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성경-
dc.contributor.author서은경-
dc.creator서은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8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8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54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5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54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supervisees' perfectionism on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Perfectionism was divided into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and evaluation concerns perfectionism based o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theories. After reviews about relevant theories and earlier studies, three possible mediating variabl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ee perfectionism and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which were shame,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positive cognitive coping, were selected, and their mediating effects were investigated. Besides, whether the causal structure model for the relationship of supervisee perfectionism, shame,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positive cognitive coping to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would differ with the supervisee developmental stage was also examin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96 supervisees who were members of the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KCPA) and personally supervised about their own individual counseling cases over the past year. Out of them, 210 supervisees were trainees having no counselor's certificate, and 186 supervisees were counselors having the second-level counselor's certificate.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s,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scale, supervisee shame scale, positive cognitive coping scale and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scale for supervisee. Correlational results indicated that, as expected, both of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and evaluation concerns perfectionism were associated negatively with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positive cognitive coping, and positively to sham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and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evaluation concerns perfectionism, on the other hand,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The two supervisee groups were compared to look for any possible between-group differences in the research variables. Comparing results revealed that only in shame the trainee supervisee group's mean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unselor supervisee, but no difference in other research variables. Next,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bout two research models (model 1 for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model 2 for evaluation concerns perfectionism) revealed that both of research models showed good or enough model fits meaning, as theorized, the relationship of two perfectionisms to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was significantly mediated by shame,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positive cognitive coping. And the results of multi-group simultaneous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ausal structure of latent variables in two research models(1 & 2) differed depending on the supervisee development level. In the research model 1, the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wo out of the 8 paths among variables: from positive cognitive coping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to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respectively. In the trainee supervisee group, the stronger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led to the less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the less positive cognitive coping, but this phenomenon didn't weaken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and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affected on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only through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shame. In the counselor supervisee group, on the other hand, cognitive coping positively affected on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and contrary to the hypothesis,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impact