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4 Download: 0

반석어린이집 만 3세반 교사들의 기본생활습관 교육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Title
반석어린이집 만 3세반 교사들의 기본생활습관 교육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Other Titles
An Ethnographic Study on a Teacher's Basic Life Habit Education in a Class of Three-Year-Olds at BanSeok Day Care Center
Authors
강경아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홍용희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ntents of the basic life habit education by the Daniel class teachers for the three-year-old children in BanSeok day care center, their basic life habit teaching methods and their experience in the basic life habit education through an ethnographic research method. For the above goals, the research questions included: 1. What are the contents of the basic life habit education by the Daniel class teachers for the three-year-old children in BanSeok day care center? 2. What teaching methods do the teachers of BanSeok day care center use to teach basic life habits to the three-year-old children in Daniel class? 3. What do the teachers of BanSeok day care center experience while teaching the basic life habits to the three-year-old children in Daniel class? The study was done on the teachers and the three-year-old children of Daniel class in BanSeok day care center, affiliated with a College of Theology in Seoul. From March 3rd to December 4th 2009, 50 times of participant observation, 6 times of in-depth interview with the teachers, 8 times of one-on-one in-depth interview with the children, one in-depth interview with the director of the day care center, one in-depth interview with the assistant director and 3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ents had been conducted. Audio recording and document gathering had been done as well. The detailed contents of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ere transcribed in the field notes and the collected data was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basic life habit educations by Daniel class teachers for the three-year-old children in BanSeok day care center are mainly about 'leading a religious life', 'leading a safe life', 'leading a healthy life', 'leading a moral life' and 'leading an independent life.' BanSeok day care center is affiliated with a College of Theology. Naturally the teachers taught basic life habits to 'lead a religious life.' As the three-year-old preschoolers can easily get into accidents, the teachers taught basic life habits to 'leading a safe life.' In addition, they taught a basic life habit of 'cleaning themselves and their surroundings' and a 'good eating habit,' which are to 'lead a healthy life'. They also taught basic life habits to 'lead a moral life'; such as 'keeping order,' 'acting politely,' 'expressing emotions appropriately,' 'saving' and 'taking care of animals and plants.' Lastly the teachers taught basic life habits to 'lead an independent life' so that the three-year-old kids could exercise control in line with their growth. Second, the basic life habit teaching methods used by the Daniel class teachers for the three-year-old children in BanSeok day care center are to 'make the children understand basic life habits,' 'offer the children chances to practice basic life habits,' 'adjust their basic life habit related behaviors' and 'conduct relevant activities enforcing basic life habits.' The teachers 'explained the basic life habits', 'reminded the basic life habits' and' demonstrated the basic life habits in order to make the children understand the basic life habits.' The teachers 'provided recommendations', 'did chanting' and 'offered corrections' or 'encouragement' in order to 'offer chances to practice the basic life habits'. In order to adjust basic life habit related behaviors', they 'provided compliments' or 'more chances' to further enforce and encourage positive basic life habit related behaviors'; or 'scolded,' 'scared,' 'restricted' to discourage and control negative basic