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인성-
dc.contributor.author김소연-
dc.creator김소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3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8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6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887-
dc.description.abstractBased on the advent and dissemination of new developments concerning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web services have brought new paradigms into society, thus facilitating the birth and evolution of various service industries to society as a whole. Especially, the spread of the ‘Web 2.0’ paradigm has radically altered the way consumers and corporation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efore Web 2.0, corporations used television, newspapers, radio, magazines, and other such traditional forms of mass media to convey one-way messages to consumers. Consumers are now actively changing market dynamics, by advocating specific products or creating trends through the making and sharing of various modes of user created contents(UCC). Online social networks are potent communication channels for people with shared interests, where they can search and share information, and also conduct e-commerce. Social changes in demographics, such as the decrease of traditional and nuclear families due to the increase of single households and women in the workforce, also contribute to the rise of social media. Many young mothers who are expecting their children’s ‘Dol’, or Korean first birthday party, actively use social media to share info on raising children, education, and other such topics in online communities. The economic growth of Korea has lead to rapid diversification of consumption patterns, and this also holds true for women preparing for their Dol party. Demand for Dol partywear is on the rise as consumers’ tastes are becoming increasingly differentiated. Although an industry for planning and holding Dol parties has appeared, the professional supply of sophisticated Dol partywear still leaves much to be desired. Thus, the development of Dol partywear design for online shopping malls is needed to satisfy the various needs of female consumers stemming from sociocultural and economic changes.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expansion of Dol party culture and design examples of Dol partywear appearing in social media, through an inquiry into the communication functions inherent in social media. Also, the development of Dol partywear designs for women aged 20 to 30 years was accomplished by categorically analyzing design characteristics in preferred fashion styles uploaded and shared within online childcare commun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concluded that due to the bidirectional flow of information between corporations and consumers occurring from the expansion of social media, the entire structure of the market is undergoing great changes. Users with professional knowhow construct networks to produce and share information, and their influence continues to grow as marketing efforts are increasingly linked with various online contents. Next, the increase of nuclear families and women in the workforce resulting from the heightened education level of women since the 1990’s has in turn brought a functional reduction of the traditional family. Young parents who find raising an infant difficult to handle are increasingly connecting to childcare communities hosted on social services. Young mothers in their 20s and 30s are especially active on Dol party forums, where they can share information and recommend suitable locations, Dol tables, Dol photography and other useful tips for preparing the party. This particular market segment has spent their teens and early 20s in a culture of consumerism, and therefore demand differentiated products and efficient professional services. The need for the supply of professionalized Dol partywear can be proved by the influx of party planners and caterers into this new industry. Third, by verifying the fact that many consumers employ professional photographers for the Dol party, preferred styles of Dol partywear were identified by viewing photographs from 16 professional Dol photo agencies. Among 837 photographs of Dol partywear, 523 were selected by a panel of 18 Fashion majors