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광자-
dc.contributor.author임주리-
dc.creator임주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2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2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1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6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182-
dc.description.abstract직업은 한 개인과 그 가족을 위한 생계유지 수단이며 더 나아가서 개인의 자아실현을 위한 수단이다. 정신장애인들에게 있어서 직업은 정신과적 증상의 치료 유지에도 큰 도움이 되며, 수입을 통해 지역사회에서 생활할 수 있는 비용이 충당된다. 궁극적으로는 그 지역사회에 머무를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응 능력의 주요지표가 된다. 그러나 정신장애인은 자신감 결여, 기능 및 동기저하, 대인관계의 어려움, 사회적 고립 등과 같은 특성들로 인해 직업을 얻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이 직업을 갖는데 있어 저해요소로서 대인관계 능력과 구직활동을 선택하여 그 정도 및 이들 간의 상관성을 알아보아 직업재활 활성화의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해 시도한 상관관계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S시 소재의 2개 정신보건센터와 9개 사회복귀시설에 등록된 정신장애인 중에서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총 272명이다. 자료 수집은 2010년 8월 20일부터 9월 17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대인관계 25문항, 구직활동의 적극성 12문항, 취업동기 7문항인 총 4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조사된 자료는 SPSS WIN 1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등의 서술통계와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cheffe's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별은 62.1%가 남성이었고, 연령은 30-39세가 많았으며, 학력은 고졸이상 48.9%, 진단명은 정신분열병 74.3%로 가장 많았다. 2. 대상자의 대인관계 평균은 64.18점으로, 폐쇄병동 입원 정신장애인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만성정신장애인의 발병 전 직업유무에 따라 대인관계에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구직활동의 적극성은 46.84점으로 낮병원 이용 정신장애인보다 다소 높았고, 학력, 자격증 유무, 지지자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취업동기는 16.63점으로 종교의 유무, 학력, 자격증 유무, 직업훈련 경험 유무, 발병 전 직업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대인관계, 구직활동의 적극성, 취업동기간의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연구의 결과는 정신장애인이 직업을 갖기 위해 필요한 구직활동의 적극성에 있어 대인관계와 취업동기가 모두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 변수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학력, 자격증, 직업훈련경험 유무, 발병전 직업 유무, 지지자 등이 있으므로 이를 반영한 세분화된 직업재활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정신장애인의 취업을 활성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Work is an important means for an individual and his or her family to earn a livelihood and accomplish self-realization. Work is also very helpful for persons with mental illness to ameliorate their mental problems and finance their expenditures to live in the community. As such, occupation can be a key indicator of understanding how well a person with mental illness adapts to their local community. However, persons with mental illness have difficulties in finding employment due to lack of self-confidence, poor job performance, troubl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ocial iso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of interpersonal relations, motivation for employment, and initiatives for job-seeking behavior in persons with mental illness as inhibiting factors in finding a position, in order to provide preliminary data to facilitate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this population. The sample consisted of 272 persons with mental illness who were registered in two mental medical centers and nine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a large cit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Data werecollected from August 20 to September 17, 2010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44 items, including 25 questions about interpersonal relations, seven questions about motivation for employment, and 12 questions about initiatives for job seek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ANOVA with Scheffe's test procedures were used with SPSS 14.0 for data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62.1% of the respondents were male.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were aged between 30 and 39. Nearly half of the sample (48.9%) had a high school education accounting for the largest proportion in this study. The most common mental illness was schizophrenia (74.3%). 2. The average score of interpersonal relations was 64.18, which is similar to that of patientswith mental illness who were hospitalized in a closed wa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 scores depending on the status of employment among individual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3. The average score of job seeking initiatives was 46.84 which is higher than scores reported in persons with mental illness who visit a hospital in day time. The average score of motivation for employment was 16.6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itiative for job seeking activities according to educational attainment, having a license, and supporter, whereas the levels of motivation for employment were different depending on educational attainment, having a religion, a license, and job experience before the onset of the disease. 4.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interpersonal relations, motivation for employment, and initiatives for job seeking activities in this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initiatives for job seeking activities are associate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and motivation for employment.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tailored to education, licenses, vocation training, and supporters are needed for employment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용어의 정의 4 Ⅱ. 문헌 고찰 6 A. 대인관계 6 B. 구직활동 9 Ⅲ. 연구방법 14 A. 연구 설계 14 B. 연구 대상 14 C. 연구 도구 14 D. 자료수집 방법 16 E. 자료분석 방법 17 F. 연구의 윤리적 고려 17 G. 연구의 제한점 18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19 A. 대상자의 제 특성 19 B. 대상자의 대인관계, 구직활동의 정도 23 C. 대상자의 대인관계와 구직활동의 관계 26 D.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 구직활동의 차이 27 V. 결론 및 제언 32 참고문헌 36 부록. 설문지 42 ABSTRACT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86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정신장애인의 대인관계와 구직활동-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nterpersonal Relations and Job Seeking Behavior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dc.creator.othernameLimb, Ju Ri-
dc.format.pagevi,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