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혜련-
dc.contributor.author이상미-
dc.creator이상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4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4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9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6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967-
dc.description.abstract지난 20년간 노동시장의 변화 가운데 두드러진 특징으로 여성인력 비중의 증가를 들 수 있다. 이는 전 세계적인 추세로 나타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예외는 아니다(강혜련‧윤미자, 2004).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여가 증가하면서 맞벌이 가구가 현대 사회의 보편적 가구형태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상황이며, 남녀의 성 역할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가사노동이 여성만의 책임이 아니라는 인식이 확대되면서 기혼 남성 역시 양 영역에서의 새로운 역할갈등에 직면하고 있다. 새로운 사회구조의 변화 속에서 기혼 남녀근로자의 직장과 가정의 균형에 대한 욕구는 근로자 개인 뿐만 아니라 기업에게도 중요한 도전이며, 인적자원개발과 관련된 국가 정책의 측면에서도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Kossek & Ozeki, 1998).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인사조직 분야에서의 연구들은 직장과 가정영역을 대립되는 것으로 보는 전통적 시각에 더 초점을 맞추어 왔다. 직장-가정간의 상호작용을 다룬 많은 연구들은 역할 간 갈등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기혼 근로자들이 경험하는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의 역할갈등으로 인한 직무만족이나 조직몰입, 이직 등에 부정적 영향을 밝히는 연구들이 주류를 이뤄왔다. 하지만 직장과 가정생활의 양립이 부정적 영향만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사회심리학 분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취업 여성의 다양한 역할 수행이 오히려 여성에게 특권으로 작용하여 각종 자원의 원천이 되며, 이는 자아개념의 확장으로 이어져 만족감 증대 등 심리적 이익과 긍정적 경험을 제공한다고 밝히고 있다(Barnett & Hyde, 2001).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장과 가정생활의 병행으로 얻을 수 있는 자원들과 이러한 자원들이 상호 영역간에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지에 중점을 두어 개인의 특성과 직장영역 및 가정영역의 사회적 지원이 직장-가정간 역할상승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성별이 각 영역의 사회적 지원과 직장-가정간 역할상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기존 연구들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이의 검증을 위해 전일제 근무를 하고 있는 기혼 남녀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실제분석에서는 249부가 사용되었으며,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자 개인의 특성인 심리적 복원력이 높을수록 직장-가정간 역할상승효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영역에서의 사회적 지원인 조직후원지각과 상사-부하 교환관계가 높을수록 직장→가정 역할상승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후원지각과 상사-부하 교환관계는 가정→직장 역할상승효과에도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영역에서의 사회적 지원인 배우자의 지원과 배우자 외 가족의 지원을 많이 받는다고 지각할수록 가정→직장 역할상승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구성원으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원이 높을수록 직장→가정 역할상승효과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장영역에서의 사회적 지원 및 배우자 외 가족의 지원과 직장-가정간 역할상승효과와의 정적 관계는 성별에 따라 차별적인 영향이 나타나지 않음이 밝혀졌다. 단, 배우자의 지원과 가정→직장 역할상승효과와의 정적 관계는 남성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는 남성근로자의 성 역할에 대한 태도가 보다 유연해지고 평등해졌기 때문에 나온 현상일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성별이 아닌 성 역할에 대한 태도를 조절변수로 연구 함으로서 보다 정교하게 분석해 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마지막으로, 개인특성과 조직 및 가정영역에서의 사회적 지원 모두 근로자 개인의 직장-가정간 역할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들의 영향력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즉,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인특성인 근로자 개인의 심리적 복원력도 개인의 직장-가정간 역할상승에 영향을 미치지만 직장과 가족의 사회적 지원이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장영역의 지원은 직장→가정 역할상승에, 가정영역의 지원은 가정→직장 역할상승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으며 상사와의 관계는 양방향 모두에서 중요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 및 시사점을 제공한다. 먼저 직장과 가정에서의 다중역할 수행이 자원결핍을 가져와 갈등을 초래한다는 기존연구에서 벗어나 다중역할의 수행으로 인해 획득하는 자원이 다른 영역에서의 역할수행 및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자원들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직장 및 가정영역의 긍정적 측면을 검증한 국내 실증연구가 별로 없는 상황에서 직장과 가정 상호간의 역할상승효과의 선행요인을 규명 함으로서 이에 대한 인식의 기회를 제공하였다는데, 그리고 여성근로자에게 주로 초점을 맞춘 직장-가정 영역 선행연구들의 범주를 벗어나 남녀 맞벌이 부부를 대상으로 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개인특성과 사회적 지원 모두 직장-가정간 역할상승에 영향을 미치지만 사회적 지원이 미치는 영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가정간 역할상승효과의 다양한 선행요인들과 이들의 영향력 차이를 밝힘으로써 직장-가정간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으며, 직장 및 가정영역에서의 지원이 중요함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직장-가정간 역할상승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가정 내에서의 지원 뿐 아니라 조직차원의 지원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직장 및 조직의 지원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조직, 지역사회 및 국가차원의 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직장-가정간 갈등 측면이 아닌 직장-가정간 역할상승효과에 대해서 다루고 있지만, 다중역할수행으로 인한 스트레스 발생과 갈등 그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직장과 가정에서의 다중역할 수행은 분명 갈등과 스트레스를 야기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갈등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이를 넘어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분명히 있음에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장-가정간 갈등을 통제변수 처리하였고 보다 명확하게 직장-가정간 역할상승효과를 살펴볼 수 있었다. 