participating in a Focus Group Interview(FGI). Through a categorical analysis of these 523 photos, elegance style was the most preferred with 32.50%, while classic and romantic styles followed with 31.73% and 21.03%. Other styles such as modern, sophisticated, casual, natural and ethnic showed preference ratios of less than 5%. Th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fashion design factors within each respective partywear are as follows; silhouettes were mainly either straight and allowed more activity, or in hourglass shapes which emphasized the lines of the bust and waist, while sheath lines, H lines, fit & flare lines gracefully expressed femininity. While monochromes such as White, black & white were heavily used, other colors such as ivory and beige in neutral tones, peach and pink in pale tones were used to express a romantic feeling. The use of lustrous material such as satin and taffeta, sheer textiles such as tulle and organza was dominant. Also, feminine details such as shirring, frills, ruffles, and flounce were employed along with ribbons, pearls, beads, lace for a decorative effect. Basic round, boat, and high-top necklines were in vogue, and romantic factors such as wrapped sleeves were used. Last of all, 5 pieces of partywear reflecting contemporary consumer lifestyles which focus on ‘enjoying one’s own life’ were created under the concept of ‘Romantic chic’. Members of the target segment are defined as female urbanites who seek self-realization and want to express their sophistication in various way, despite the burden of raising a child. They try to maintain an active, youthful lifestyle while retaining a mature beauty. The created designs aim to present a style which follows the predominant trend of elegance, classic and romantic, whilst keeping sensitivity in mode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nalysis of consumer lifestyle changes resulting from the appearnce of new communication channels is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the success of online Dol partywear brands. In this context, this study has aimed to present fundamental research data in the field of online Dol partywear, through the development of Dol partywear design based on Dol party consumer characteristics gleaned from various forms of social media.;웹 서비스는 첨단 정보통신 시설 보급과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을 기반으로 매년 새로운 패러다임을 등장시키며 사회 전반에 다양한 서비스의 성장과 진화를 이끌고 있다. 특히 웹 2.0 패러다임이 확장되면서 온라인 상 사회적 관계 개념의 소셜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소셜 미디어의 확산은 소비자와 기업의 소통 방식을 바꿔놓았다. 웹 2.0 시대 이전에는 TV, 신문, 라디오, 잡지 등의 매스 미디어를 통한 기업의 일방적인 메시지 전달이 주를 이루었다면, 웹 2.0 등장 이후 소비자들은 소셜 미디어를 통한 콘텐츠 생산과 공유 활동으로 직접 제품을 추천하거나 대중의 트렌드를 만들어 가면서 전체 시장의 구조를 바꾸고 있다. 소비자들은 소셜 미디어의 네트워크 안에서 공통된 관심사를 가지고 타인과 공감대를 형성하여 소통하고 있으며,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 탐색, 공유, 쇼핑, 구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채널로서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 속에서 독립 세대가 증가하고 여성의 사회 진출이 확대됨으로 인해 가족의 기능이 축소되면서, 현대 여성 소비자들은 육아, 교육 등 여러 분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양상은 돌 파티를 앞 둔 젊은 여성 소비자들에게서 매우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들의 경우 소셜 미디어의 육아 커뮤니티를 통해 돌 파티에 대한 정보를 자유롭게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경제 발전으로 인해 다양화된 소비 문화의 영향으로 돌 파티를 준비하는 이들의 소비 욕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경제적, 문화적 요인으로 소비자들의 취향이 다양해지면서 돌 파티웨어에 대한 욕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렇듯 돌 파티 문화에 대한 수요가 늘어가면서 돌 파티 전문 업체가 등장하게 되었으며 관련 산업이 활성화되고 있으나,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전문화된 돌 파티웨어의 공급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변화된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돌 파티 소비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사회, 문화, 경제적 변화 속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는 여성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온라인 전문 쇼핑몰을 위한 돌 파티웨어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 전반적으로 소셜 미디어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는 가운데 소통의 기능을 지닌 소셜 미디어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를 통해 확대되어지고 있는 돌 파티 문화와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돌 파티웨어 디자인 사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소셜 미디어의 육아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나타나는 돌 파티웨어의 디자인적 특징을 스타일 별로 분석하여, 이들의 선호 스타일을 중심으로 돌 파티 산업의 소비 주축인 20∼30대 여성 소비자를 위한 돌 파티웨어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웹 2.0을 기반으로 한 IT의 발달로 콘텐츠 생산과 공유의 개념이 강화된 소셜 미디어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정보의 흐름이 기업과 소비자 사이에 양방향성을 띄게 되어 전체 시장의 구조가 바뀌고 있다. 