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8 Download: 0

대학생 영어 쓰기에서 표절 예방을 위한 인용과 환언하기 훈련 효과 분석

Title
대학생 영어 쓰기에서 표절 예방을 위한 인용과 환언하기 훈련 효과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Quotation and Paraphrase Practices for Avoidance of Plagiarism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Authors
성화은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연희
Abstract
현대 사회는 국제화 시대에 걸맞은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그 어느 때보다 학습자의 유창한 학문적 영어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유창한 학문적 영어 능력이란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전공 분야의 서적을 읽고, 이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과 글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능력을 갖춘 인재양성을 위해 한국 대학에서는 전공 수업을 영어로 진행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전공 지식을 영어로 이해하고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전공 수업은 지식의 전문성으로 인해 모국어로도 충분한 이해가 힘든 경우가 있고 이러한 어려움은 전공 과제 글쓰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한 점에서 모국어 전공 과제 글쓰기에서 학습자는 이해하지 못한 지식을 과제 제출을 위해 참고한 책의 내용이나 다른 사람의 글쓰기를 무분별하게 표절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표절 문제는 모국어 글쓰기에서의 올바른 인용, 출처표기, 환언하기 방법을 알지 못하거나 이 방법을 숙지하지 못하여 발생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모국어 학문적 글쓰기의 어려움은 영어 학문적 글쓰기의 어려움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고, 그렇기 때문에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학습자에게 있어서는 이러한 표절의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 영어 쓰기에서 학습자가 원문을 참조하였을 경우 이를 올바르게 글쓰기에 활용할 수 있도록 인용과 환언하기 훈련을 계획하고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목적은 인용과 환언하기 훈련이 영어 쓰기 과제 유형에 따라서는 어떻게 활용이 되는지, 표절에는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한국의 1학년~4학년의 남녀 대학생으로 구성을 하였고, 전공은 인문 및 사회과학 분야와 자연 및 공학 분야에 걸쳐 모집 하였다. 훈련은 총 5차시로 진행이 되었으며 1, 2 차시에는 인용과 환언하기 훈련이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이 되었다. 그리고 3, 4, 5 차시에 걸쳐 요약하기와 원문참조의견쓰기 과제 활동이 11명씩 나뉘어 집단별로 진행이 되었다. 이러한 집단별 과제 활동은 인용과 환언하기 훈련이 쓰기 과제 활동에 따라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또한 훈련에 대한 학습자의 표절 예방에 대한 인식 정도, 인용과 환언하기에 방법 대한 이해도, 표절 예방에 대한 인식 정도, 훈련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과 사후 설문조사, 심층 면담 조사가 함께 진행이 되었다. 훈련으로 도출된 사전과 사후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과 사후 평가 점수 차이에 대한 유의도 검정 결과 사전에 비해 환언 구별 및 환언 유형 판단 객관식 평가에서는 사후 점수가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환언하기 쓰기 평가에서도 사후 점수가 모든 평가 영역에서 높게 나타나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하지만 유의한 차이는 과제 활동별 집단이나 평가 영역에 따라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즉 내용이나 언어사용 측면에서는 요약하기 집단이, 인용하기 영역에서는 원문참조의견쓰기 집단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바꿔쓰기 평가 영역에서는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서 인용과 환언하기 훈련이 남의 말을 자신의 말로 바꾸어 쓰는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인용과 환언하기가 필요한 요약하기와 원문참조의견쓰기 과제 활동에서도 인용과 바꿔쓰기 평가 영역에서 사전과 사후 검사를 비교한 결과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는 내용, 언어사용 영역에서도 함께 나타났다. 그러나 사전과 사후 평가 점수 차이에 대한 유의도 검증 결과는 평가 영역이나 과제 활동별 집단에 따라 다른 차이도 보여주고 있다. 요약하기 과제에서는 바꿔쓰기와 인용표기 평가 영역에서는 요약하기 집단이, 언어사용과 인용표기 평가 영역에서는 원문참조의견쓰기 집단이 유의하게 향상된 변화를 보였다. 원문참조의견쓰기 과제에서는 내용, 언어사용 평가 영역에서는 요약하기 집단이, 인용표기와 언어사용 평가 영역에서는 원문참조의견쓰기 집단이 사후에 더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아울러 두 집단 모두 바꿔쓰기 평가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를 통해 원문참조의견쓰기 활동이 환언하는 법을 익히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용과 환언하기 훈련의 효과가 과제 활동별 집단에 따라서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과제 활동별 집단간 사후 점수를 비교한 결과, 환언 구별 및 환언 유형 판단 객관식 평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환언하기 사후 평가에서는 바꿔쓰기나 인용표기 측면에서는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에, 언어사용 측면에서 원문참조의견쓰기 집단이 유의하게 더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요약하기와 원문참조의견쓰기 과제 사후 평가에서는 원문참조의견쓰기 과제 인용표기 평가 영역에서만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원문차용의 과제 활동별 유형과 양을 분석하기 위해 과제 활동 집단별 4명의 학생들의 사전, 사후 환언하기 평가를 비교한 결과, 학습자 대부분이 사전과 비교하여 표절의 양이 줄어들었다. 특히 사전 평가에서 일부 학생들은 원문 문장을 그대로 베껴쓰고 있었는데, 사후 평가에서는 원문 문장이나 구 수준의 표현을 차용하는 양이 많이 줄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사후 평가의 글쓰기에서 표절 유형을 분석해 보았을 때 학생들은 주로 유의어를 사용하거나 문장 구조를 변경하여 1-19%의 원문 단어를 표절한 환언하기를 하였고, 일부 학생들은 원문의 핵심 내용어를 기반으로 하여 원문의 단어 표절이 없는 상당히 수정된 형태의 환언하기를 하였다. 셋째, 인용과 환언하기 훈련 후 설문조사를 한 결과, 표절예방에 대한 인식 정도, 인용과 환언하기 방법에 대한 학습자 이해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훈련이 인용하기와 환언하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는 긍정적 응답을 하였는데, 과제 활동별 집단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아, 과제 활동과 관계없이 훈련이 원문 출처를 밝히고 자신의 말로 바꿔쓰는 데 도움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인용과 환언하기 훈련은 대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표절을 예방하는 데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영어 능력을 가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단기간 훈련이 이루어졌는데, 영어 능력이 낮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또는 장기간 훈련이 이루어진다면 다른 결과가 올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In this era of global world, advanced academic English proficiency is required to become a world leader. Advanced academic English proficiency means that a student is capable of reading academic content books based on critical and creative thoughts and speaking and writing about academic content. For the purpose, many Korean universities provide students with academic courses in English to have them understand and utilize the knowledge in English to the point where they use it with an expertise