직장-가정간 역할상승효과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그 동안 역할간의 갈등에 가려졌던 긍정적 효과의 존재를 부각시킬 수 있었다.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의 양립에 대한 욕구와 관심이 높아지면서 직장-가정간 균형을 맞추기 위한 노력과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이러한 노력들은 주로 직장-가정간 갈등을 줄이는 방향으로 접근해 왔다. 하지만 본 연구는 두 영역간의 갈등을 줄이는 것과 더불어 직장-가정간 역할상승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제도 및 교육적 접근을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라 제안한다. 조직차원의 지원은 개인이 다양한 자원을 획득하게 해주며, 이는 직장-가정간 역할상승효과를 가져오고 결과적으로 직장영역에서 구성원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긍정정인 효과를 낳는다는 것은 조직의 실무자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본다.;One of the most noticeable characteristics in labor market during past 20 years is increase of female labor. It is global tendency and Korea is not an exception. The increase of women's participation of economical activity leads to a double-income family as typical family in nowadays society, and it brings change to the traditional opinions of gender roles. These days domestic work is no longer considered as only women's responsibility but also male's and it caused new role conflict. Under the changes of new social structure, the dual desire of work and family for male and female employee but also firms as well, and the importance on the aspect of national policy with respect to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gardless of these tendency, many scholars in human resource field were more focused on studying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But participating in multiple roles(such as work and family) also has a positive effects. Some suggested that the advantages of pursuing multiple roles are likely to outweigh the disadvantages-an expansionist theory. A variety of work and family roles provides multiple opportunities for satisfaction and pleasure, various skills and perspectives, knowledge, thereby enhancing psychological functioning and resources. Role accumulation suggests there are positive or beneficial effects of the commitment to multiple roles. Therefore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work and family enrichment(WFE) from the positive perspective of role accumulation theory and investigate the antecedents of WFE. And the other purpose is to study the effect of gender on these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is purpose, this study sets up the study model and hypothesi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distribute questionnaire to married male and female employee to verify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resilience, personal trait, i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work-family enrichment. Seco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leader-member exchange, social support from work, a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work to family and family to work enrichment. Third, spouse support and support from family except spouse social support of family member a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work to family and family to work enrichment. Forth,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from work and family(except spouse) and work-family enrichment is not much different between each gender. However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 of spouse and family to work enrichment is more strongly shown by male. Further study suggested need of detailed research and analysis about not only gender but also stereotype of gender role. Lastly, although all antecedents like personal trait and social support from work and family are positively related with work and family enrichment, there is a still differences between each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psychological resilience of each employee is important but more influence is from support of work and family. Also, the study showed the support from work is more influence on work to family enrichment and support from family is more effect on family to work enrichment. The relationship with boss is very important in both cases. From the result of these, the study provides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ese below. First of all, this study proved that the resources from multiple roles can be a positive influence on role performance and result in different territory. It is different from the most of existing studies that mostly studied about performing multiple roles in work and family will cause scarcity of resource. Also this study converted the pre-existed recognition of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family positive side through empirical study. This study is subjected to male and female