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연순-
dc.contributor.author우재경-
dc.creator우재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7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9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6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94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교실수업의 예측 불가능한 특성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전문성이 요구되는 이 시대에 필요한 교사의 역할은 도구적 전달자가 아닌 상황적 실천가로 보았다. 교사가 교실 수업의 예측 불가능한 상황 속에서 상황적 실천가로서의 역할을 어떻게 수행해나가는지를 탐색하는 일이야말로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드러내고 명시화할 수 있는 적합한 방법이라고 보았다. 그런데 기존의 수업 전문성 연구들은 교실 수업의 예측 가능한 면에 주로 주목했으므로, 이제는 교실 수업의 예측 불가능한 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수업 전문성 신장의 관점에서 교사의 수업을 바라보는 새로운 창으로 교사가 수업 중 인식한 ‘예측하지 못한 순간’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실수업 중 교사가 인식한 ‘예측하지 못한 순간’은 어떠한 특징을 갖는가? 둘째, 교실수업 중 교사가 인식한 ‘예측하지 못한 순간’의 발생은 어떠한 교수 맥락에서 나타나는가? 셋째, 교실수업 중 교사가 인식한 ‘예측하지 못한 순간’에 교사는 어떻게 대응하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사례 연구로 이루어졌다. 연구자 선정 기준은 ‘정직한 정보 제공자, 성실한 연구 참여자’였으며, 4학년을 담당하는 초등학교 교사 3인이 연구에 참여하게 되었다. 총 33차시 수업 관찰 자료와 단원 도입 전 면담, 수업관찰 후 면담, 추가면담의 세 가지 종류 면담자료를 주자료로 수집하였으며, 보조 자료로 연구자의 현장노트, 학생들의 과학수업일기, 그리고 단원 평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수집된 ①자료 전사하기 ②‘예측하지 못한 순간’ 수업장면 선별하기 ③귀납적 분석에 의한 범주체계 개발하기 ④범주 체계에 의한 자료 분석하기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수업 중 교사가 인식한 ‘예측하지 못한 순간’은 학생, 교사, 환경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세 발생주체 중에서 학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에 의해 발생한 ‘예측하지 못한 순간’의 특징은 5가지로, ①오개념, 오답, 그리고 수행의 오류 ②수업 흥미나 목적 또는 참여의 이탈 ③내용 이해, 과제 해결과 관련한 학생의 어려움 ④새롭거나 엉뚱하고 때론 다른 학생의 시각 ⑤선행학습을 한 학생들의 앞선 반응이었다. 교사에 의해 발생한 ‘예측하지 못한 순간’의 특징은 3가지로, ①설명, 안내, 자료 준비와 관련한 교사의 실수 ②시간 조절의 어려움 ③불현듯 떠오른 교사의 생각이었다. 환경에 의해 발생한 ‘예측하지 못한 순간’의 특징은 2가지로, ①수업매체의 장애 ②방해꾼의 등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들 중 오개념, 오답, 수행 오류와 같은 ‘학생의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학생의 새로운 시각’이 그 다음으로 많이 나타났다. 교사별로 비교한 결과, ‘학생의 오류’와 ‘학생의 새로움’이 차지하는 빈도가 상당히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수업 상황에서 학생반응에 대한 교사의 이해, 교사가 지닌 과학 지식, 그리고 새로움을 평가하는 교사의 개인적 기준에 따라서 교사마다 수업에서 ‘예측하지 못한 순간’을 다르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예측하지 못한 순간’은 7개의 수업 맥락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①교사가 설명을 하는 맥락 ②학생의 이해를 확인하는 맥락 ③사고를 촉진하는 질문 맥락 ④학생들이 실험·관찰·토의 등의 활동을 하는 맥락 ⑤교사가 학생의 활동 결과를 확인하는 맥락 ⑥수업을 점검하는 맥락 ⑦수업을 진행하는 맥락에서 ‘예측하지 못한 순간’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가장 많이 나타난 발생맥락은 사고를 촉진하는 질문 맥락이었으며 학생활동 맥락이 다음을 이었다. 이를 교사별로 비교해본 결과, ‘사고 질문’에서 가장 큰 차이가 나타났다. ‘예측하지 못한 순간’을 많이 인식한 교사일수록 ‘사고 질문’의 발생맥락이 두드러지게 많았으며, 이는 학생의 경험과 이해에 중점을 두는 교사일수록 ‘예측하지 못한 순간’을 드러내기 위한 맥락을 제공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수업 중 ‘예측하지 못한 순간’을 접한 교사는 본래의 수업 계획으로 유도하거 수업 계획을 변경하는 두 가지 방향의 대응을 나타냈다. 그 중에서 교사들은 수업계획을 변경하기보다 주로 수업계획으로 유도하기를 시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계획으로 유도하는 대응’으로는 ①수업진행을 지향하는 유도 ②학생의 학습을 지향하는 유도가 확인되었고, ‘계획을 변경하는 대응’으로는 ①수업진행을 지향하는 변경 ②학생의 학습을 지향하는 변경이 확인되었다. 여기에서 ‘수업진행을 지향’ 한다는 것은 교사에게 용이한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대응을 한다는 의미이고, ‘학생의 학습 지향’을 한다는 것은 학생에게 용이한 방식으로 학습 이해와 경험의 충분한 기회 제공하는 대응을 한다는 의미이다. 본 연구에서 ‘교사의 수업진행 지향적 유도’는 ⓛ지원, 피드백 거부 ②추측, 변명, 근거 없는 수긍으로 상황 모면하기③즉각적 평가, 지원, 수정으로 상황 종료시키기 ④원활한 수업운영을 위한 유도하기와 같은 4가지의 대응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학생의 학습 지향적 유도’는 ①상황 명료화를 통해 유도하기 ②학생의 일탈에 (교사가)동반하여 유도하기 ③즉흥적 창안을 통해 유도하기와 같은 3가지의 대응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의 수업진행 지향적 변경’은 ①운영상의 편이를 위한 변경하기 1가지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학생의 학습 지향적 변경’은 ①학생의 이해, 흥미, 가치를 고려한 변경하기 ②즉흥적 창안을 통한 변경하기의 2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교사들은 ‘예측하지 못한 순간’에 ‘교사의 수업진행을 지향하는 유도’를 가장 많이 했고 다음으로 ‘학생의 학습을 지향하는 유도’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별 대응유형을 비교한 결과, ‘예측하지 못한 순간’을 적게 인식한 교사일수록 교사의 수업진행을 지향하는 대응을 하는 반면, ‘예측하지 못한 순간’을 많이 인식한 교사일수록 학생의 학습을 지향하는 대응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측하지 못한 순간’을 많이 인식한 두 교사에 비하여 ‘예측하지 못한 순간’을 적게 인식한 교사는 계획 변경하기를 적게 하였으며 수업 진행을 지향한 계획 변경하기만을 시도한 것으로 나타나 학생의 학습을 지향한 계획 바꾸기를 시도한 교사들과 대조를 이루었다. 