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6 Download: 0

학습성찰 활동이 한국 고등학생의 영어 읽기 능력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학습성찰 활동이 한국 고등학생의 영어 읽기 능력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as a Post-Reading Activity up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Ability and Attitude
Authors
한아름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혜순
Abstract
영어는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언어로서 세계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는 현대사회에서는 영어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개정 7차 교육과정은 영어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기 위해 말하기, 읽기, 쓰기, 듣기와 같은 영어의 네 기능을 균형적으로 발달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EFL 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읽기는 학습자가 영어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는 방법이며 영어 학습 자료가 주로 읽기 자료 형태를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EFL 학습자의 영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 후 활동으로 제시된 성찰활동이 우리나라 고등학교 EFL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능력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그 동안의 영어 학습에서 성찰을 활용한 연구들은 대부분 학습자들이 성찰한 내용을 분석하거나 성찰일지 쓰기가 영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그렇지만 성찰이 학습한 내용을 장기기억에 저장하도록 도와줄 수 있으며 성공적인 읽기를 위해 필요한 상위인지적 지식을 사용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읽기 수업 시 성찰일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면 성공적인 영어 읽기 학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경기도에 위치한 고등학교의 2학년 학생들 63명이며 이들은 성찰일지집단과 전통수업집단으로 나뉘어져 5주간 실험을 실시하였다. 성찰일지집단과 전통수업집단 학생들은 읽기 전과 중 활동은 모두 동일한 활동을 수행하였으나 읽기 후 단계에서 성찰일지집단은 교사가 제공한 성찰활동일지를 작성하였으며 전통수업집단은 교사가 기존에 진행하던 수업 방식대로 문법 및 단어 퀴즈와 통제 글쓰기를 진행하였다. 성찰활동이 영어 읽기 능력과 영어 학습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읽기 능력 평가지와 정의적 태도 측정 설문지를 실험 전 ∙ 후에 사용하였으며 실험 후 성찰일지집단을 대상으로 성찰활동에 대한 의견 및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심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PASW 18.0 for Windows를 사용하였고 연구 질문에 따라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 독립표본 t-검정(two-independent samples t test), 대응표본 t-검정(two-dependent samples t test), 카이제곱검정(χ2: Chi-square), 다중응답교차분석(multiple response sets cross-tabulation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후 영어 읽기 능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전통수업집단은 영어 읽기 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없었던 반면, 성찰일지집단(reflective journal writing group)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점수를 보였다. 한편, 영어 읽기 능력에 대한 성찰활동의 유무와 학습자 수준 간의 상호작용을 알아본 결과,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있었다. 즉, 읽기 후 활동 차이가 상위 수준 학습자에게는 영어 읽기 능력의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지 않았으나 하위 수준 학습자에게는 성찰활동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전통적 방식보다 효과적이었다. 이런 결과로 미루어 보았을 때, 읽기 후 활동으로 수행한 성찰활동은 전통적 방식보다 영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특히 하위수준 학습자의 영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둘째, 성찰활동이 읽기의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상향식 및 하향식 문항에서 모두 성찰활동집단이 전통수업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한편, 문항 유형에 따라 상향식 문항과 하향식 문항으로 나누어 성찰활동의 유무와 학습자 수준 간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상향식 문항에서는 상호작용이 유의미했던 반면 하향식 문항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찰활동이 읽기의 상향식 및 하향식 과정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상향식 문항의 경우 상위 수준 학습자들에게는 전통적 방식이 효과적이었던 반면 하위 수준 학습자들에게는 성찰활동이 효과적이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셋째, 성찰활동이 영어 읽기 학습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성찰활동은 학습의 정의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성찰일지집단은 동기, 흥미, 자신감, 불안 영역에서 실험 후에 긍정적인 향상을 보였다. 또한, 학습자 수준에 따른 사전 ∙ 사후 정의적 태도 점수를 비교한 결과, 성찰일지집단의 상위 수준 학생들은 흥미와 불안 영역이 개선되었으며 하위 수준 학생들은 자신감과 불안 영역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통수업집단은 실험 전과 후에 정의적 태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이후 정의적 태도에 대한 성찰활동의 유무와 학습자 수준 간 상호작용을 살펴본 결과, 정의적 태도의 전 항목에서 유의미한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래서 정의적 태도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흥미와 자신감 영역에서 두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찰활동은 영어 읽기 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넷째, 성찰활동에 대한 의견 및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사후 심화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성찰일지집단의 하위 학습자들이 상위학습자들 보다 성찰활동에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으며 이후에도 영어 읽기 학습에서 성찰활동을 하고 싶다는 의견을 많이 보였다. 한편, 성찰일지의 장점으로는 학습자들이 배운 내용을 되돌아 볼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며 새로 배운 내용과 기존에 알고 있던 지식을 연계할 수 있다는 의견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읽기에 어떤 부분에 도움이 되었는지에 대한 의견으로는 읽은 글의 내용을 정리하고 글의 주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었다. 한편, 실험 전 학습자들에게 성찰활동에 대한 안내 및 지침을 제공했음에도 불구하고 성찰활동의 단점으로 성찰일지에 어떤 내용을 써야 할지 막막하다는 의견도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성찰활동은 읽기 학습을 촉진하고 읽기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성찰활동이 하위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결과로 미루어 성찰활동은 하위 수준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읽기 후 활동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수준별 영어 학습에서 하위 수준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성찰활동을 활용할 수 있다. 