no food they wanted to eat or no foods appealing to their appetite at home in the last one year. Among intermarried couples, wives indicated 5 times and 2 times more food insecurity due to economic problems and no foods appealing to their appetite, respectively, than their Korean spouses, showing a marked discrepancy in indicating food insecurity between couples.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who skipped meals due to unavailability of foods appealing to their appetite showed lower intakes of fiber (P = 0.046), vitamin C (P = 0.047), and folate (P = 0.038) and percentages of plant food of total foods (P = 0.004) than those who did not. Korean husbands whose wives reduced the size of meals or ate less than they desired, or skipped meals due to economic problems had lower intakes of vitamin C (P = 0.049) and calcium (P = 0.004) per 1,000 kcal/day than subjects whose wives were food secure. A follow-up study is needed to investigate why this discrepancy exists and how to reduce food insecurity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living in low-income rural commun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Introduction 1 Ⅱ. Methods 4 A. Study subjects 4 1.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4 2. Korean husband-Vietnamese wife couples 5 B.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etary behaviors 5 C. Food insecurity 6 D. Diet quality 7 E. Anthropometric parameters, blood pressure, and blood profiles 8 F. Statistical analysis 8 Ⅲ. Results 10 A. Food insecurity of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10 1. General characteristics 10 2. Food insecurity 12 3. Food intakes 15 4. Daily nutrient intakes 18 5. MDA scores 24 6. Blood profiles 27 B. Food insecurity of intermarried couples 30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termarried couples 30 2. Discrepancy in indicating food insecurity of intermarried couples 32 3. Food intakes of Korean husbands 36 4. Dietary nutrient intakes of Korean husbands 39 5. MDA scores of Korean husbands 45 6. Blood profiles of Korean husbands 48 Ⅳ. Discussion 51 Ⅴ. References 57 Appendix 64 국문초록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5595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Discrepancy in indicating food insecurity between intermarried couples of Vietnamese wives and Korean husbands in South Korea-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베트남 여성 결혼 이민자와 한국인 남편의 식품 불안정성에 대한 불일치-
dc.creator.othernameChoi Ha Ney-
dc.format.pagevi,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