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희진-
dc.contributor.author안현정-
dc.creator안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1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5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5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537-
dc.description.abstract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science center implementation reflecting children's interest on children's science related attitude and scientific inquiry skills. Research questions for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influence of science center implementation reflecting children's interest on children's science related attitude? 2. What is the influence of science center implementation reflecting children's interest on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skills? The subjects of this experiment were 60 five-year-old children who were selected from the Kindergarten N at Nowon-ku, Seoul. 30 members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30 members were in the comparative group.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orked in the science center reflecting their interest, and the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worked in the science center implemented by the annual plan, for 5 weeks. To figure out the children's science related attitude, Chae, Jung-yeon's 'Test-sheet for Science Related Attitude', which revised and supplemented 'National Assessment System Development of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1998, Kim, Hyo-nam, Jung, Wan-ho, Jung, Jin-woo,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ased on Klopfer(1971) and Munby(1983)'s theory on Science-Related Attitude.) was used. In the use of the test-sheet, to satisfy the objective of the study, the 'cognition' part and the 'interest on science-related job' part were deleted. To measure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skills, the researcher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test of Lee, Kyung-min(2000);the revised version of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 assessment scale by Martin(1997). Though the contents of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were the same, to eliminate the impact of the pre-test, the activity materials of the pre-test were offered wrapped in a cloth bag. And the activity materials of the post-test, which were the same as the pre-test, were offered in a secret box.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the test,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were conducted on children's science-related attitude.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in terms of science-related attitude and scientific inquiry skill was proven by the analysis of the pre-test. And the analysis of the post-test data revealed it significant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science center reflecting children's interest enhanced the children's science-related attitude and the scientific inquiry skills. The main results found in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implementation of science center reflecting children's interes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science-related attitude. The improvement of science-related interest and scientific attitude, which were the subordinate elements of science-related attitude, showed statistic significance. This means that if the teacher noticed where children's interests were and responded quickly and appropriately on the object or on the situation, and arranged the environment that would help children maintain their curiosity and keep studying, the children's science-related interest could be enhanced. Also, it means that by studying the object the children were interested in and solving the conflict situation that the children had a cognitive problem, the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 could be enhanced. Therefore, it is needed to reflect the children's interest to implement the science center in the kindergarten, to enhance children's science-related attitude. Secondly, the implementation of the science center reflecting children's interest enhanced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skills. Among the subordinate elements of the scientific inquiry skills, the elements of forecasting, observation, measurement and discuss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nhancement. But the element of classification showed average increase but no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It applies that if the environment was organized to help children work according to their interest and curiosity, it would help them participate actively. And if they had more chance and time to practice their scientific research ability, their scientific inquiry skills would enhance. As a conclusion, the implementation of science center reflecting children's interest enhanced children's science-related attitude and scientific inquiry skills. Therefore, it would be a effective method to identify children's interest and to accordingly implement the science center in the kindergarten, to enhance children's scientific literacy.;본 연구는 유아의 흥미를 반영하여 과학영역을 구성하고 운영하는 것이 유아의 과학관련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흥미를 반영한 과학영역 구성은 유아의 과학관련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유아의 흥미를 반영한 과학영역 구성은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노원구 소재의 N유치원 만 5세 유아 60명으로 30명은 실험집단으로 다른 30명은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5주에 거쳐 유아가 보이는 과학적 흥미를 반영하여 관련된 도서, 필요한 자료와 도구, 관찰, 탐구, 실험이 가능한 활동 준비, 결과를 나누고 공유할 수 있는 게시물 등으로 과학영역을 구성하였으며, 비교집단의 유아들은 연간 교육계획에 따라 과학영역을 구성하고 운영하였다. 유아의 과학관련 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채정연(2003)이 사용한 ‘과학관련 태도 검사지’를 목적에 따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을 측정하는 검사도구로 Martin(1997)이 개발하고 이경민(2001)이 번역한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 도구를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t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흥미를 반영한 과학영역 구성은 유아의 과학관련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관련 태도의 하위 요소인 과학적 흥미와 과학적 태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향상을 나타냈는데, 이는 유아의 흥미가 어디에 있는가를 파악하여 유아가 관심을 가지는 대상이나 상황에 교사가 관심을 가지고 궁금한 점을 지속적으로 탐구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유아의 과학적 흥미를 증진시킴을 나타낸다. 또한 유아가 흥미를 가지고 있는 대상을 탐구하거나 인지적으로 갈등을 겪고 있는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과정을 통하여 유아의 과학적 태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치원에서는 유아의 과학관련 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과학영역을 구성함에 있어 유아의 흥미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유아의 흥미를 반영한 과학영역 구성은 유아의 과학적 탐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적 탐구 능력의 하위 요소 중 예측하기, 관찰하기, 측정하기, 토의하기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분류하기는 평균적으로는 증가했으나 통계적으로는 의미를 가지지 못했다. 이는 유아가 자신의 흥미와 호기심에 따라 스스로 탐구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성하는 것이 유아의 자발적 참여를 가능하게 하고, 의미 있는 맥락 안에서 과학적 탐구 능력을 활용하는 기회와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유아의 과학적 탐구 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흥미를 반영한 과학영역의 구성은 유아의 과학관련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유치원에서 유아의 과학적 소양을 기르기 위한 과학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유아의 흥미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여 과학영역을 구성하고 운영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유아과학교육에서 흥미의 중요성 5 B. 유치원의 과학영역 7 1. 과학영역의 인적 환경 8 2. 과학영역의 물리적 환경 9 가. 실내 환경 9 나. 실외 환경 10 다. 자료와 도구 11 C. 과학관련 태도 및 과학적 탐구능력 13 1. 과학관련 태도 13 2. 과학적 탐구능력 19 Ⅲ. 연구방법 22 A. 연구대상 22 B. 연구도구 23 1. 과학관련 태도 검사 23 2.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 25 C. 연구절차 27 1. 예비연구 27 2. 예비검사 28 3. 사전검사 28 4. 실험처치 30 가. 유아의 흥미를 반영한 과학영역 구성 32 나. 연간교육계획에 따른 과학영역 구성 42 5. 사후검사 44 D. 자료 분석 45 Ⅳ. 연구결과 및 해석 46 A. 유아의 흥미를 반영한 과학영역 구성이 유아의 과학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46 B. 유아의 흥미를 반영한 과학영역 구성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47 Ⅴ. 논의 및 결론 49 A. 논의 49 B. 결론 및 제언 52 참고문헌 54 부록 58 ABSTRACT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753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유아의 흥미를 반영한 과학영역 구성이 유아의 과학관련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f the impact of the implementation of Science Center reflecting children's interest on Children's Science Related Attitude and Scientific Inquiry Skills-
dc.creator.othernameAn, Hyun Jung-
dc.format.pageviii, 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