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엄정애-
dc.contributor.author장미정-
dc.creator장미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7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6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6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67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의 질,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효능감, 유아의 인지, 언어, 정서 및 사회적 능력에 대한 관계와 영향력을 알아보고, 유치원의 질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효능감이 유아의 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의 경로를 분석해 보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의 질,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효능감, 유아의 능력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1-1 유치원의 질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효능감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1-2 교사의 직무만족도, 효능감과 유아의 능력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1-3 유치원의 질과 유아의 능력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2. 유치원의 질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효능감이 유아의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1 유치원의 질과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유아의 인지, 언어, 정서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유치원의 질과 교사의 효능감이 유아의 인지, 언어, 정서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유치원의 질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교사 효능감이 유아의 인지, 언어, 정서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의 경로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사립 유치원 58기관, 각 기관에 속한 5세 학급 담임 교사 58명, 만 5세 학급의 유아 중 동일 유치원에 2년 이상 다닌 경험이 있는 유아 2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유치원의 질적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Harms, Clifford와 Cryer(1998)의 Early Childhood Environment Rating Scale 개정판을 사용 하였다. 교사의 직무 만족도는 Jorde-Bloom(1989)이 개발한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 측정도구(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 ECJSS), 교사효능감은 Riggs와 Enochs(1990)가 개발한 효능감 검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STEBI)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인지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Kaufman 부처가 개발하고 문수백과 변창진(2009)이 수정한 한국판 K-ABC(Korea version of the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을 사용하였으며, 언어 능력은 김영태 등(2009)이 개발한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도구(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를 사용하였다. 정서능력은 Greener(1998)와 Saarni(1999)의 연구를 토대로 하여 우수경(2002)이 제작하고 교사용으로 수정한 정서능력 검사 도구(우수경, 2004), 사회적 능력은 LaFreniere와 Dumas(1995)의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Evaluation(SCBE)를 사용하였다. 예비연구와 연구보조자 훈련을 통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평정자간 일치도를 검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위계적 다층회귀분석 및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의 질, 교사의 직무만족도, 효능감과 유아의 인지, 언어 정서 및 사회적인 능력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의 질, 교사의 직무만족도, 유아 능력의 상관관계가 유치원의 질, 교사 효능감, 유아의 능력의 상관관계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능력과 상관성이 높은 유치원의 질에 대한 하위요인은 언어-사고력 활동, 대·소그룹 활동, 부모와 교직원, 일상적 보호와 양육 순으로 나타났다. 유치원의 질과 관련성이 높은 교사 변인의 하위요인은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보수와 승진, 근무환경, 원장과의 관계와 동료관계 등이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의 질이 유아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치원의 질에 더하여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효능감이 유아의 인지, 언어, 정서 및 사회적 능력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의 질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효능감이 유아의 능력 중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이었다. 유치원의 질이 유아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순서대로 나타내면 사회적 능력, 정서 능력, 언어능력, 인지능력 이었다. 유치원의 질과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유아의 능력에 대한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살펴보면 언어능력에 대하여 표현어휘능력이 수용어휘능력에 비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부정적 사회행동을 일으키지 않게 하는 내, 외적 행동문제 하위요인에 영향이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사회행동을 하게 하는 사회적 행동하위요인이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의 질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효능감이 유아의 인지, 언어, 정서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의 경로는 유아의 인지, 언어, 정서 및 사회적 능력에 동일하게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변인과 유아의 능력에 대한 영향력의 경로를 살펴보면 유치원의 질이 유아의 인지, 언어, 정서 및 사회적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경로와 유치원의 질에 영향을 받은 교사 효능감이 직무만족도를 경유하여 유아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의 경로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치원의 질, 교사의 직무만족도, 효능감은 유아의 능력과 관련성이 있으며, 유치원의 질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효능감은 유아의 인지, 언어, 정서 및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쳤다. 유치원의 질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효능감이 유아의 인지, 언어, 정서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의 경로는 유치원의 질이 직접적으로 유아의 능력에 영향을 미치었으며, 유치원의 질에 영향을 받은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를 통하여 유아의 능력에 영향력을 미치는 경로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nd effects among the kindergarten quality,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efficacy, and children's cognitive, linguistic,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s. This study also aims to analyze the routes of the effects of the kindergarten quality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efficacy on children's competences. The study established the study subjects as follows, according to the study purposes. 1. What a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kindergarten quality,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efficacy, and children's competences? 1-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dergarten quality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efficacy? 1-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efficacy and children's competences? 1-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dergarten quality and children's competences? 2. What are the effects of the kindergarten quality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efficacy on children's competences? 