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7 Download: 0

학습활동 유형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수동태 학습에 미치는 영향

Title
학습활동 유형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수동태 학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Activity Types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Passive
Authors
박혜선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혜순
Abstract
우리나라의 제 7차 교육과정은 제 6차 교육과정에서 소홀히 했던 영어의 정확성도 강조하여 문법 교육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 교육현장에서 문법 지도의 필요성이 부각된 계기는 의미와 의사소통에 중심을 둔 교수법으로는 유창성은 향상되지만 목표어 수준의 정확성이 길러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목표 언어에 대한 형식적 교수의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과 문법 교육을 적절히 조화시키기 시작했고,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 안에서 학습자들이 목표 구문에 자연스럽게 집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의미중심 형태 교수법(focus on form)이 주목을 받아왔다. 1990년대 이후로 의미중심 형태 교수법이 교실수업 안에서 적용되면서 이 교수법을 실현시키는 구체적인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특히, 학습자가 입력(input)을 흡수(intake)로, 그리고 출력(output)으로 만드는 제 2언어 습득 과정에서 있어서, 어느 지점에서 어떤 종류의 활동들을 활용해야 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동안 입력중심 활동(input-based activities)과 출력중심 활동(output-based activities)이 목표문법 이해 및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연구 방법론적인 문제 때문에 결과의 타당성에 문제가 제기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의 한계점과 문제점을 바탕으로 입력중심 활동인 체계화된 입력 활동과 출력중심 활동인 Dictogloss 활동을 활용한 문법 수업 방안들을 살펴보고, 이를 교실 현장에 적용할 때 학습활동 유형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수동태 이해 및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현장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인천 소재 중학교 2학년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4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세 집단 중 실험 집단 1에게는 체계화된 입력 활동을, 실험 집단 2에게는 Dictogloss 활동을, 그리고 실험 집단 3에게는 체계화된 입력 활동과 Dictogloss 활동을 함께 실시하여 수동태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얻어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활동 유형이 학습자의 수동태 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체계화된 입력 집단, Dictogloss 집단, 체계화된 입력과 Dictogloss 집단이 모두 사후 이해능력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체계화된 입력 집단이 유의미하게 가장 높은 향상을 보였고, Dictogloss 집단이 가장 낮은 향상을 보여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수동태 구문 이해능력 측면에 있어서는 체계화된 입력 활동이 Dictogloss 활동보다 더 효과적이었고, 이와 같은 결과는 문법 구문 이해능력 향상 측면에 있어서 체계화된 입력 활동이 출력중심 활동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Cadierno(1995), VanPatten과 Cadierno(1993) 등의 실험 결과와 어느 정도 일치한다. 본 연구 결과의 또 하나 흥미로운 점은 체계화된 입력과 Dictogloss 집단은 Dictogloss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평균 점수를 비교했을 때 Dictogloss 집단 보다 높은 향상을 보였다는 것이다. 둘째, 학습활동 유형이 수준별 학습자들의 수동태 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상․하위 집단 모두 사전․사후 수동태 이해능력 평가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지만 향상 정도에 있어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상위 학습자의 경우 체계화된 입력 활동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하위 학습자의 경우 체계화된 입력 활동과 Dictogloss 활동을 함께 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서 효과적인 학습활동 유형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학습활동 유형이 학습자의 수동태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세 집단 모두 사후 표현능력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세 집단 간 사후 표현능력 평가 점수를 비교한 결과, Dictogloss 집단이 체계화된 입력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뛰어나게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또한 두 활동을 함께 한 집단도 Dictogloss 집단과 비슷하게 높은 향상을 보였다. 넷째, 상․하위 수준별로 표현능력 향상을 비교한 결과, 상․하위 집단 모두 사전․사후 수동태 표현능력 평가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향상 정도에 있어서는 집단 간 차이를 보였는데, 상위 학습자의 경우 Dictogloss 활동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하위 학습자의 경우 체계화된 입력 활동과 Dictogloss 활동을 함께 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즉, 하위 학습자의 경우에는 이해능력 평가와 표현능력 평가 모두에서 입력과 출력 활동을 함께 제공했을 때 학습 효과가 가장 높게 나왔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영어 문법 교육에서의 학습활동 활용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목표 문법 구문의 이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체계화된 입력 활동을, 표현능력 증진에는 Dictogloss 활동을 각각 활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그러나 전반적인 문법 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해능력과 표현능력 증진을 함께 꾀해야 하기 때문에 이 두 활동을 섞어서 모두 활용한다면 목표 문법의 이해능력과 표현능력이 고르게 향상될 수 있다. 둘째, 학습자의 수준별로 효과적인 문법 학습활동이 다를 수 있으므로 교사에게는 개별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적합한 학습활동을 결정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의미중심 형태 교수와 학습자 중심의 문법 교수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습활동의 하나인 체계화된 입력과 Dictogloss를 제시하였고, 두 활동 모두 수동태 이해능력 및 표현능력을 향상시켰다는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교사는 목표 문법 구문에 대한 이해 및 표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의미중심 형태 교수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학습활동들을 활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활동지를 구성할 때 학습자의 요구나 관심을 반영하여 그들의 인지적 수준에 맞는 내용들로 선정한다면 학습자의 흥미를 더욱 유발시킬 수 있을 것이다.;One of the most debated issu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s the role of grammar instruction in English education field. Since th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has bee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grammar teaching has been reduced. However, it was found that meaning-based approach couldn't facilitate EFL learners' acquisition of target forms and achieve the native-like accuracy. Therefore, people started to balance two instructions; focus on forms and focus on meaning and suggested focus on form. So far, in general, the positive role of the focus on form in which learners' attention can be drawn to the target forms while they engage in meaningful activities has been recognized. Current concern has shifted to how to adapt focus on form in classroom settings. Especially, with regards to the mode of activity types, considerable debate has centered on the relative value of input-based and output-based activity. This study aimed to develop structured input activity as an input-based and Dictogloss as an output-based activity for grammar teaching and investigated its effects on learners'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Passive. For this purpose, three 2nd grade classes were selected in I middle school located in Incheon and they participated in different types of activities for 4 weeks: structured input activity(Group 1), Dictogloss(Group 2), both structured input activity and Dictogloss(Group 3).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proved that use of structured input activity in grammar learning presents a positive result in the degree of the learners' comprehending of English passive. All of the three groups have improved in the post comprehension test significantly, but have difference in the extent. Structured input group has improved most and Dictogloss group showed the least improvement. This result supports that structured input activity can make a positive effect on the comprehension of English grammar. Secondly, examining relative effects of activity types on learners'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ir English proficiency level, structured input activity was the most effective in improving learners' grammatical comprehension for high level students while providing both activities was the most effective for low level groups. This result indicates that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level can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activity type in grammar learning. Thirdly, all of the three groups have improved in the post production test significantly, but have difference in the extent. Dictogloss group has improved most and structured input group has improved least. This result supports that Dictogloss can make a positive effect on the production of English grammar. Fourthly, examining relative effects of activity types on learners' production according to their English level, Dictogloss was the most effective for high level students while providing both activities was the most effective for low level groups. This result suggests that effects of activity type in grammar learning could be changed according to students' level.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structured input activity and Dictogloss has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passive structure. However, structure input activity seems to be more effective to improve students' comprehension of the target forms while Dictogloss seems be more effective to improve production ability. In order to get the most effective achievement in grammar learning, learners need to improve both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ability of the target fea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blend both activities appropriately considering classroom settings, lesson goals and learner leve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