또한 학생의 학습을 지향하는 대응을 한 경우에도 ‘예측하지 못한 순간’을 적게 인식한 교사일수록 단순한 패턴의 전략만을 구사하는 반면, ‘예측하지 못한 순간’을 많이 인식한 교사일수록 다양한 대응유형을 실천레퍼토리로 지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예측하지 못한 순간’을 많이 인식한 교사일수록 학생의 학습을 지향하는 대응을 많이 하였으며 교사의 창의성이 발현되는 즉흥적(improvisatory) 창안을 더 많이 시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초등학교 수업에서 학생의 오류는 ‘예측하지 못한 순간’을 가장 많이 발생시키는데, 교사마다 ‘예측하지 못한 순간’을 경험하는 정도가 다른 이유는 학생이 오류를 많이 지니고 있는가 적게 지니고 있는가의 차이가 아니라 학생의 오류가 수업에서 드러났는가 숨겨져 있는가의 차이에 따른다. 둘째, 초등학교 수업에서 학생의 새로운 시각으로 인해 ‘예측하지 못한 순간’이 발생했다는 것은 학생 내면에 잠재되어 있던 독특한 사고가 수업의 장면에서 표출되어 교사와 학급 학생들에게 새로운 관점이 공유됨으로서 사고력이나 창의성 신장을 위한 학습 경험의 기회가 발생했음을 의미한다. 셋째, 초등학교 수업에서 예측하지 못한 순간은 교사가 학생의 사고를 촉진하는 질문을 제공하는 맥락에서 자주 발생하는데, 이는 학생의 다양한 이해와 사고를 자극하고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줄수록 예측하지 못한 순간이 많이 발생함을 의미한다. 넷째, 교사가 지닌 ‘학생 이해에 관한 지식’과 교수경력은 예측 불가능한 수업 상황을 이해하고 상황에 기반한 교수를 실천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다섯째,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통한 의미구축의 과정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때 ‘예측하지 못한 순간’이 많이 발생한다. 여섯째, 교사들은 주로 ‘예측하지 못한 순간’을 즉시 처리하여 수업 진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 문제 상황으로 인식한다. 일곱째, 교사의 내용지식과 학생이해에 관한 지식은 교사가 ‘예측하지 못한 순간’에 효과적인 대응을 하는데 중요한 토대가 된다. 여덟째, ‘예측하지 못한 순간’은 교사가 수업 진행에 있어서 창의성을 발현하는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아홉째, 예측하지 못한 순간에 직면했을 때 교사가 지닌 교과내용지식, 학생 이해에 대한 지식, 교수법 지식이 풍부할수록 수업의 효율적인 진행을 지향하기 보다는 학생의 질적 학습을 지향하는 대응을 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및 결론을 통해 수업 전문성 및 교수학습 이론연구 분야와 교사교육 분야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을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전문성에 관한 교사평가와 교수학습의 상호작용 분야에서 수업 중 ‘예측하지 못한 순간’에 대한 가치부여가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교사교육과 학교 현장에서 모범적이고 이상적인 것으로 상정하는 수업은 적합한 수업모형을 따라 계획한 수업을 충실하게 실행하는 것이었다면, 앞으로는 모범 수업 사례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전환하여 ‘예측하지 못한 순간’이 발생하는 수업 상황에서 교사가 효과적이고 창의적으로 대응해가는 수업을 이상적이고 모범적인 수업사례로 인정하고 지향하는 풍토가 형성될 필요하다. 둘째, 교사교육에서 ‘예측하지 못한 순간’을 경험하고 이에 대응하는 ‘즉흥적(improvisatory) 교수’를 경험할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예술분야에서는 즉흥성을 키우기 위해 별도의 연습을 한다. 교사교육에서도 예비교사나 초보교사들에게 이처럼 즉흥적인 교수를 경험하는 기회가 제공된다면, ‘예측하지 못한 순간’에 직면하게 되었을 때 보다 유연한 자세로 교수를 실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예측하지 못한 순간’에 대한 대응유형으로부터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진단하고 판단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교사 능력의 한계를 드러내는 지원 거부나 상황모면에서부터 학생의 이해와 공감을 끌어내고 즉흥적으로 창안을 하는 학생의 학습 지향에 이르기까지 교사들의 대응유형에 대한 위계화를 시도할 수도 있고, 이러한 작업을 통해 교사들의 수업전문성을 진단하고 판단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본다.;This dissertation is focused on the unpredictable nature of classroom instruction. In the times that professionalism is needed, teachers' role is not an instrumental transmitter but a situational practitioner. To clarify teachers'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it is an appropriate way to explore how teachers play their role as a situational practitioner in the unpredictable situation of classroom instruction. Since previous researches about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have paid attention to predictable aspects of classroom instruction, it is required to research unpredictable aspects of classroom instruc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unpredictable moment that teachers perceive in class, as a new point of observing teachers' instructions to enhance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unpredictable situations that teachers perceive in class? Second, in what teaching context do unpredictable situations that teachers perceive in class arise? Third, how do teachers deal with unpredictable situations that teachers perceive in class? This study carried a qualitative case study through observing and analysing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es. The selection criteria of study participants is 'honesty' and 'sincerity', consequently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a fourth-grade clas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struction observation, interviewing of