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인성-
dc.contributor.author이미희-
dc.creator이미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3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9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6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915-
dc.description.abstract현대인들은 장기적인 경제 침체로 인하여 상실감을 경험하게 되면서 과거의 경제적으로 풍요로웠던 시절의 감성을 느끼게 하는 문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역사상 가장 풍요롭고 행복했던 시기를 동경하게 되었고, 현재 사회의 리더 층을 구성하고 있는 존스 세대가 주목을 받기 시작하면서 1950년대∼1970년대의 낙관적인 레트로 향수문화를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레트로 문화는 현대의 유스 세대들에게 받아들여져 레트로 유스 세대라는 새로운 소비 세대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들은 재미와 즐거움을 바탕으로 레트로 문화를 재해석하기를 즐기는 세대로 1950년대∼1970년대의 향수와 낭만을 행복의 가치로 재정의 하고 재해석하여 단순함 속에 즐거움과 위트가 있는 새로운 레트로 문화를 창조하고 있다. 이들에 의해 재해석된 레트로 문화의 확산과 영향력은 현대 디자인에서 새로운 디자인 영역으로 확산되어 나가면서 하나의 트렌디한 디자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편, 현대의 소비자들은 패션분야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면서 슈즈와 백의 중요도가 높아졌으며 기업에서는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슈즈와 백 분야의 디자인 투자를 늘리고 독특하고 차별화된 제품을 출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의 존스세대 문화를 재해석하여 새로운 스타일로 즐기는 레트로 유스 세대를 위한 제품과 패션디자인의 특성을 분석하고, 레트로 유스를 타깃으로 한 슈즈와 백을 개발하였다. 이는 레트로 유스 세대만의 차별화된 미적 가치를 표현을 할 수 있는 디자인을 제안하고, 레트로 유스 세대를 위한 경쟁력 있는 슈즈와 백 디자인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큰 의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레트로 유스 세대의 개념 및 특성과 1950년대∼1970년대 존스세대의 향수문화를 즐기는 슈즈와 백 스타일을 살펴보았고, 제품과 패션에서 레트로 유스 세대를 위하여 재해석된 디자인 사례 분석을 통하여 이들의 디자인적 스타일 특성을 알아보았다. 분석한 스타일 특성과 2011 S/S 트렌드를 바탕으로 레트로 유스 세대들의 디자인 특성에 맞는 슈즈와 백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레트로 유스 세대는 레트로(Retro)와 유스(Youth)라는 단어를 합쳐서 이르는 말로 1950년대∼1970년대의 낙관적인 레트로 문화에 대한 관심이 많고 개성 표출과 차별화를 중요시하여 레트로 감성을 지닌 현대 디자인을 자신들만의 유스풀한 감성으로 재해석․재창조하여 즐거움과 향수를 간직한 제품으로 재탄생시키기를 즐기는 소비자들이다. 이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해 현대 디자인에서는 다양한 스타일의 디자인이 제품과 패션 분야에 나타나고 있으며, 슈즈와 백 분야에서도 유스한 감성이 표현된 레트로 디자인에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유스 세대들이 즐기는 시대적 특성이 반영된 슈즈와 백 스타일을 알아보기 위해 1950년대∼1970년대의 슈즈와 백 스타일을 고찰한 결과 1950년대에는 하이힐, 모카신, 로퍼 발레슈즈, 스니커즈 등의 스타일이 유행하였지만 그 중 하이힐이 가장 크게 유행하였고, 백은 금속프레임이 구조화된 핸드백이나 버킷백 등이 있었다. 1960년대에의 슈즈와 백은 낮은 굽의 플랫슈즈와 다양한 길이의 부츠, 사각형 형태의 백, 더플백, 긴 스트랩의 숄더백 스타일이 유행하였다. 1970년대는 플랫폼 슈즈가 크게 유행을 하고, 단화와 런닝슈즈도 나타났다. 백의 경우 옥스퍼드 백, 동물무늬나 가죽의 패치워크 된 백, 스웨이드 소재의 백, 아플리케 클러치 백, 인디언 스타일의 백이 있었다. 셋째, 현대 디자인에 나타난 레트로 유스 세대의 스타일을 반영한 디자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트렌드 정보 회사에서 ‘유스’가 트렌드로 나타나기 시작한 2008년부터 최근 2010년까지로 기간을 정하고, 1950년대∼1970년대의 영향을 받은 디자인을 유스한 감성으로 재해석하여 제품과 패션에 표현된 대표적인 디자인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제품에서 나타난 레트로 유스 세대의 스타일을 반영한 디자인 특성은 과거의 향수를 자극하기 위하여 그 시대의 디자인을 바탕으로 미니멀하고 모던한 실루엣으로 재창조하며, 비비드한 팝 컬러의 사용으로 펀함 감성을 더하여 좀 더 실용적이고 유쾌한 디자인으로 재해석 하였다. 패션에서 나타난 레트로 유스 세대를 위한 디자인 특성은 그 시대의 특성을 따르면서도 미니멀한 실루엣을 추구하고 주로 팝 파스텔컬러의 사용으로 소녀 같은 여성스러움을 강조하고 비비드한 컬러를 포인트 컬러로 사용하여 펀한 감성을 강조한 스타일이었다. 또한 다양한 소재의 믹스 매치로 자기만의 강한 개성과 위트있는 유스 세대의 특성을 표현하였다. 넷째,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Retro Witty Girl’이라는 컨셉 아래 위에서 분석한 1950년대∼1970년대의 슈즈와 백 스타일과 레트로 유스 세대들이 재해석한 디자인 요소들과 접목시켜 1950년대의 제품디자인과 패션디자인에서 나타난 부드러운 감성을 재해석한 디자인 2세트, 1960년대의 팝 컬쳐 문화와 자유로운 감성을 바탕으로한 디자인 2세트, 1970년대의 스포티한 감성을 더하여 디자인한 1세트로 레트로 유스 세대의 디자인 특성을 반영한 5세트의 디자인을 개발, 제작하였다. 