on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In the research model 2, the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ree out of the 10 paths among variables: from evaluation concerns perfectionism, positive cognitive coping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to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respectively. All the three paths weren't significant in the trainee supervisee group, but significant in the counselor supervisee gro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ascertained that supervisee perfectionism had an impact on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and explain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as mediated by shame,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positive cognitive coping. In conclusion, this study makes it possible to have a more profound and structural understanding of the roles of supervisee personality traits important in shaping th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And it also suggests that there is the need for supervisors' effective strategies to reduce supervisees' perfectionism and shame and to increase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positive coping in order to build the cooperativ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이 연구에서는 수퍼비전 작업동맹에 미치는 수퍼바이지 완벽주의 성격특성의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차원적 완벽주의 이론에 입각하여 완벽주의를 개인기준 완벽주의와 평가염려 완벽주의로 구분하고, 이들이 각각 수퍼비전 작업동맹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강한 수퍼비전 작업동맹을 위한 효과적인 수퍼비전 개입을 위해 수퍼바이지 완벽주의와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들(무조건적 자기수용, 수치심, 긍정적 인지대처)을 설정하고 이들의 매개효과에 대해 실증적으로 확인해보았다. 더 나아가 수퍼바이지 완벽주의(개인기준 완벽주의 대 평가염려 완벽주의), 무조건적 자기수용, 수치심, 긍정적 인지대처와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관계구조 모형이 수퍼바이지 발달단계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도 탐색해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상담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가 내면적으로 어떤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고, 이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상담 수퍼비전 실제에서 수퍼바이저들이 수퍼바이지들과의 강한 작업동맹을 구축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수퍼바이지 개인특성에 대한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와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는 한국 상담심리학회 회원으로 ‘지난 1년 이내에 국내에서 개인상담 사례를 진행하고 그에 대한 개인 수퍼비전을 받은 경험이 있는 수퍼바이지들’ 396명이었다. 이들 중 수련생 수퍼바이지는 210명이었으며, 전문상담자 수퍼바이지는 186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완벽주의 척도(개인기준 완벽주의와 평가염려 완벽주의),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수퍼바이지 수치심 척도, 긍정적 인지대처 척도와 수퍼바이지 수퍼비전 작업동맹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개인기준 완벽주의와 평가염려 완벽주의 모두 무조건적 자기수용, 긍정적 인지대처와 부적인 상관을 나타냈으며, 수치심과는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그러나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수퍼비전 작업동맹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낸 반면, 개인기준 완벽주의는 수퍼비전 작업동맹 하위요인인 정서적 유대와는 약한 부적상관을 보였을 뿐 수퍼작업 동맹 총점과는 상관이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그리고 수퍼바이지 발달단계에 따른 연구변인들(개인기준 완벽주의, 평가염려 완벽주의, 무조건적 자기수용, 수치심, 긍정적 인지대처,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차이여부를 살펴보기 위해 두 집단(수련생 수퍼바이지 대 전문상담자 수퍼바이지)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일하게 수퍼바이지 수치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수련생 수퍼바이지 집단이 전문상담자 수퍼바이지 집단에 비해 수치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수치심의 하위요인 중 ‘버려짐/거부에 대한 두려움’과 ‘수퍼바이저에게 은폐’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수퍼바이지의 완벽주의를 개인기준 완벽주의와 평가염려 완벽주의로 구분하고, 관련 이론과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이들 완벽주의와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 1과 2를 설정하였다. 즉 완벽주의(개인기준 완벽주의 대 평가염려 완벽주의), 수치심, 무조건적 자기수용, 긍정적 인지대처와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인과적 관계구조에 대한 연구모형 1과 2를 설정하였다. 구조모형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기준 완벽주의 및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 수치심, 긍정적 인지대처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연구모형 1과 2가 모두 자료를 설명하는데 충분한 적합도를 나타냈으며, 수치심, 무조건적 자기수용, 긍정적 인지대처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완벽주의(개인기준 완벽주의와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긍정적 인지대처를 이중 매개로 하여 수퍼비전 작업동맹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수치심을 이중 매개로 하여 수퍼비전 작업동맹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치심에서 긍정적 인지대처로 가는 경로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완벽주의와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관계를 무조건적 자기수용, 수치심, 긍정적 인지대처가 삼중 매개하는 것은 검증되지 않았다. 