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4 Download: 0

영어 채팅을 통한 원어민과 한국 대학생 학습자 간 오류수정협의의 효과

Title
영어 채팅을 통한 원어민과 한국 대학생 학습자 간 오류수정협의의 효과
Other Titles
An effectiveness of corrective feedback negotiation between native teachers and Korean EFL university students in synchronous CMC chat
Authors
이혜영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종임
Abstract
본 연구는 영어 채팅에서 이루어지는 원어민과 학습자 간 오류수정협의가 학습자들에게 언어 형태와 영어 문법에 집중을 돕고, 향후 학습자들의 영어 정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영어 채팅에서의 원어민 교사와 학습자 간 이루어진 오류수정협의를 양, 질적으로 분석하여 학생들이 언어 형태와 문법에 집중하는지 살펴보았으며, 그 다음 오류수정협의가 학습자들의 영어 정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두 차례의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고, 마지막으로 원어민 교사와의 오류수정협의에 대한 학습자들의 정의적인 측면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원어민 교사와의 의미협상을 어휘관련, 의미관련, 문법오류 관련 측면으로 나누고, 그 중 문법오류 관련 의미협상을 오류수정협의로 명명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어 채팅 시 학습자로부터 문법오류가 발화 될 경우 원어민 교사는 학습자 수준에 맞게 단계적으로 오류 수정을 돕는 역할을 지닌다. 의미협상과 오류수정협의의 양적분석에는 총 의미협상 중 어휘, 의미, 문법오류로 나누어 각각의 의미협상 한 횟수를 수준 별로 측정하였고, 질적 분석을 위해서는 Varonis와 Gass(1984)의 의미협상 모형과 Smith(2003)의 수정 확대된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에서의 상호작용 모형을 토대로 학습자 수준 별 의미협상 전략과 그 과정을 분석하였다. 원어민 교사는 오류수정협의 시 피드백을 Aljaafreh & Lantolf(1994)의 5단계 협력적 비계 피드백에 따라 제공하였다. 오류수정협의가 영어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두 차례의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고, 오류 문법에 대한 학습자들의 두 차례의 사후 평가 점수를 비교하여 학습자 수준 별로 영어 정확성 향상 여부를 알아보았다. 영어 채팅에서의 오류수정협의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과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영어 채팅 전과 영어 채팅 후 설문을 실시하여 그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사전 설문에 포함된 영역들은 영어 흥미, 자신감, 영어 채팅에 대한 필요성 및 영어 채팅의 효과성이었으며, 사후설문에는 영어 흥미, 자신감, 만족도, 효과성, 오류수정협의에 대한 학습자 반응 설문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E대학교 학생 열 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상위 및 하위 집단으로 나뉘어 다섯 명 당 한 명의 원어민 교사와 채팅하였다. 실험은 총 6회에 걸쳐 3주간 진행되었으며, 실험 참가자들은 정보차, 문제해결, 의사결정하기, 틀린그림찾기 유형의 과업을 수행하였다. 총 6회에 걸친 과업이 종료된 후 5일 뒤 1차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로부터 2주 뒤에 2차 사후 평가를 실시하여 향후 영어 정확성 향상 여부를 살펴보았다. 또한 매 채팅 종료 후 학생들에게 그날의 소감을 작성하게 하여 학생들의 주관적인 의견을 정의적 측면 분석에 반영하였다. 실험 과정을 통해 얻어진 자료의 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수준별 어휘와 의미 관련 의미협상을 분석한 결과, 하위 집단 학생들이 상위 집단 학생들보다 의미협상 한 수가 더 많았고, 질적으로도 그 과정이 상위 집단 학생들보다 복잡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오류수정협의의 경우도 하위 집단의 학생들이 상위 집단의 학생들보다 협상한 횟수가 많았고, 자가수정 한 횟수는 상위 집단이 하위집단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위 집단의 학생들의 경우 단계적 비계 피드백을 받을 때 원어민 교사로부터 최소한의 도움보다는 원어민의 지적과 도움을 통해 오류를 수정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하지 못하고 결국 원어민의 직접적인 문법 오류에 대한 설명을 제공받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학생들 모두 원어민 교사와 오류수정협의 한 문법을 동일 채팅과업 상황에서 조금 시간이 흐른 후 재사용하는 경우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둘째, 사후 평가를 통해 영어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생들은 1차 사후 평가에서 대부분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고, 2차 사후 평가에서는 1차보다 더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다. 두 집단의 학생들 모두 1차 사후 평가에 대한 피드백을 저장된 대화 자료로 제공받았고, 이러한 피드백은 학생들의 기억과 오류에 대한 인지를 더욱 강화시켜 2차 사후 평가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셋째, 영어 채팅을 통한 영어 흥미, 자신감, 만족도에 대한 설문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사전설문보다 사후설문에서 각각 모든 영역이 상승한 것을 알 수 있으며, 학생들은 사후설문에서 원어민과의 오류수정협의에 대해 긍정적인 만족을 나타내었다. 학생들이 영어 채팅을 하는 동안 단순한 의사소통을 넘어서 과업에서의 자신의 역할을 인지함과 동시에 언어적 오류나 실수에 대해서도 자각하고 있음을 소감문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실험 참가 학생들은 대체로 영어 채팅을 하면서 성취감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종합적인 견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생들이 영어 채팅 시 오류수정협의를 통해 문법과 언어 형태에 집중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원어민과의 오류수정협의 과정이 대체로 성공적인 편이었고, 학생들은 원어민과의 오류수정협의를 통해 오류에 대해 자가수정 또는 수정된 발화를 받아들였으며, 이를 동일 채팅 대화에서 올바른 형태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다음으로, 두 차례의 사후 평가를 통해 오류수정협의가 학생들의 영어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영어 채팅을 통해 영어에 자신감이 생기고 문법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서 