이상으로 살펴본 결과, 현재 트렌드로 대두되고 있는 레트로 유스 세대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으며, 레트로 유스 세대의 영향으로 재탄생된 과거의 제품과 패션들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그들만의 감성과 기호를 반영한 슈즈와 백 디자인 개발을 통하여 액세서리 분야에 다양성을 제시하고, 과거의 향수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유스 세대만의 감성으로 재해석하기를 즐기는 레트로 유스 세대들의 요구에 맞는 디자인 개발을 통해 슈즈와 백 분야의 활성화와 다양성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레트로 유스 세대의 감성과 기호를 반영한 슈즈와 백 제작을 통해 과거의 향수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차별화 되는 디자인을 추구하는 레트로 유스 세대의 디자인 특성 접근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Due to a long period of economic stagnation, modern people are now interested in a culture that makes them feel nostalgia for economically abundant times of the past, as they experience a sense of loss. People long for the past, a period that was the most abundant and happy in history. As the "Jones generation", a leading force in society, has come into the spotlight, many people are now noticing the optimistic retro nostalgic culture of the period between the 1950s and the 1970s. This retro culture is accepted by the current youth generation, which is a new consumer-centric generation that can be called as the "Retro Youth Generation". Members of this generation enjoy reinterpreting a retro culture based on fun and joy, and they are creating a new retro culture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simple joy and wit of the nostalgia and romance concerning the 1950s to the 1970s, where they are redefined and reinterpreted. The dissemination and influence of this reinterpreted retro culture has been drawing attention as a trendy design, whilst expanding into new territories of modern design. Meanwhile, the importance of shoes and bags is increasing as the interest of modern consumers in the field of fashion is increasing, and companies are extending investment on shoes and bag design as they try to launch unique and differentiated product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design for the retro youth generation, by interpreting the culture of the Jones generation, and developed designs for shoes and bags that target the retro yout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suggesting competitive shoe and bag designs that can express the differentiated aesthetic value of the retro youth generation. To realize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 concept of the retro youth generation and the style of shoes and bags from 1950s to 1970s were examined. Also, a search for design attributes through expression case analysis on designs that were reinterpreted for the retro youth generation in product and fashion was conducted. Based on above analyzed characteristics and 2011 S/S trends, shoes and bag designs that suit the design attributes of the retro youth generation were develop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retro youth generation is a compound word of retro and youth, and members of this generation are consumers who enjoy remaking a modern designs with retro sensibilities into a product which retain nostalgic joy, by reinterpreting and recreating their youthful feelings. Various forms of designs are appearing in products and fashion fields in modern design, and the field of shoes and bags are also showing interest in designs which express youthful sensibility. Second, the shoe and bag styles of the 1950s ~1970s were studied in order to find a style which reflected timely characteristics which the youth generation enjoys. As the result, moccasin, loafer ballerina shoes, sneakers, and high heels in particular were in trend during the '50s, whilst handbags or bucket bags with structured metal frames were in trend for bags. For shoes and bags in the '60s, low-heeled flat shoes, boots in various lengths, square bag, duffle bag, and shoulder bag with a long strap