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혜순 교수님-
dc.contributor.author권정향-
dc.creator권정향-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8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8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0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5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030-
dc.description.abstractThe ultimate goal of English education is to improve both fluency and accuracy in English, so that learners can achieve communicative competence. To meet the English education goal, 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grammar instruction which integrates language form and meaning. There have been plenty of researches on the effects of different kinds of grammar instruction. Previous studies concluded that explicit grammar teaching is more effective than implicit grammar teaching. Moreover, deductive learning is better than inductive learning. From the results, it is notable that rule explanation was always successful no matter what the target grammar.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grammar instructions containing a teacher’s rule explanation on the learning subjunctive mood.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100 second grade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n Incheon area was randomly chosen. Then, they were put into different grammar teaching method. The deductive explanation group was provided rule instruction from a teacher, and later examples were given to identify the grammar rule and meaning. Final stage is practicing the learned rule. On the other hand, inductive explanation group was distributed examples at first, then, learners had to discover the grammar meaning and rule in groups. Afterwards, a teacher explained target form and provided same worksheet for practice with the former group. The experiment lasted for 4 week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groups have improved in the post test, and the increas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However,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rovement between two groups, although inductive group’s grade was a little bit higher than deductive group’s. Second, the effects of different grammar teaching methods were different based on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level. In high-proficiency level students, ther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 which is inductive learning is more effective than deductive learning. In contrast, in terms of low level students,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eductive and inductive groups. Third, in the case of simple subjunctive mood structures, both groups’ post test scares were similar no matter what the students’ levels a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s of different grammar instructions according to the students’ proficiency. Forth, however, in terms of complex grammar structure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The high-level students taught inductive method outperformed the others in deductive group. On the contrary, in the low-level students, deductive group’s scores were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but the difference is not considerable. Fifth, in the comprehension tasks in pre and post test, both groups’ improvement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us, different grammar instructions didn’t influence learners’ comprehension ability no matter what the students’ levels are. Lastl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 in the case of production tasks. The high-proficiency students in inductive group performed better in using learned grammar knowledge. For the low-level learner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spite deductive groups’ scores a little bit higher. In conclusion, the grammar instruction including rule explanation had the positive effects on the subjunctive mood learning. The grammar teaching method, however,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based on the students’ proficiency, grammar complexity, and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ability. The study found that inductive method is more effective to teach more difficult subjunctive mood and to facilitate production ability in high level student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eachers should discard standardized grammar teaching and adapt grammar instruction in line with their students’ levels and needs to teach grammar effectively.;제 2 언어 습득의 목표는 언어의 유창성과 정확성을 함께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시키기 위한 문법 지도 방법의 연구와 개선이 필요함에 따라 의미 중심 형태 초점 접근법(focus on form)이 등장하였고 현재까지 문법 교육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문법 학습에 있어서 연역적 문법 지도와 귀납적 문법 지도는 그 효과가 연구들 마다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문법 설명을 포함하는 연역적 문법 지도와 귀납적 문법 지도가 중학교 학습자의 가정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선행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연역적 방법과 귀납적 방법의 경우 교사의 설명이 제시되는 경우에는 둘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거나, 규칙 설명이 제시되지 않는 귀납적 방법과의 비교에서는 연역적 방법이 좀 더 효과가 있었다(김경진, 2010; 이유임, 2007; Alanen, 1995; Erlam, 2003; Fotos & Ellis, 1991; Robinson, 1997). 