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8 Download: 0

허혈성 뇌졸중환자의 이차예방을 위한 퇴원 후 전화상담의 효과

Title
허혈성 뇌졸중환자의 이차예방을 위한 퇴원 후 전화상담의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Telephone Counseling after Discharge for Secondary Stroke Prevention in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Authors
김은정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문실
Abstract
Secondary strok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are being executed in order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ischemic stroke in stroke patients, but the effect of regular telephone counseling as a nursing intervention has not been studied sufficiently.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how regular telephone counseling applied to ischemic stroke patients after their discharge from hospital affects their knowledge related to the secondary stroke prevention of stroke and their self‐care performance , and it was carried out as quasi‐experiment research based on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to November 12, 2010 from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ischemic stroke first at a tertiary general hospital in Seoul and were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after individual discharge education.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19) and a control group (n=18). The telephone counseling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ir discharge once a week, a total of 4 times, and 10 - 15 minutes each time. For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 measured their secondary stroke prevention knowledge and self-care performance using a questionnaire before the experiment and after 2 and 4 weeks of the experiment. Knowledge related to secondary stroke prevention was measured using the disease‐related knowledge test for acute‐phase ischemic stroke patients developed by Ham, Mi‐yeong(2001)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the researcher, and self-care performance was measured using the self-care performance inventory for acute phase ischemic stroke patients developed by Kang Seon‐mi(2005)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the researcher. The reliability of the tools was Cronbach α=.700 for knowledge about secondary stroke prevention, and Cronbach α=.799 for self-care performanc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AS Version 9.2, and differences among the measuring points of time, namely, before the experiment and after 2 and 4 weeks of the experiment were analyzed using a mixed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secondary stroke prevention knowledge, and self-care performance, so the two groups were considered homogeneous. 2. After 2 weeks from discharge, secondary prevention knowledge increased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ut after 4 weeks, it increased steadily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rather decreased in the control group (F=14.921, p=<.001). This result supported the hypothesis “The ischemic stroke patient group provided with telephone counseling after discharge will come to have more secondary stroke prevention knowledge over time than the control group.” 3. After 2 weeks from discharge, self-care performance increased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ut after 4 weeks, it increased steadily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rather decreased in the control group (F=38.121, p=<.001). This result supported the hypothesis “The ischemic stroke patient group provided with telephone counseling after discharge will come to have higher self‐care performance over time tha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how that ischemic stroke patients provided with telephone counseling after discharge have increased secondary prevention knowledge and self‐care performance after 4 weeks from discharge, and thus, prove the effect of telephone counseling as a nursing intervention. In particular, individual discharge education provided on discharge is effective only temporarily and has a limitation in maintaining and increasing secondary prevention knowledge and self‐care performance. Telephone counseling may be useful as a nursing intervention that can overcome such a limitation and help the patients take care of themselves continuously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ischemic stroke.;뇌졸중 환자에게 허혈성 뇌졸중의 재발방지를 위해 이차예방교육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으나, 간호중재로서 정기적인 전화상담만의 효과를 확인한 연구가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게 퇴원 후 정기적인 전화상담 중재를 시행한 후 뇌졸중 관련 이차예방관련 지식과 자가간호 이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서울시내의 일개 3차 종합병원에서 최초로 허혈성 뇌졸중으로 진단을 받은 후 개별 퇴원교육을 받고 퇴원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2010년 9월 1일부터 11월 12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고, 연구대상자는 실험군 19명, 대조군 18명 이었다. 전화상담은 연구자가 직접 10분-15분씩 실험군에게 퇴원 후 매주 1회, 총 4회적용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실험 처치 전, 처치 2주 후, 처치 4주 후에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차예방관련 지식과 자가간호 이행을 측정하였다. 이차예방관련 지식은 함미영(2001)이 개발한 급성기 허혈성 뇌졸중환자의 질병관련지식 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자가간호 이행은 강선미(2005)가 개발한 급성기 허혈성 뇌졸중환자의 자가간호수행 측정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차예방관련 지식에 대한 Chronbach α= .700, 자가간호 이행에 대한 Chronbach α= .799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AS version 9.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실험 처치 전, 처치 2주후, 처치 4주후의 시간경과에 따른 차이는 Mixed model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 및 이차예방관련 지식, 자가간호 이행은 실험군과 대조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그룹은 동질하였다. 2. 이차예방관련 지식은 실험군, 대조군 모두 퇴원 2주 후에는 이차예방관련 지식이 증가하였으나 퇴원 4주 후에는 실험군의 경우 이차예방관련 지식이 꾸준히 증가한 반면, 대조군의 경우 퇴원 4주 후에는 이차예방관련 지식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F=14.92, p=<.001), “퇴원 후 전화상담을 제공받은 허혈성 뇌졸중 환자군은 대조군보다 시간 경과에 따라 이차예방관련 지식이 증가할 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이차예방관련 지식의 하위영역 중 질환관련 지식(F=6.072, p=.005), 생리학적 위험요인관련 지식(F=3.282, p=.049), 생활습관요인관련 지식(F=3.781, p=.032), 일상생활주의관련 지식(F=5.483, p=.008), 약 복용법관련 지식((F=13.902, p=.009)은 전화상담을 제공받은 허혈성 뇌졸중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하게 지식이 증가하였다. 3. 자가간호 이행은 실험군, 대조군 모두 퇴원 2주 후에는 자가간호 이행이 증가하였으나 퇴원 4주 후에는 실험군의 경우 자가간호 이행이 꾸준히 증가한 반면, 대조군의 경우 퇴원 4주 후에는 자가간호 이행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F=38.121, p=<.001), “퇴원 후 전화상담을 실시한 허혈성 뇌졸중 환자군은 대조군보다 시간 경과에 따라 자가간호 이행이 증가할 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자가간호이행의 하위영역 중 투약 이행(F=22.293, p=<.001), 식이 이행(F=7.151, p=.002), 금연 이행(F=6.481, p=.004), 절주 이행(F=4.263, p=.022), 운동 이행(F=8.321, p=.001), 자가측정 이행(F=4.491, p=.018), 일상생활주의 이행(F=24.882, p=<.001)은 전화상담을 실시한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하게 자가간호 이행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병원방문이행(F=0.013, p=.987)은 시간경과에 따라 전화상담을 제공받은 허혈성 뇌졸중 환자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퇴원 후 전화상담은 퇴원 4주 후에 이차예방관련 지식과 자가간호 이행에 효과를 나타내어 간호중재로서의 전화상담 효과를 입증하였다. 특히 퇴원 시에 실시하는 퇴원 교육은 일시적인 관리효과를 나타낼 뿐 장기적으로 관리하고 이차예방관련 지식과 자가간호 이행을 꾸준히 유지, 증가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전화상담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지속적으로 허혈성 뇌졸중 재발을 예방하고 꾸준히 환자 스스로 관리하고 확인받을 수 있는 추후관리 간호중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