employee and it is different from many of other work and family studies that mostly focus on the female employee. Also, although both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support are related with the work-family enrichment,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is proved to be influence more on the work-family enrichment. In this research, diverse antecedents in work-family enrichment and get to know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nfluences helped understanding of the mutual impact on work-family relationship. And, it verified the importance of support from work and family. In other words, to promote work-family enrichment, support from both family and organization is essential, and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ological evidence when needed to set up the support method in organization, local and national level. This study deals with the work-family enrichment. But it doesn't mean that there is no stress and conflicts participating in work and family’s multiple roles. The implement of multiple roles will certainly causes conflicts between work and family. However, regardless of these conflicts, there surly is positive effect and this study focused on that. In this study the work-family conflict were used as a control variable to clear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work-family enrichment. This study provides for a more detailed and balanced understanding than the prevailing research of conflict-oriented approach. The desire to have the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life leads many organizations and scholars more participate in studies about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These studies and efforts were approached to reduce the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However, this study is not only reduce the conflict between work-family life but also added to consider the policy and educational approach in work-family enrichmen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organizations may further recognize the psychological and various practical benefits of multiple roles in work and family. Rather than discouraging employees from spending time and energy in non-work roles, organizations try to find ways to encourage and facilitate the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work and fami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절차 3 C. 논문의 구성 4 II. 이론적 고찰 5 A. 다중역할 5 1. 다중역할의 개념 5 2. 다중역할에 대한 이론적 논의 6 가. 결핍이론 6 나. 확장이론 7 다. 선택적 이론 8 라. 역할정체성 이론 8 B. 기혼근로자의 다중역할 9 1. 직장영역과 가정영역에서의 다중역할에 대한 이론적 논의 10 가. 전이이론 10 나. 보상이론 11 다. 분리이론 11 2. 직장-가정간 갈등 12 가. 시간근거 갈등 13 나. 긴장근거 갈등 14 다. 행동근거 갈등 14 3. 직장-가정간 역할상승효과 15 가. 직장-가정간 역할상승효과에 관한 선행연구 16 (1) Voydanoff(2001)와 Hammer(2002)의 연구: 보상이론과 자원확장적 관점 16 (2) Greenhaus와 Powell(2006)의 연구: 자원확장적 관점 17 나. 직장-가정간 역할상승효과의 방향성 19 C. 직장-가정간 역할상승효과의 선행요인 20 1. 개인의 특성 20 가. 심리적 복원력 21 (1) 심리적 복원력의 개념 22 (2) 심리적 복원력의 구성요소 24 (3) 심리적 복원력의 선행연구 25 2. 직장영역의 사회적 지원 27 가. 조직후원지각 28 나. 상사-부하 교환관계 31 3. 가정영역의 사회적 지원 33 가. 배우자의 지원 34 나. 배우자 외 가족의 지원 35 D. 성별이 직장-가정간 역할상승효과에 미치는 영향 37 III.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41 A. 연구모형 41 B. 연구가설 42 1. 개인특성과 직장-가정간 역할상승효과의 관계 42 2. 직장영역의 사회적 지원과 직장→가정 역할상승효과의 관계 44 3. 가정영역의 사회적 지원과 가정→직장 역할상승효과의 관계 46 4. 성별의 조절적 효과 48 IV. 연구조사 방법 51 A.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51 1. 심리적 복원력 51 2. 조직후원지각 52 3. 상사-부하 교환관계 52 4. 배우자의 지원 53 5. 배우자 외 가족의 지원 53 6. 직장→가정 역할상승효과 54 7. 가정→직장 역할상승효과 54 8. 직장-가정간 갈등 55 9. 성별 55 10. 통제변수 55 B. 설문지의 구성 56 C. 연구대상 및 자료의 수집 57 D. 자료분석 방법 58 V. 연구결과 59 A. 연구대상 59 B.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61 1. 신뢰도 분석 61 2. 타당도 분석 62 C. 가설검증 67 1. 기초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67 2. 가설검증 71 가. 개인특성과 직장-가정간 역할상승효과의 관계 71 나. 직장영역의 사회적 지원과 직장→가정 역할상승효과의 관계 73 다. 가정영역의 사회적 지원과 가정→직장 역할상승효과의 관계 75 라. 성별의 조절적 효과 78 (1) 직장영역의 사회적 지원 79 (2) 가정영역의 사회적 지원 82 D. 추가 분석 88 1. 직장영역의 사회적 지원과 가정→직장 역할상승효과의 관계 88 2. 가정영역의 사회적 지원과 직장→가정 역할상승효과의 관계 91 3. 직장→가정 역할상승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 비교분석 93 4. 가정→직장 역할상승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 비교분석 95 5. 배우자 지원의 하위요인과 비교분석 97 VI. 결론 99 A. 연구결과 및 의의 99 B. 연구의 한계점 및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 104 참고문헌 107 부록 117 Abstract 1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164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기혼 남녀근로자의 직장-가정간 역할상승효과 및 선행요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자원확장적 관점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tecedents of Work and Family Enrichment of Married Male and Female Employees-
dc.creator.othernameLee, Sang-Mi-
dc.format.pagexiii, 12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경영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