level. However, many students are not experienced well enough to understand academic courses even though the exact courses are provided in their native language that comes from the difficulty of academic content itself. It could lead the students to the results of plagiarism into their academic writings. The plagiarism also results from the fact that many Korean both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do not know exactly the rhetorical convention rules for academic writings in Korean. This increases the degree of Korean students' reliance on source texts. Therefore,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academic writings in their native language face the same challenges and problems in academic writing in English with much more pressure on their shoulders. From this perspective, the research design focused on quotation and paraphrase practices, in English writing with source texts, in order to have students use the quotation and paraphrase into their English writings without plagiarism. And the tasks used in the research were quotation, paraphrase, summary, and opinion writing with source texts. The quotation and paraphrase tasks were done by all the students. And summary and opinion writing tasks were done by each group of 11 students. This is because the research also investigates how the quotation and paraphrase practices would be utilized in summary and opinion writing with source texts. In this research,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2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from freshman to senior with various major fields. The practice consisted of five sessions, the first and the second session were quotation and paraphrase practices for all students. After quotation and paraphrase sessions,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for summary and opinion writing with source texts each. The purpose of each group's work was to study how quotation and paraphrase practices affected summary and opinion writing with source texts. After the 5 sessions, the post-test and the post-survey were conducted.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comparing pre and post-test results of paraphrase tests, which required students to identify the paraphrase types, drew the effects of quotation and paraphrase practices. The results in post-test paraphrase writing showed the positive results in all the criteria: however, the meaningful effect differed by each group or by each criteria. To be specific, in paraphrase writing task, the summary writing group showed the meaningful effect in content and language use criteria. And the opinion writing with source texts group showed the meaningful effect in quotation criteria. However, both groups showed the meaningful effect in paraphrasing criteria, which means the quotation and paraphrase practices helped students improve the ability to write original sentences with their own words. Also, these effects were seen in summary and opinion writing with source texts. All the results in post-test were positive, however, the meaningful effect differed by each group. To be specific, in summary writing task, the summary writing group showed the effect in paraphrasing and quotation criteria while the opinion group with source texts showed the positive effect in language use and quotation criteria. In opinion writing task with source texts, the summary writing group showed the positive effect in content and language use criteria while the opinion writing group with source texts showed positive learning effect in quotation and language use criteria. In addition, both groups showed the effect in paraphrasing criteria, which suggested the opinion writing with source texts were helpful to acquire the paraphrase rules. Second, the amount of plagiarized words decreased by most of the student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with pre and post-test results. In order to analyze the type and the amount of plagiarized words, four students each group were chosen. The results of plagiarized words were drawn by comparing the writings in pre and post paraphrase tests. With its descriptive analysis, most students attempted paraphrase by changing some of words or sentence structures including ‘words borrowing’. However, some students tried to paraphrase into their own words as a type of substantial revision. Third, the pre and post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more clearly understood the quotation rules and how not to plagiarize in their English writings. Their responds were positive in terms of improvement of quotation and paraphrase abilities. These results were similar in both groups, which indicated the practices were helpful for both groups to enhance the paraphrase ability regardless of the summary and opinion writing tasks with source texts. All these results drawn from the research of the quotation and paraphrase practices could positively affect the avoidance of plagiarism for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doing academic writing in English. However, these results have limitations, because all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have above average English proficiency. Therefore, if the participants had the lower English proficiency, even with long term practices, the findings would be not the same. In this sense, the following research will be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