teachers before and after class, and an additional interview that were mainly accompanied by researcher's field notes, students' science class reflective diaries and summative evaluation materials. The sequence of data analysis is as follows: ①Data description ②Instruction scene selection including unpredictable situations ③Developing of a category system by inductive analysis ④Data analysis by category system. The research shows that the 'unpredictable moment' that teachers perceive during instruction is occurred by the students, teacher and the environment, but more frequently occurring from the students. The characteristic factor of 'unpredictable situations ' occurred by students are five, such as ①preconception, wrong answer, and error fulfill ②breakaway from learning concern, goal, and participation ③students' difficulty related to understanding contents and solving problems ④original, inordinate and sometimes different view and ⑤leading response by some students with advanced learning. The characteristic factor of 'unpredictable situations ' occurred by teachers are three, such as ①teachers' mistakes related to explanation, guide, and preparing materials ②difficulty of time control and ③sudden ideas. The characteristic factor of 'unpredictable situations ’ occurred by environments are two, such as ①obstacle of instructional media and ②disrupter's appearance. The most frequent factor in the middle of all characteristics is students' preconception, wrong answer, fulfillment error and secondly the factor of student's original view. The frequency of these factors is different with each teacher, especially with 'student's mistakes' and 'student's originality' factors. And teachers perceive 'unpredictable situations ' differently according to each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response, each teacher's science knowledge, and teacher's personal criteria to evaluate originality. 'Unpredictable situations ' occurred in seven teaching contexts, those were ①teacher's explanation context ②teacher's checkup context for student's understanding ③teacher's questioning context for facilitating thinking ④ student's activity context like experiments, observations and discussions ⑤ teacher's checkup context for students' performances results ⑥teacher's checkup context of total instruction, and ⑦teacher's progress context of instruction. The most frequent context is teacher's asking question context for facilitating thinking and the second most frequent context is student's activity context. In the comparison of each teacher's result, there is a great difference in 'thinking question context'. The more important a teacher thinks the student's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the more 'unpredictable situations ' have occurred. There are two types of dealing with 'unpredictable situations ' when teachers meet, one is how they handle leading a teaching plan; the other is how they handle changing their teaching plan. Teachers deal with 'leading a teaching plan' more than 'changing a teaching plan'. The category of 'leading a teaching plan' includes 'teacher's management-oriented leading' and 'student's understanding- oriented leading'. The category of 'changing a teaching plan' includes 'teacher's management-oriented changing' and 'student's understanding-oriented changing'. The most frequent type of reaction to 'unpredictable situations ' is 'teacher's management-oriented leading'. In the comparison of teacher's results, the teacher who fewer perceived 'unpredictable situations ' dealt with 'teacher's management-oriented reaction' to 'unpredictable situations ' frequently, but the teacher who more perceived 'unpredictable situations ' dealt with 'student's understanding-oriented reaction'. The teacher who perceives the least amount of 'unpredictable situations ' deals with less 'changing teaching plans’ and deals with 'teacher's management-oriented changing’ only. This type contrasts with the results that the two other teachers who perceive more 'unpredictable situations ' deal with 'student's understanding-oriented changing'. Teachers deal with 'student's understanding-oriented' type