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원미진-
dc.contributor.author조아라-
dc.creator조아라-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7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4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6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475-
dc.description.abstractSensitivity and Emotion have become a new paradigm in the 21st Century throughout Social, Culture, and Industrial fields. People prefer products that provide sensitive communion and emotional benefits. It is a period where people tend to experience an emotional fulfillment rather than a more satisfaction from material goods. 'Sensitive and Emotional Design is a Feminine Design' Marc Gobe From the design perspective, if it is agreed that women are better at emotional expression than men, existence of 'emotional branding' refers that the designing is becoming feminized. Further, regardless of such assumption, company's effort to concentrate on female consumers shows that our culture is experiencing a transition. Women, being increased, have been resulted in many economic extension in history, and in possession of money with their higher competitiveness. Also, 'redet culture' has been extended by their social advance and various and new consumer culture have been extended by environmental and lifestyle change, which have been embodied by more rational thought. Preferring wellbeing, the general interest of 'health' with a thought of 'live well with food' has been highly highlighted. Taking advantage of this change, mainstream market also has been changed. Looking for low degree alcohol to enjoy not to be drunken as before a low degree liquor has been appeared as one trend. Also, Makgeolli has been more highly preferred by the young Japanese women through their word of mouth that 'it is a wellbeing wine in a low degree', and Japan being in boom, Makgeolli is being recasted again in Korea. While a rice wine (Makgulri) has sufficient factors to attract female consumers, such as perceptions of effects on esthetics and weight-loss efficacy, and well-being alcoholic beverage, most of them are contained in PET bottles that represent 'low cost drinks,' which can be purchased easily at the markets. Further, despite new improved rice wines with new taste and design are rushed to the market, various problems need to be addressed especially when products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tting a guideline to apply female consumers' needs on future rice wine package designs in emotional consumer era where feminine emotions lead the society and feminine thoughts and emotions become a basis for the foundation of the culture. The research of this thesis was preceded as follows. First, I defined the concept of emotion and emotional design in emotional consumption era based on research data and literatures. Further, I considered the history and the concept of rice wines when the importance of female consumer group and brand preference is increasing. Second, I researched on low alcohol beverage market and female drinking behavior. Third, I analyzed the current market condition and 6 products that are known to apply feminine emotions in the market. Fourth, I analyzed emotional needs by using the emotional design approach method, created by Professor Nakamichi, to apply female consumers? emotional needs to the rice wine package designs. I created an emotional index guideline based on the analysis of extracting emotional adjectives by providing emotional adjectives and emotional spaces, and survey on drinking behaviors of female consumers. Fifth, I evaluated 6 products analyzed in previous step that are known to have feminine emotion to find how well those products applied female consumers' emotional need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emotional needs in the rice wine brands by limiting the study target to specifically females where there are no valuable researches to apply such emotional needs. Further, this study will also become a valuable date to develop the rice wine package design for products targeting female consumers.;감성(Sensitivity, Emotion)이 21 세기 사회, 문화, 산업 전반에서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으로 떠오르고 있다. 