were in style. Platform shoes were very popular in the '70s, and flat shoes and running shoes had also appeared. At that time, patchwork- bags made with animal prints or leathers had appeared along with suede bags, appliqué clutch bags, and indian style bags. Third, expression cases of the representative design in products and fashion from 2008 to 2010 were analyzed through reinterpreting designs of 1950s to 1970s, in order to find design attributes of the retro youth generation expressed in modern designs. The design attributes for the retro youth generation were recreated into minimal and modern silhouettes based on designs of that time in order to stimulate nostalgia of the past, and were reinterpreted into more practical and delightful designs by adding fun sensibility with vivid pop colors. The design attributes for the retro youth generation expressed in fashion had pursued a minimal silhouette as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at time. Girly femininity were emphasized by pop pastel colors, and fun sensibility were acquired by vivid point colors. In addition, unique individuality and witty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generation were expressed by mix-match of various materials. Fourth, five sets of shoe and bag designs, under the concept of 'Retro Witty Girl', were develop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bove. These reflect the styles of the 1950s~1970s along with design attributes which were reinterpreted by the retro youth generation, grafted with design attributes of said generation. Conclusively,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tro youth generation on the rise as a trend were understood, and the characteristics of past designs and fashions recreated under the influenced by the retro youth generation were clarified. This study aimed to provide diversity for fashion accessory field through the development of shoes and bag designs which reflect the sensibility and taste of the retro youth generation, while pursuing the vit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 shoes and bag field through designs that suits the demands of the this generation. Through the production of shoes and bags which reflect the sensibility and tastes of the retro youth generation, this study will make a contribution toward the recognition of the design attributes of them, pursuing a new approach to nostalgia and differentiated desig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 B. 연구의 방법 및 내용 3 Ⅱ. 이론적 고찰 6 A. 레트로 유스 세대의 고찰 6 1. 레트로 유스의 개념 6 2. 레트로 유스의 특성 10 B. 1950년대∼1970년대 슈즈와 백의 고찰 15 1. 슈즈와 백에 관한 일반적 고찰 15 2. 1950년대∼1970년대 슈즈와 백 스타일의 고찰 18 Ⅲ. 현대 디자인에 나타난 레트로 유스 스타일의 영향 30 A. 제품디자인에 나타난 레트로 유스 스타일 30 1. 1950년대의 영향을 받은 제품디자인 31 2. 1960년대의 영향을 받은 제품디자인 35 3. 1970년대의 영향을 받은 제품디자인 38 B.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레트로 유스 스타일 43 1. 1950년대의 영향을 받은 패션디자인 44 2. 1960년대의 영향을 받은 패션디자인 47 3. 1970년대의 영향을 받은 패션디자인 52 Ⅳ. 디자인 개발 59 A. 제작 의도 및 방법 59 1. 컨셉 61 2. 타깃 62 3. 스타일 포지셔닝 63 4. 이미지 맵 64 5. 컬러 65 6. 컬러 맵 66 7. 소재 67 8. 작품 구성 68 B. 디자인 개발 69 1. 디자인 Ⅰ 69 2. 디자인 Ⅱ 77 3. 디자인 Ⅲ 85 4. 디자인 Ⅳ 93 5. 디자인 Ⅴ 101 Ⅴ. 결론 및 제언 109 참고문헌 112 Abstract 1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0752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레트로 유스 세대를 위한 슈즈 및 백 디자인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950년대∼1970년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Design Development of Shoes and Bags for the Retro Youth Generation : Focusing on the1950s~1970s-
dc.creator.othernameLee, Mi Hee-
dc.format.pagexiii, 12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