둘째, 개인기준 완벽주의와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수퍼비전 작업동맹에 미치는 관계구조 분석에서 나타난 유의한 차이점을 살펴보면, 개인기준 완벽주의의 경우는 수퍼비전 작업동맹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평가염려 완벽주의 경우 수퍼비전 작업동맹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수치심에도 직접적인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퍼바이지 발달단계에 따라 완벽주의와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관계구조가 차이가 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다집단 동시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련생 수퍼바이지 집단과 전문상담자 수퍼바이지 집단 간에 최종모형의 관계구조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인기준 완벽주의, 수치심, 무조건적 자기수용, 긍정적 인지대처와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관계구조에 대한 연구모형에서는 8개의 연구변인들 간에 설정된 경로들 중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은 2개의 경로 즉, ‘긍정적 인지대처’→‘수퍼비전 작업동맹’ 그리고 ‘무조건적 자기수용’→‘수퍼비전 작업동맹’의 경로였다. 수련생 수퍼바이지 집단에서는 개인기준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떨어지고, 긍정적 인지대처는 감소하나 이것이 수퍼비전 작업동맹을 약화시키는 역할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오직 개인기준 완벽주의는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수치심을 매개하여 수퍼비전 작업동맹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문상담자 수퍼바이지 집단의 경우는 긍정적 인지대처가 직접적으로 수퍼비전 작업동맹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가설과는 달리 ‘수퍼비전 작업동맹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평가염려 완벽주의, 무조건적 자기수용, 수치심, 긍정적 인지대처와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관계구조에 대한 연구모형에서는 총 10개의 연구변인들 간에 설정된 경로들 중 3개의 경로, ‘평가염려 완벽주의’→‘수퍼비전 작업동맹’, ‘긍정적 인지대처’→‘수퍼비전 작업동맹’, 그리고 ‘무조건적 자기수용’→‘수퍼비전 작업동맹’으로 가는 경로에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들 3개 경로들은 수련생 수퍼바이지 집단에서 모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전문상담자 수퍼바이지 집단에서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수퍼바이지 완벽주의가 수퍼비전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이 실증적으로 확인되었으며, 수치심, 무조건적 자기수용, 긍정적 인지대처가 이들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수퍼비전 작업동맹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 중 수퍼바이지 성격특성들의 역할에 대한 심층적이고 구조적인 이해를 도왔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수퍼비전 실제에서 수퍼바이지들이 협력적인 작업동맹을 맺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수퍼바이저들은 수퍼바이지의 완벽주의와 수치심을 낮추기 위한 효과적인 개입전략을 모색하고,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긍정적 인지대처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조력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주요 용어 7 Ⅱ. 이론적 배경 10 A. 수퍼비전 관계 10 1. 수퍼비전 작업동맹(Supervision Working Alliance; SWA) 11 B. 완벽주의 14 1. 완벽주의의 개념 14 2. 완벽주의와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관계 24 C. 수치심 30 1. 수치심의 개념 30 2. 수치심의 문화적 특징 31 3. 완벽주의, 수치심과 수퍼비전 작업동맹 관계 34 D. 무조건적 자기수용 36 1.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개념 36 2. 완벽주의, 무조건적 자기수용, 수치심과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관계 38 E. 인지대처 42 1. 대처의 개념 42 2. 완벽주의, 수치심, 무조건적 자기수용, 긍정적 인지대처와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관계 44 F. 수퍼바이지 발달단계에 따른 심리적 특성 47 Ⅲ.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52 A. 연구모형 1; 개인기준 완벽주의와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 수치심, 긍정적 인지대처의 매개효과 모형 52 B. 연구모형 2;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 수치심, 긍정적 인지대처의 매개효과 모형 54 Ⅳ. 연구방법 56 A. 연구대상 56 B. 연구변인 62 C. 측정도구 63 D. 연구절차 71 E. 자료분석 72 1. 측정모형 검증 72 2. 구조모형 검증 73 3. 매개(간접)효과 검증 73 4. 수련생 수퍼바이지 대 전문상담자 수퍼바이지 집단 간 다집단 동시분석 74 Ⅴ. 연구결과 75 A.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치와 집단 차이 75 B. 연구변인 간 상관관계 77 C.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79 1. 측정모형 검증 79 2. 구조모형 검증 82 3. 매개모형 검증 85 4. 다집단 동시분석 91 Ⅵ. 논의 및 제언 109 A. 결과요약 및 논의 109 B. 연구의 시사점 및 제언 124 1. 이론적 시사점 및 제언 124 2. 수퍼비전 실제에 대한 시사점 129 C. 연구의 기타 제한점 및 제언 143 참고문헌 146 부록 1. 상담심리사 자격증 취득 응시 해당자 규정 165 부록 2. 해로운(Harmful) 수퍼비전 체크리스트 166 부록 3. SISI 번안 타당화 168 부록 4.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171 부록 5.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174 부록 6. 수퍼바이지 수치심 척도 175 부록 7. 긍정적 인지대처 척도 177 부록 8. 수퍼바이지 수퍼비전 작업동맹 척도 178 ABSTRACT 1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898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수퍼바이지의 완벽주의와 개인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관계-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수치심, 자기수용, 인지대처의 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Relationship of Supervisee Perfectionism to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 mediating effects of shame, self-acceptance, and cognitive coping-
dc.creator.othernameSeo, Eun Kyoung-
dc.format.pageix, 18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