영어 채팅이 언어 학습 도구로 유용하며, 오류수정협의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학생들에게서 얻을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영어 채팅 시 원어민과의 오류수정협의는 기존의 연구들이 가지는 관점에서 나아가 영어 유창성과 영어 정확성을 동시에 향상 시킬 수 있다는 견해를 가지며, 이는 앞으로 영어 채팅을 이용한 영어 학습이 한국의 EFL 학습자들에게 보다 실용적이고 유용한 영어 학습 기초 자료로 널리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Korean University EFL students notice and focus on L2 language form and grammar through collaborative corrective feedback negotiation with native teacher in synchronous CMC cha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study tried to discover that synchronous CMC chat provides L2 learners with grammatical competence, therefore, four research questions are derived in this study. First research question is what characteristics of negotiation of meaning are shown from advanced learners and low intermediate learners. Second question is what characteristics of corrective feedback negotiation are shown from advanced learners and low intermediate learners. Third question is through corrective feedback negotiation, do leaners develop their language accuracy and grammatical competence. Last, how learners feel about CMC online chat as a means of language learning. To achieve the answers, data from learners' interactive conversation is analyzed. And posttests designed for investigating language accuracy and grammatical performance are tested. Finally, learners answered two questionnaires before the project and after the project. Ten Korean University EF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and they had total six times chat discussion with native teachers. In every chat session, they were given a task to perform. All of the six tasks are different types, and native teachers were trained for an hour to provide learners with scaffolding feedback in a timely manner when error occurred.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are follows. First, from the data, advanced and low intermediate level students successfully negotiated with native teachers, and the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advanced and low intermediate learners performance. However, slightly different moves were seen in low intermediate level students negotiation. They have performed in a more complex way than advanced students did when negotiated with native teacher, and more explicit feedback they had from native teachers. Also, more hints and native teachers' talk were derived. Second, two posttests revealed that all the learner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scored highly. In both two posttests, the average score of advanced learners was higher than low intermediate level leaners. And first posttest score was lower than second posttest because dated conversation was given as a feedback to learners after the first posttest. The given feedback was the part of the date from conversation that the learners negotiated error feedback with native teachers. And the feedback was a role of the reinforcement and a reminder of learners performance. Last, learners felt CMC chat was a great means of learning English but also they felt more confidence than face to face interaction. The learners were positive about feedback from native teachers because they helped students from minimum of hints to let learners correct self-repair of their error sentences. The students felt emotionally comfortable when they chat with native teachers because online chat talking is less threatening than face to face interaction. In conclusion, through synchronous CMC chat, students were able to successfully negotiate with native teacher at simultaneously focusing on linguistic feature, their errors. It was not easy to provide corrective feedback and to attend to linguistic form in a timely manner during the meaning-based interaction. However, if there proper corrective feedback could be provided from native or expert learners to novice or lower level learners, using synchronous CMC chat would provide affordable learning conditions for focusing on language form and grammatical develop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