2-1. What are the effects of the kindergarten quality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on children's cognitive, linguistic,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s? 2-2. What are the effects of the kindergarten quality and teachers' efficacy on children's cognitive, linguistic,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s? 3. What are the routes of the effects of the kindergarten quality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efficacy on children's competences? This study surveyed 58 teachers in charge of the classes of 5-year-olds at 58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211 children who had attended one kindergarten more than two years. In order to evaluate the quality level of the kindergartens, the revised edition of Early Childhood Environment Rating Scale by Harms, Clifford, and Cryer(1998) was used as a study tool. ECJSS(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a measuring tool for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developed by Jorde-Bloon (1989), was used for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STEBI(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a measuring tool for teachers' efficacy developed by Riggs and Enochs(1990), was used for teachers' efficacy assessment. Children's cognitive competence was measured using the Korea version of K-ABC(the Kaufman Assessment Battery of Children),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by Kaufman and revised by Moon Su-Baek and Byeon Chang-Jin(1997). Children's linguistic competence was assessed using REVT(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developed by Kim Young-Tae et al.(2009). For evaluating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this study used the emotional competence assessment tool that was revised by Woo Soo-Kyung(2002) for teachers, based on the studies of Greener(1998) and Saarri (1999).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measured using the SCBE(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Evaluation) by LaFreniere and Dumas (1995). The survey was carried out through a preparatory study and training of research assistants and the agreement among the raters was verified. The study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Products Moment Correlation,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r structural equ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ar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kindergarten quality,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efficacy, children's cognitive, linguistic,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s. In addition, the kindergarten quality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had more meaningful relationships with children's competences than the kindergarten and teachers' efficacy had. The sub-factors of the kindergarten quality were language and logic activity, parents and the teaching staff, daily care, and nurturing, in the order of the level of correlations with children's competences. The sub-factors of teacher variables were pay, promotion, work environment, and relationships with the kindergarten director and fellow teachers, which ar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the level of interrelationship with the kindergarten quality. Seco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kindergarten quality had effects on children's competences,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efficacy added to the kindergarten quality had bigger effects on children's cognitive, linguistic,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s. The kindergarten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efficacy had the biggest effects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mong all the competences. The kindergarten quality had the biggest effects on social competence, followed by emotional competence, linguistic competence, and cognitive competence. The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the kindergarten quality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on the sub-factors of children's competences showed the following; as for linguistic competence, receptive vocabulary competence was affected more than expressive vocabulary competence was. As for social competence, inside and outside behavioral problems, which keeps children from having negative social behavior, were affected the most. Third, the routes of the effects of the kindergarten quality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efficacy on children's cognitive, linguistic,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s were the same for each competence. As for the routes of the effects of the kindergarten quality and teacher variables on children's competences, the direct route of the kindergarten quality on children's cognitive, linguistic,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s and the indirect route where the effects of teachers' efficacy, which was affected by the kindergarten quality, reach children's competences through job satisfaction were revealed. To conclude, the kindergarten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efficacy were proved to be related to children's competences and to have effects on children's cognitive, linguistic,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s. As for the routes of the effects of the kindergarten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efficacy on children's cognitive, linguistic,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s, the kindergarten quality had direct effects on the competences and teachers' efficacy affected by the kindergarten quality had effects on the competences through teachers' job satisfa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및 연구 문제 8 II. 이론적 배경 10 A. 유치원의 질 10 1. 유아교육기관 질의 의미와 중요성 10 2. 평가기준과 유치원의 질 13 B. 유치원의 질과 유아의 능력 18 1. 유아의 인지 능력 19 2. 유아의 언어능력 22 3. 유아의 정서능력 24 4. 유아의 사회적 능력 26 C. 유치원의 질과 교사와 유아의 능력 28 1. 유치원의 질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유아의 능력 29 2. 유치원의 질과 교사의 효능감과 유아의 능력 31 III. 연구 방법 35 A. 연구 대상 35 B. 측정 도구 36 C. 연구 절차 53 D. 자료 분석 57 IV. 연구 결과 및 해석 58 A. 유치원의 질, 교사의 직무만족도, 효능감과 유아의 능력 간의 관계 58 B. 유치원의 질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효능감이 유아의 능력에 미치는 영향 66 C. 유치원의 질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효능감이 유아의 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의 경로 87 V. 논의 및 결론 111 A. 논의 111 B. 결론 및 제언 119 참고문헌 124 부록 139 부록 1. 유아교육환경 평가척도 140 부록 2. 교사의 직무만족도 척도 144 부록 3. 교사의 효능감 척도 147 부록 4. 유아의 인지 능력 척도 149 부록 5. 유아의 언어 능력 척도 150 부록 6. 유아의 정서 능력 척도 152 부록 7. 유아의 사회적 능력 척도 154 ABSTRACT 1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769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치원의 질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효능감이 유아의 인지, 언어, 정서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kindergarten quality,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efficacy on children's cognitive, linguistic,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s-
dc.creator.othernameChang, Mi Jung-
dc.format.pagex, 16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