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엄정애-
dc.contributor.author문은미-
dc.creator문은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1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1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5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16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 만 1, 2세반에 다니는 영아들의 보육경험(보육경험 기간, 보육시작시기, 보육시설 이용횟수, 보육시설 이용시간, 보육안정성)과 보육시설의 질에 따른 영아의 사회ㆍ정서적 행동을 알아봄으로써 영아의 사회ㆍ정서적 행동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이를 증진시킬 수 있는 보육시설의 환경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경험에 따른 영아의 사회ㆍ정서적 행동은 어떠한가? 2. 보육시설의 질과 영아의 사회ㆍ정서적 행동은 관계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에 위치한 보육시설에 재원하고 있는 만 1, 2세 영아 중 해당 보육시설에 6개월 이상 다니고 있는 영아 406명과 그들의 어머니 및 담임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영아의 사회ㆍ정서적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서 Briggs-Gowen과 Carter(2001)가 개발한 영아기 사회ㆍ정서 측정도구(Infant Toddler Socio-Emotional Assessment : ITSEA)를 Carter, Briggs-Gowen, Jones와 Little(2003)가 신뢰도와 타당도에서 유의한 문항을 근거로 짧게 요약한 도구(Brief Infant Toddler Socio-Emotional Assessment : BITSEA)를 김지선(2009)이 수정ㆍ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보육시설의 질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이은해, 송혜린, 신혜영, 최혜영(2002)의 ‘어린이집 프로그램 평가척도’ 중 ‘영아반 평가척도’를 사용하였고, 영아의 보육경험은 영아가 출생 후 처음 타인양육에 의해 양육된 경험과 보육시설을 이용한 경험으로 부모가 직접 보육경험에 대한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따라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연구문제별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 검증,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경험 중 타인에 의한 양육경험과 영아의 사회ㆍ정서적 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영아의 타인양육 유무에 있어 타인에 의한 양육경험이 있는 영아가 조절 문제와 수면, 식사에서 문제행동이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인양육 시작시기에 있어 따라 타인양육이 일찍 시작될수록 영아들이 조절 문제와 수면에 있어 문제행동이 많아졌으며, 양육자 변경에 있어 변경횟수가 3회 이상일 때 사회ㆍ정서적 행동의 하위영역인 외현적 문제행동과 그 세부영역인 공격ㆍ반항성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보육시설에서의 보육경험과 영아의 사회ㆍ정서적 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보육시설 시작시기에 있어 영아들이 보육시설을 일찍 다니기 시작할수록 사회ㆍ정서적으로 유능했지만 수면에서의 문제행동을 많이 나타내었다. 총 보육시설이용기간에 있어 25개월 이상 보육시설을 이용한 영아들이 공격적이고 반항적인 행동을 가장 많이 나타내었으며, 7~12개월 동안 보육시설을 이용한 영아들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주당 보육일수가 짧을수록 영아의 사회ㆍ정서적 유능성과 순종적인 행동을 많이 하고 외현적 문제행동과 활동적이고 충동적인 행동, 공격적이고 반항적인 행동을 적게 하였고, 영아의 하루 보육시설 이용시간이 길수록 내면적 문제행동과 조절문제, 수면에서의 문제행동이 많이 나타났다. 셋째, 보육시설의 질과 영아의 사회ㆍ정서적 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건강과 안전 및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질이 높을수록 영아의 사회ㆍ정서적 유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놀이환경, 놀이활동, 일상적 양육의 질이 낮을수록 영아의 외현적 문제행동과 내면적 문제행동, 조절 문제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perly understand child’s socialㆍ emotional behaviors and to identify the ways for creating an environment within the child care centers that will improve such behaviors by examining the experience(length of experience in child care center, starting age, number of attendance per week, number of hours of attendance per day, and stability) among infants aged 1~2 in child care centers and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centers. 1. What is the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of a infant based on the experience in child care center? 2.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center and the infant’s socialㆍemotional behavior? The 406 infants aged 1~2, who have been attending child care centers in Seoul Metropolitan City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ir mothers as well as teacher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The Infant Toddler Socio-Emotional Assessment(ITSEA) developed by Briggs-Gowen and Carter (2001) was applied to measure the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s of infants and the Brief Infant Toddler Socio-Emotional Assessment(BITSEA) developed by Jones and Little(2003) and modified by Jiseon Kim(2009) was applied for reliability. As for the rating scale, the Child Class Check List among the Child Care Center Program Check List developed by Eun-hae Lee, Hae-rin Song, Hae-young Shin, and Hae-young Choi(2002) was used to assess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 care center. And to assess the child care experience, a survey on when the infant was first cared for by people other than the parents and the experience in the child care centers was completed by the par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o obtain degree of frequency, percentil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based on the key variables of the subject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T-Test as well as the Analysis of the Variant was appli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among the subject groups per research frame,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variable relationships. The summary of key research output is as follows. First, the examination of the infant’s socialㆍemotional behavior relevant to the experience of being fostered by individuals other than parents showed that infants who have been fostered by individuals other than parents indicated significant problem with control, sleeping and eating habits. The control and sleeping problem showed higher significance among the infants who have started being fostered by individuals other than parents at an earlier age and the problems of expressed behavior, which is the sub-category of the socialㆍemotional behavior, and the detailed fields of aggressiveness and defiance showed to be highest among infants who have had changes of the caretakers three or more times. Second, the examination of the infant’s socialㆍemotional behavior relevant to the length of experience in a child care center showed that the infant who started attending the child care center at an earlier age had more advanced socialㆍemotional behavior but also displayed significant sleep related problems. The infants who attended child care centers for over 25 months showed the most aggressive and defiant behaviors while such behavior was shown to be lowest among the infants who attended child care centers for 7-12 months. Infants who attended lesser number of days per week showed stable socialㆍemotional behavior with increased obedience behavior and lesser problems of expressed behavior, impulsive actions, as well as aggressive and defiant behaviors. But as the number of hours in the child care centers per day increased, the problems of inner behavior, control and sleeping increased. Third, the examination of the infant’s socialㆍemotional behavior relevant to the quality of a child care center showed that the infant had more advanced socialㆍemotional behavior as the infant’s health, safety, and the quality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increased. In contrast, the problems of inner and expressed behavior and control were shown to be affected by low quality of the child care center’s playing environment for infants, playing activities, and general fostering condi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1. 영아의 사회ㆍ정서적 행동 5 2. 보육경험과 영아의 사회ㆍ정서적 행동 8 3. 보육시설의 질과 영아의 사회ㆍ정서적 행동 10 Ⅲ. 연구 방법 14 A. 연구대상 14 B. 연구도구 17 C. 연구절차 21 D. 자료분석 21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2 A. 보육경험에 따른 영아의 사회ㆍ정서적 행동 23 B. 보육시설의 질과 영아의 사회ㆍ정서적 행동과의 관계 33 Ⅴ. 논의 및 결론 36 A. 요약 및 논의 36 B. 결론 및 제언 40 참고문헌 42 부록1. 영아의 보육경험에 관한 설문지(부모용) 48 부록2. 보육시설에 관한 설문지(교사용) 51 부록3. 영아의 사회ㆍ정서적 행동에 관한 설문지(교사용) 62 ABSTRACT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905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보육경험, 보육시설의 질에 따른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ocialㆍ Emotional Behaviors of Infants According to the Child Care Experiences and the Quality of the Day Care Centers-
dc.creator.othernameMoon, Eun Mee-
dc.format.pageviii, 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