사람들은 감성적 교감을 느낄 수 있고, 정서적 혜택을 주는 제품을 선호한다. 물질적 만족감을 넘어 감성적 충만감을 경험하고 싶어하는 인간의 욕구를 반영하는 시대적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감성디자인은 여성적 디자인이다 -마크고베 디자인 측면에서, 여성들이 남성보다 감정 표현을 더 잘한다는 가정에 동의한다면, 오늘날 감성 브랜딩과 같은 것이 존재한다는 사실 자체가 디자인이 많은 면에서 여성화 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들이 여성 고객에게 다가가는 노력을 점점 강화시키고 있다는 점에서는 사실 여부와 상관없이 이것은 우리의 문화가 변하고 있다는 신호임에 틀림없다. 여성의 증가로 여성은 유사 이래 가장 많은 경제적인 확대로 이어지고 돈을 벌고 소유하며, 경제력은 더욱 커지고 있다. 또한 사회 진출로 인한 '래뎃 문화'가 확산되고 환경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다양하고 새로운 소비문화가 확산되고, 더욱 합리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구체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웰 빙 을 선호하게 되면서 잘 먹고 잘 살자 라는 생각과 함께 건강에 대한 일반적인 관심이 크게 부각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편승하여 주류시장도 변화를 겪게 된 것이다. 예전처럼 취하기 위하여 술을 마시는 문화가 아니라 즐기는 분위기를 위해 술을 찾게 되었으므로 독한 술이 아닌 저 도주를 찾게 되면서 저 도주화가 하나의 트렌드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막걸리는 일본 젊은 여성들을 중심으로 도수가 낮은 웰빙 주라는 입소 문이 퍼지면서 선호도가 더욱 높아졌고, 일본의 막걸리 붐으로 인해 한국에서 다시금 막걸리가 재조명 되고 있다. 피부미용, 다이어트 효능, 웰 빙 주류라는 인식 등 막걸리는 여성소비자를 사로잡기에 충분한 요소들을 갖고 있지만, 마트 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막걸리는 저가 술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페트병에 담겨 있는 게 대부분이고, 변신을 시도한 새로운 맛과 디자인의 막걸리가 물밀듯이 출시되고 있지만, 여성적인 감성을 담은 제품들이 미래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을 트렌드 로 떠오르는 현재에 여성소비자를 사로잡기에는 해결해야 할 숙제가 많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감성소비시대를 맞이하여, 여성적 감성이 사회를 리드하고, 여성적 사고와 감성의 틀이 문화의 기본이 되고 있는 시점에서, 앞으로 출시 될 막걸리 패키지디자인이 여성소비자의 감성 니즈 반영을 위하여 감성지표를 개발하고 가이드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순서와 범위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이론적 배경에서는 감성 소비시대에 감성의 개념과 감성디자인에 대해 정의 하였으며, 새로운 소비 주체로서의 여성의 중요성과 브랜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막걸리의 역사와 개념에 대해 고찰하였다. 둘째, 저 도주시장과 여성소비자 음주문화에 관한 조사를 하였다. 셋째, 막걸리 시장 현황과 국내에서 판매되는 막걸리 제품 중 여성의 감성이 반영되었다고 판단되는 제품을 6가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넷째, 감성 니즈 를 분석하였다. 감성 니즈 를 반영하기 위해 나까미찌 교수에 의해 개발된 감성 디자인 접근 방법을 토대로 진행되었다. 감성형용사 추출과 분석을 통한 감성형용사 감성공간을 만들어주고, 여성소비자 음주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를 통해 감성지표를 만들어 주었다. 다섯째. 여성의 감성이 반영되었다고 판단되어 앞서 분석하였던 6가지 제품이 여성의 감성 니즈를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지 평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막걸리브랜드 분야에서 여성이라는 특수한 세대를 대상을 한정하고 그 대상의 감성 니즈를 반영하기 위한 연구가 없는 상황에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관심을 유도하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여성을 타겟 으로한 막걸리 패키지디자인 개발에 중요한 연구 자료가 되리라 생각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의 의의 및 목적 1 1.2. 연구 방법 및 내용 2 1.3. 연구의 제한점 5 2. 이론적 배경 6 2.1. 감성과 디자인 6 2.1.1. '감성'의 개념 6 2.1.2. '감성니즈'의 개념 8 2.1.3. '감성디자인'의 개념 10 2.1.4. 시각적 감성디자인 12 2.1.5. 감성 디자인의 접근 방법 13 2.2. 패키지디자인의 이해 15 2.2.1. 패키지디자인 개념 15 2.2.2. 패키지디자인 의 역할과 중요성 16 2.3. 여성소비자의 이해 18 2.3.1. 여성소비자의 중요성 18 2.3.2. 여성소비자의 구매행위 특징 22 2.4. 막걸리의 이해 23 2.4.1. 막걸리의 역사 및 개념 23 3. 저도주시장과 여성소비자 음주문화 조사 25 3.1. 음주소비 변화에 대한 조사 25 3.1.1. 주류시장 변화에 대한 직접적요인 25 3.1.2. 주류시장 변화에 대한 간접적요인 27 3.2. 저도주에 대한 인식 및 이미지 평가 29 3.3. 여성소비자의 음주문화 32 3.4. 저도주 시장의 패키지디자인 유형분석 36 4. 막걸리시장 현황 및 패키지디자인 사례 41 4.1. 국내 막걸리열풍에 대한 다각적 측면에서 분석 41 4.1.1. 막걸리 품질의 변화 42 4.1.2. 여성층에 맞춘 주류로 변화 44 4.1.2.1. 막걸리잔과 음주공간의 변화 44 4.1.2.2. 건강을 위한 웰빙 막걸리 48 4.1.2.3. 다이어트 막걸리 50 4.2. 막걸리 제품의 패키지디자인 51 4.2.1. 용기별 막걸리 패키지 디자인 분석 51 4.2.2. 제조사별 막걸리 패키지 디자인 분석 55 5. 감성니즈 분석 62 5.1. 감성 형용사 수집과 추출에 의한 분석 62 5.2. 설문조사 분석 68 6. 여성 타겟 막걸리패키지 감성 평가 79 7. 결론 및 제언 90 참고문헌 92 부록1. 1차설문지 97 부록2. 2차설문지 99 부록3. 3차설문지 102 ABSTRACT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2772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여성소비자의 감성니즈를 반영한 막걸리 패키지디자인 감성지표 개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저도주(低度酒)시장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n Makgeolli Package Design to Apply Female Consumers’ Sensitive & Emotional Needs : Focused on Low Alcohol Brand-
dc.creator.othernameCho, Ah-Ra-
dc.format.pageix, 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