그러나 귀납적 방법 또한 연역적 방법 못지 않게 효과가 있거나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Mohamed, 2001; Rosa & O’Neil, 1999; Shaffer, 1989)도 있어 문법 학습에 있어서 귀납적 방법이 유용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사의 문법 설명이 포함된 명시적 문법 지도가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학습하는 암시적 방법보다 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연구를 통해 검증되었다(강나연, 2003; 김도윤, 2006; 김우영, 2004; 조정선, 2006; de Graaff, 1997; Dekeyser, 1994; Doughty, 1991; Ellis, 1993; Scott, 1989). 이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명시적 문법 설명이 문법 지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교사의 문법 설명을 포함하는 연역적 방법과 귀납적 방법이 가정법 학습에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학습자 100명을 대상으로 한 달 간 총 7차시의 가정법 수업을 실시하였는데, 연역적 설명 집단에게는 교사의 문법 설명이 먼저 제시되는 규칙 중심적인 지도를, 귀납적 설명 집단에게는 예시를 통한 의미와 규칙 도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에 교사의 설명이 제시되는 규칙 발견 기회를 제공하는 지도를 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역적 설명을 받은 집단과 귀납적 설명을 받은 집단은 모두 사전 평가에 비해 사후 평가에서 가정법 습득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두 유형의 문법 지도는 모두 학습자의 가정법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집단 간의 학업 성취도 차이를 살펴보면 귀납 집단이 연역 집단보다 조금 더 큰 향상이 있긴 했으나 그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역적, 귀납적 문법 지도 방법은 학습자의 가정법 학습에 큰 차이를 일으키지 않는다. 둘째, 문법 지도 방법이 상위 학습자와 하위 학습자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본 결과,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에 따라 지도 방법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상위 집단의 경우 귀납적 방법이 연역적 방법보다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집단의 경우 두 방법 간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쉬운 가정법인 가정법 과거와 I wish+가정법 과거 구문의 학습에서 두 집단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두 집단 모두 상ㆍ하위 학습자의 사후점수가 사전점수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학습자 수준에 따라서 문법 지도 방법이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일으키지는 않았다. 넷째, 어려운 가정법인 가정법 과거 완료와 I wish+가정법 과거 완료의 학습에서 문법 지도 방법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았다. 그 결과, 쉬운 가정법과 마찬가지로 연역적 방법과 귀납적 방법 모두 상ㆍ하위 학습자의 어려운 가정법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어려운 가정법에서는 교수법과 학습자 수준의 상호 작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먼저 상위 학습자의 경우 귀납 집단의 사후 점수가 연역 집단의 점수보다 월등히 높았고, 하위 학습자는 이와 반대로 연역 집단이 사후 점수에서 조금 더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그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귀납 집단의 경우 학습 초기에 명시적 문법 설명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예시를 통해 보다 암시적인 학습이 일어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문법 이해 능력을 평가하는 이해 중심 평가에서 문법 지도 방법의 차이가 각 집단의 상ㆍ하위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문법 이해 평가에서 연역적 방법과 귀납적 방법이 모든 집단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으나 학습자 수준에 따라 미치는 영향에는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문법 규칙 출력 능력을 평가하는 출력 중심 평가에서 교수법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교수법과 학습자 수준 사이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상위 학습자의 경우 귀납적 방법이 연역적 방법보다 규칙 사용에 있어서 더 큰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하위 학습자는 연역 집단이 좀 더 높은 점수를 보이긴 했으나 귀납 집단과 그 차이가 크지 않았다. 실제 하위 집단의 경우 문법 출력 능력에 있어서 거의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가정법 구문이 중학교 2학년 학습자에게 비교적 어려운 문법이기 때문에 그들의 발달 단계상 목표 문법 항목을 습득하는데 어려움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반면 상위 학습자의 경우 직접 의미와 규칙을 도출해 보는 문법 지도 방법이 출력 평가에서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귀납적 방법이 상위 학습자의 가정법 습득에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위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연역적 방법과 귀납적 방법은 전체 학습자의 가정법 학습에 큰 차이를 일으키지 않았지만, 학습자 수준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상위 학습자의 경우 귀납적 방법으로 지도하는 것이 보다 큰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어려운 가정법과 출력 중심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습자 수준이 높을수록 귀납적 방법이 어려운 가정법 구문의 학습과 출력 중심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높이는 데 보다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학교 학습자에게 가정법을 가르침에 있어서 교사의 설명을 포함한 문법 지도 방법이 우리나라 영어 교육 현장에서 유용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나, 학습자 수준, 문법 규칙 종류, 그리고 이해 능력과 사용 능력에 따라 그 방법을 달리 제시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무조건 획일적으로 교사의 문법 설명을 제시하기 보다 학습자 수준과 요구에 맞게 그 방법을 달리 할 때, 보다 효과적인 학습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6 A. 문법 교수법 유형 6 1. 연역적 문법 지도와 귀납적 문법 지도 6 2. 명시적 문법 지도와 암시적 문법 지도 14 3. 문법 교수법의 유형과 범주 17 B. 규칙 복잡성과 난이도에 따른 문법 교수법 19 C. 문법 규칙의 이해와 출력 23 D. 가정법 구문 29 1. 가정법의 정의 29 2. 가정법 구문에 대한 연구 30 3. I wish 가정법 구문 33 E. 선행연구 34 1. 문법 교수법 효과에 관한 연구 35 2. 문법 난이도에 따른 지도 방법의 차이 43 Ⅲ. 연구 방법 47 A. 연구 질문 47 B. 연구 대상 48 C. 연구 자료 49 1. 학습자 배경 설문지 49 2. 사전ㆍ사후 평가지 49 3. 수업에 활용한 학습자료 50 D. 연구 절차 51 1. 실험 이전 절차 51 2. 실험 수업의 절차 및 주요 활동 56 3. 통계 처리 60 E. 연구의 제한점 60 Ⅳ. 연구결과 및 논의 62 A. 각 교수법에 따른 가정법 학습의 효과 62 1. 교수법에 따른 각 집단간의 가정법 학습 결과 차이 검증 63 2. 교수법에 따른 각 집단 상ㆍ하위 학습자의 가정법 학습 결과 차이 검증 66 B. 문법 난이도에 따른 각 집단의 상ㆍ하위 학습자의 가정법 학습의 효과 69 1. 쉬운 가정법에서 각 집단의 상ㆍ하위 학습자의 가정법 학습 결과 차이 검증 69 2. 어려운 가정법에서 각 집단의 상ㆍ하위 학습자의 가정법 학습 결과 차이 검증 72 C. 평가 유형에 따른 각 집단의 상ㆍ하위 학습자의 가정법 학습의 효과 76 1. 이해 중심 평가에서 각 집단의 상ㆍ하위 학습자의 가정법 학습 결과 차이 검증 76 2. 출력 중심 평가에서 각 집단의 상ㆍ하위 학습자의 가정법 학습 결과 차이 검증 79 Ⅴ. 결론 및 제언 83 참고문헌 89 부록 97 ABSTRACT 12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630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영어 문법 지도 방법이 중학교 학습자의 가정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Different Grammar Instructions on the Learning Subjunctive Mood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Kwon, Jung Hyang-
dc.format.pagexiii, 1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