life habit related behaviors'. Lastly the teachers used the method of 'conducting relevant activities enforcing basic life habits' The activities were categorized into 'free choice activities,' 'large/small group activities' and 'transfer activities.' Free choice activities can be further broken-down to 'indoor free choice activities' and 'outdoor free choice activities'. Large/small group activities include 'story-telling', 'conversation', 'evaluation', 'games', 'walks', 'singing', 'cleaning', 'snacking and lunch'. Third, the Daniel class teachers of BanSeok day care center experienced 'disappointment and anger', 'conflict and concern', and 'accomplishment and hope' while teaching the three-year-old children the basic life habits. They were disappointed when the children, after some progress, went backward. They got angry at repetition of improper behaviors by the children despite continuous education. Also the teachers had conflicts in determining the level of basic life habit education and discipline for the three-year-old children and thought a lot to fi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Lastly they felt accomplishment on basic life habit development when the children's basic life habit related behaviors finally started to show a positive change after long, painful education; and experienced a hope for basic life habit development possibility.;본 연구는 반석어린이 집 만 3세 다니 엘 반 교사들의 기본생활습관 교육 내용은 무엇이고, 교수 방법은 어떠하며, 교사들은 기본생활습관 교육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는지를 문화기술적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반석어린이 집 만 3세 다니 엘 반 교사들의 기본생활습관 교육 내용은 무엇인가? 2. 반석어린이 집 만 3세 다니 엘 반 교사들의 기본생활습관 교수 방법은 어떠한가? 3. 반석어린이 집 만 3세 다니 엘 반 교사들은 기본생활습관 교육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는가?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서울에 위치한 신학대학교 부설 반석어린이 집 만 3세 다니 엘 반 교사들과 유아들이었다. 연구기간은 2009년 3월 3일부터 12월 4일까지로 자료수집은 총 50회의 참여관찰, 6회의 형식적 교사면담, 비형식적 교사면담, 8회의 1:1 유아면담, 1회의 원장면담, 1회의 원 감 면담, 3회의 학부모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밖에 오디오 녹음, 문서수집 등을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참여관찰 및 면담내용은 현장기록으로 작성하여 자료화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범주화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석어린이 집 만 3세 다니 엘 반 교사들의 기본생활습관 교육 내용은 신앙생활하기, 안전하게 생활하기, 건강하게 생활하기, 바르게 생활하기, 자립적으로 생활하기 등이었다. 반석어린이 집은 신학대학교 부설어린이 집으로 교사들은 유아들에게 신앙생활하기와 관련된 기본생활습관을 교육했으며, 만 3세 유아들의 안전사고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유아들에게 안전하게 생활하기와 관련된 기본생활습관을 교육했다. 교사들은 유아들에게 몸과 주변 환경 깨끗이 하기, 올바른 식 생활하기 등 건강하게 생활하기와 관련된 기본생활습관을 교육했고, 질서 지키기, 예의 바르게 행동하기, 감정 적절히 표현하기, 물건 아껴 쓰기, 동•식물 보살피기 등 바르게 생활하기와 관련된 기본생활습관을 교육했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만 3세 유아들이 발달해 가는 신체능력과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유아들에게 자립적으로 생활하기와 관련된 기본생활습관을 교육했다. 둘째, 반석어린이 집 만 3세 다니 엘 반 교사들은 기본생활습관 내용 이해시키기, 기본생활습관 실천 기회 제공하기, 기본생활습관 행동 조절하기, 기본생활습관 내용 포함한 활동 실시하기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기본생활습관을 교육했다. 기본생활습관의 내용을 이해시키는 방법은 기본생활습관에 대해 설명하기, 기본생활습관을 상기시키기, 교사가 기본생활습관 실천으로 본 본이기 등이었다. 기본생활습관 실천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법은 권고하기, 찬 트 하기, 교정하기, 격려하기 등이었다. 기본생활습관 행동을 조절하는 방법 중 기본생활습관 행동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칭찬하기, 기회 주기 등이었고, 부적절한 행동을 감소시키는 방법은 나무라기, 겁주기, 활동 제한하기 등이었다. 마지막으로 기본생활습관 내용 포함한 활동을 실시하는 방법은 자유선택활동, 대•소집단활동, 전이활동 등으로 구분되었고 자유선택활동은 실내자유선택활동과 실외자유선택활동 등이었으며, 대•소집단활동은 동화 들려주기, 이야기나누기, 평가하기, 게 임하기, 산책하기, 노래 부르기, 정리정돈, 간식 및 점심 등이었다. 셋째, 반석어린이 집 만 3세 다니 엘 반 교사들은 기본생활습관을 교육을 통해 실망과 화, 갈등과 고민, 성취와 희망 등을 경험했다. 교사들은 유아들의 기본생활습관 행동이 형성되어 가는 듯 하다가 퇴보되는 것에 대해 실망했고, 지속적인 교육에도 불구하고 유아들이 부적절한 행동을 반복하는 것에 대해 화가 나기도 했다. 또한 교사들은 만 3세 아 및 개별 유아들에 적절한 기본생활습관 교육의 수준 및 훈육의 강도를 결정하기 위해 갈등했고, 기본생활습관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찾기 위해 고민했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장기간에 걸친 교육에도 불구하고 좀처럼 변화하지 않았던 유아들의 기본생활습관 행동이 바람직하게 변화하는 것을 발견하고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대한 성취를 느꼈으며, 기본생활습관 형성 가능성에 대한 희망을 경험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