for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ception, and they deal with 'teacher's management-oriented' type for easy teaching. Teacher’s who have teaching professionalism orients 'student's learning and experience' and tries to use improvisatory instruction that reveals teacher's creativ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nclusions are made in the following. First, students' error is the most frequent cause of unpredictable situations , and it is happe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concealedness and revelation, not the existence. Second, unpredictable situations arise because of a student's new perspective, and it means that each student's unique thought is shared with their teacher and other students. Third, a teacher' question that stimulates students' thought gives a chance to facilitate students' various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An unpredictable moment is often occurred in the process of questioning. Fourth, a teacher’ knowledge of understanding students and teaching career are important factors of understanding unpredictable situations in class and practicing instruction based on the situation. Fifth, unpredictable situations happen frequently when meaning is building actively through a teacher and students' interaction. Sixth, teachers perceive unpredictable situations as a problem that should not disturb their class and be dealt with immediately. Seventh, teachers' knowledge of content and understanding students is an important basis of effective response to unpredictable situations . Eighth, unpredictable situations can be an opportunity to show teachers' creativity while progressing class. Ninth, the way of response that teachers face to unpredictable moment differs according to the expertise of instruction. In other words, teachers' response supports students' learning rather than progressing class as much as they have knowledge of contents, students, and methodology. This study suggests some discussions about consideration in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instruction theory based on the results and conclusions founded. Firstly, 'unpredictable situations ' in class are needed to grant values. In teacher education and school field, ideal and exemplary instruction have been assumed as an instruction based on planned instruction in accordance with teaching models. From now on, however, the current perception of ideal instruction should be changed into the exemplary instruction that teachers handle 'unpredictable situations ' effectively and creatively. Secondly,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provide chances to experience unpredictable situations and improvisatory teaching. As art performers practice improvisation to develop their skills, teachers should exercise improvisation for their teaching skills. Then, it would be helpful for preliminary or beginning teachers to be flexible and creative when they face to 'unpredictable situations .' At las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make a diagnosis and judgement of teachers'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from the research about types of response to unpredictable situation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5 II. 이론적 배경 7 A. 교사의 수업 전문성 7 B. 수업 전문성 탐색 창(window): '예측하지 못한 순간' 20 III. 연구 방법 27 A. 연구의 개관 27 B. 연구 참여자 29 C. 자료 수집 35 D. 자료 분석 40 E. 연구의 진실성과 윤리성을 위한 노력 52 Ⅳ. 수업 중 교사가 인식한 '예측하지 못한 순간' 분석 결과 54 A. 수업 중 교사가 인식한 '예측하지 못한 순간' 특징 55 B. 수업 중 교사가 인식한 '예측하지 못한 순간'의 발생맥락 87 Ⅴ. '예측하지 못한 순간'에 대한 교사의 대응 분석 결과 108 A. 수업계획으로 유도하는 교사의 대응 108 B. 수업계획을 바꾸는 교사의 대응 121 C. 교사별 대응유형 비교 130 Ⅵ. 결론 및 제언 139 A. 결론 139 B. 제언 144 C. 제한점 147 참고문헌 149 ABSTRACT 1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228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수업 중 '예측하지 못한 순간'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대응-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Reactions to the ‘Unpredictable Situations’ in Class-
dc.creator.othernameWoo, Jae Kyung-
dc.format.pageix, 16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초등교육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