셋째, 성찰활동은 읽기 학습자들이 학습한 내용을 복습하고 선험지식과 새로 배운 지식을 연계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상위인지적 지식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방법이 될 수 있다.;As English is taking its place as an international official language, developing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has become more critical in a globalized society. Because of this tendency,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focuses on promoting balanced English four skills – reading, writing, speaking and listening. However, given that Korean EFL students are mostly exposed to English by reading and they usually learn the language from written materials, English reading skill is by far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skills in the Korean EFL contex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using reflective journal as a post-reading activity upon Korean high school EFL students reading ability. While most studies have analyzed what learners reflect on or the effect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on their writing ability or learning attitude, there has been minimal research regarding the effect upon learners’ reading ability. However, as several studies and literature have observed that a successful reader uses meta-cognitive knowledge such as monitoring or evaluating and reflective journal writing can be one of the ways to activate such knowledge,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reflective journal writing helps Korean EFL students improve their reading ability and attitude. Henc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five weeks with 63 female high school students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fter same activities were given for the pre- and while-reading, different activities were provided as the post-reading activ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assigned to writing reflective journal, while the control group was assigned to have grammar and vocabulary quiz and control writing. Reflective journal was asked to be written in Korean in order to keep the experimental group from language interference. There were reading test and learning-attitude survey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another survey on reaction to reflective journal writing was carried out after the experiments. For data analysis, PASW 18.0 for Windows program was used. The study made use of two-way ANOVA, two-independent samples t-test, two-dependent samples t-test, χ²(Chi-square), and multiple responses sets cross-tabul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of reading ability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Moreover,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reflective journal writing and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level. Reflective journal writing did not lead high-proficiency level students to improve their reading ability but low-proficiency level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the reading ability mor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is means that reflective journal writing is more effective post-reading activity than the traditional way such as grammar and vocabulary quiz or control writing and also effective for low-proficiency level students to improve their reading ability.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had fairer progress in both bottom-up and top-down processing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reflective journal writing and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regard to bottom-up processing scores. It means that journal writ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bottom-up as well as top-down processing. However, in the case of bottom-up processing, reflective journal writing is helpful for low-level proficiency learners, while the traditional method is adequate for high-level students in developing their bottom-up processing. Third, reflective journal writing improved the experimental group’s learning attitude. Throughout the experiment, reflective journal writing turned out to stimulate and raise the experimental group’s motivation, interest, confidence and learning anxiety in reading English. As a consequence, the high-proficiency level students became to have more interest and less anxiety and the lower-proficiency level students improved their confidence and alleviated anxiety. In addition, after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s of interest and confidenc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is proves that reflective journal writing supports Korean high school EFL students to build a positive attitude toward reading English text by enhancing their interest, and confidence. Fourth,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 low-proficiency leve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found reflective journal writing effective and helpful in advancing their reading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while the high-proficiency level students did not. The low-proficiency level students were also willing to continue writing the reflective journals in the reading class while the high-proficiency level students were not. However, they all commented that reflective journal writing gave them a chance to review what they have learned in the reading class and make a connection between the newly learned information and their prior knowledge. These can be regarded as the advantages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Furthermore, they claimed that a reflective journal has helped them summarize the reading and catch the main idea of it. On the contrary, as for a negative feedback, some students had complained that they had no idea of what to write in the reflective journals, even though the guidelines on how to write were provided in the beginning. In conclusion, outcomes of this study suggest several important implications. First of all, reflective journal writing as a post-reading activity is desirable for Korean EFL students, since it helps improve their reading ability and attitude. Secondly, reflective journal writing is especially effective for low-proficiency level students in improving their reading ability. Lastly, reflective journal writing can be a good way for learners to have meta-cognitive knowledge by letting them review what they have learned and link it to their prior-knowled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