자신만의 전문가적 의견을 갖춘 이용자들의 증가로 정보를 생산하고 공유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의 현상이 나타나고, 다양한 콘텐츠와 기업의 마케팅이 연계되면서 온라인 상에서 이들의 영향력은 매우 커지고 있다. 둘째, 이러한 환경 변화 속에서 1990년 대 이후 여성의 교육 수준이 높아지고 이로 인한 여성의 사회 진출 확대, 핵가족화의 증가로 가족의 기능이 축소되면서, 육아에 어려움을 겪게 된 현대 사회의 젊은 부모들은 소셜 미디어의 육아 커뮤니티를 통하여 서로 소통하며 정보를 공유하고 있었다. 특히 돌 파티를 앞 둔 20∼30대 젊은 여성 소비자들은 돌 파티를 준비하기 위해 육아 커뮤니티의 돌 파티 게시판을 통하여 돌 파티웨어를 비롯한 돌 파티 장소, 돌상, 돌 스냅 사진 등 돌 파티 준비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 추천에 대한 의견을 활발히 나누고 있었다. 이들은 X 세대, 오렌지 세대, N 세대 등으로 불리던 소비지향적인 10∼20대를 보낸 소비자 그룹으로 가정과 직장 생활, 그리고 스스로를 위한 효율적이고 전문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돌 파티 전문 업체들이 등장하게 되었고 관련 산업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소비자의 다양한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는 전문화된 돌 파티웨어의 공급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돌 파티웨어 디자인 개발에 앞서 돌 파티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파티웨어 스타일을 알아보기 위해 이들 대부분이 전문 스냅 사진 업체를 통하여 파티 당일 촬영을 실시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대표적 육아 커뮤니티에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 돌 스냅 사진 전문 업체 16개를 선정하였다. 이상의 돌 스냅 사진 웹 사이트를 통하여 돌 파티웨어 사진 837장을 수집하였으며, 일차적으로 패션을 전공한 전문인 18인에게 FGI를 실시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523장의 사진 자료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523장의 사진 자료를 스타일별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엘레강스, 클래식, 로맨틱 스타일의 비중이 32.50%, 31.73%, 21.03% 순으로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 외 모던, 소피스티케이트, 캐주얼, 내추럴, 에스닉 스타일은 5% 이하의 비중으로 나타났다. 분석된 돌 파티웨어의 스타일별 패션 디자인 요소에 따른 특징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실루엣은 여유가 있어 활동이 편안한 스트레이트 실루엣과 가슴과 허리를 강조한 아워글라스 실루엣이 주로 나타났으며, 세부 라인을 살펴보면, 시스 라인과 에이치 라인, 핏 앤 플레어 라인이 우아하고 여성스럽게 표현되었다. 컬러는 화이트, 화이트&블랙의 무채색이 비중 있게 나타났으며, 뉴트럴 톤의 아이보리, 베이지 컬러, 페일톤의 피치와 핑크 컬러가 주로 사용되어 로맨틱한 느낌으로 표현되었다. 소재는 새틴, 타프타 등 광택이 풍부한 소재와 튤, 오간자 등 얇고 비쳐 보이는 소재가 많이 나타났으며, 시폰, 조젯, 저지와 같은 부드러운 소재와 트위드와 같이 거칠고 두꺼운 소재가 사용되었다. 또한 셔링, 프릴, 러플, 플라운스 등의 여성스러운 디테일이 정돈되어 사용되었으며, 리본, 진주, 비즈, 레이스 장식과 티어드, 드레이프, 턱, 소재 배색 등의 사용으로 장식적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기본적인 라운드, 보트 네크라인과 하이탑 네크라인이 많이 나타났으며, 랩트 슬리브와 같은 로맨틱한 요소들이 비중 있게 사용되었다. 넷째,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Romantic chic’라는 컨셉 아래, ‘나를 위한 삶’을 즐기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한 5벌의 작품을 디자인 하였다. 이들은 육아로 인해 지친 삶 속에서 자아실현을 추구하며 자신을 다양하고 세련되게 표현하고자 하는 도시적 여성으로 성숙미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젊고 활기찬 삶을 유지해나가길 원한다. 이들을 위해 분석 결과 높은 비중을 차지한 엘레강스, 클래식, 로맨틱 스타일을 중심으로 유행을 추구하나 절제된 감성의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상으로 살펴본 결과, 온라인 전문 돌 파티웨어 브랜드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새로운 소통의 채널들이 등장함에 따른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와 특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현재 주목 받고 있는 소셜 미디어를 주요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활용하는 돌 파티 산업의 소비자 특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소비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파티웨어 디자인 개발을 통해 현 온라인 돌 파티웨어 시장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목적 및 의의 1 B.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Ⅱ.이론적 고찰 7 A.소셜 미디어에 대한 일반적 고찰 7 1.소셜 미디어의 개념 및 특성 8 2.소셜 미디어의 현황에 대한 고찰 11 3.소셜 미디어의 유형 분류 및 고찰 17 B.돌 파티에 대한 일반적 고찰 30 1.돌 파티의 개념 및 변천 30 2.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돌 파티 32 Ⅲ.돌 파티웨어 스타일 분석 44 A.엘레강스 스타일 48 B.클래식 스타일 52 C.로맨틱 스타일 56 D.기타 스타일 63 1.모던 스타일 63 2.소피스티케이트 스타일 64 3.캐주얼 스타일 66 4.내추럴 스타일 67 5.에스닉 스타일 68 Ⅳ.디자인 개발 76 A.디자인 의도 및 제작 방법 76 1.컨셉 77 2.타깃 78 3.뮤즈 79 4.이미지 포지셔닝 81 5.이미지 맵 82 6.컬러 83 7.컬러 맵 84 8.소재 85 9.참고 치수 86 B.디자인 개발 88 1.디자인 Ⅰ 88 2.디자인 Ⅱ 95 3.디자인 Ⅲ 102 4.디자인 Ⅳ 112 5.디자인 Ⅴ 119 Ⅴ.결론 및 제언 127 참고문헌 131 부록.스타일 분류 기준 137 Abstract 13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9894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돌 파티웨어 스타일 분석 및 디자인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yle Analysis and Design Development of Dol partywear based on examples from Social media-
dc.creator.othernameKim, So Yoon-
dc.format.pagexvi, 14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