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은주-
dc.contributor.author김효정-
dc.creator김효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4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9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5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919-
dc.description.abstract의사소통능력의 신장이 주요 목표인 현 영어교육과정에서 국제화시대에 국적을 뛰어 넘는 다양한 사람들과 관계를 원활히 하는 도구로서 칭찬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언어적, 문화적 능력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지난 20년간 칭찬과 칭찬 응답에 대한 방대한 연구들이 실시되어 칭찬 화행 교육의 내용을 결정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는 데 있어서 밑거름이 되어 왔다. 특히 Manes와 Wolfson(1981)이 주장한 영어 칭찬의 정형성(formulaicness)은 많은 후속 연구들에 의하여 뒷받침되었으며 다양한 문화권에서의 영어 칭찬 화행연구 및 언어간 비교연구로 이어졌다. 그러나 모든 칭찬이 반드시 명시적이며 정형화된 문형으로만 표현되는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간접적인 표현 방식과 다양한 문형으로 구성된 이른바 암시적 칭찬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거의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균형 있는 칭찬 화행 연구를 위하여 명시적 칭찬과 암시적 칭찬이 함께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칭찬에 대한 연구에는 칭찬 발화뿐 아니라 칭찬에 응답하는 청자의 언어선택과 그 동기에 대한 면이 포함된다. 이에 관한 많은 연구들에서 외국어 학습자들의 문화적 전이 현상이 논의되었다. 외국어 학습자들이 모국어의 화용적 규범을 목표어에 적용함으로써 무례한 태도로 오인 받아 의사소통의 문제가 야기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한국 학습자들의 의사소통의 문제를 예측하기 위해 영어 칭찬 응답 전략 사용 양상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어 학습자들의 칭찬 응답 전략 사용을 분석하여 영어 화용 규범에 대한 이해 정도를 가늠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칭찬을 칭찬으로 인식하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였는데 이는 청자가 칭찬에 대한 적절한 반응을 하기 위해서는 화자의 칭찬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칭찬의 유형별, 학습자의 능숙도 및 성별에 따라 칭찬 인식과 응답 전략 사용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어려움이 되는 요인을 찾아 궁극적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끝으로 칭찬 화행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필요성 인식을 질문하여 중등교육 현장에 도움이 되는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고등학교 학생 133명을 영어 능숙도별(상, 중, 하), 성별로 나누어 담화완성테스트(Discours Completion Test)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명시적 및 암시적 칭찬의 인식을 조사하고, 칭찬에 대한 응답(수용, 완화, 거절, 영어의 문제)과 하위 전략 사용을 분석하여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칭찬화행 교육의 경험 유무와 필요성에 대한 학습자 인식도 설문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얻어낸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암시적 칭찬의 경우에 명시적 칭찬의 경우보다 칭찬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차이는 암시적 칭찬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형식이 명시적 칭찬과 달리 정형화되지 않고 간접적이며, 비교적 복잡한 문장 구조와 우회적인 표현을 사용한다는 점 때문에 문법적 지식과 함께 문맥 안에서 의도를 파악하는 능력까지 요구되는 데서 나오는 결과로 보인다. 상대적으로 어려웠던 문항과 이유를 기술하도록 한 설문 조사 결과, 암시적 칭찬 문항이 명시적 칭찬 문항의 두 배에 달하는 지목을 받은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 또한 영어 칭찬의 정의와 기능이 한국어 칭찬과 달라서 한국 학습자들로 하여금 영어 칭찬을 칭찬으로 인식하지 못하게 하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전체 학습자의 칭찬 응답 전략 사용 분포를 살펴보면 수용이 44.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다음으로 완화(34.1%), 영어의 문제(16.0%), 거절(5.6%)이 뒤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영어의 화용적 규범과 비슷한 전략 사용 분포이다. 즉,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과정의 결과로 학습자들의 문화적 전이현상(cultural transfer)이 줄고 북미권의 사고방식에 대한 이해가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셋째, 칭찬 응답에 미치는 학습자 변인으로서 영어 능숙도와 성별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의미 있는 차이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명시적 칭찬에 대한 응답 분포에서 학습자의 수준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하위 응답 전략으로는 감사 표현, 칭찬 대상 설명, 질문 및 재확인 요청, 농담 그리고 영어의 문제가 있었다. 암시적 칭찬에 대한 응답 분포에서 학습자의 수준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하위 응답 전략으로는 감사표현, 칭찬 업그레이드, 칭찬 되돌리기 및 제안하기, 미소 및 웃음, 끝으로 영어의 문제였다. 한 편, 명시적 및 암시적 칭찬에 대한 응답을 분석한 결과 두 경우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더 많이 거절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공감을 표현하고 연대감을 형성하려는 경향이 강한 여성적 특징을 고려할 때 여성 학습자들이 거절 전략보다는 수용과 완화의 응답전략을 선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넷째, 과반수(57.9%)의 학습자가 칭찬 및 응답 화행에 대해 배운 경험이 없다고 대답하였다. 42.1%에 해당하는 학습자들은 수업시간, 학원, 혹은 학습지를 통해 배운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칭찬하기 및 응답하기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 70.7%의 학습자들이 배워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9.4%의 학습자들은 배울 필요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배워야 할 이유로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첫째 외국인과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위해서, 둘째 다양한 영어표현을 구사하고 싶어서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발견한 명시적 및 암시적 칭찬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응답 전략 사용 양상이 칭찬 및 칭찬 응답 화행 교육의 내용과 방향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또한 학습자가 높게 인식하고 있는 칭찬 화행 교육의 필요성이 그 중요성에 무게를 실어줄 것이라 기대한다.;As a facilitator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agmatic competence enabling paying and receiving compliments in English has been considered important in current English curriculum. To determine the content of compliment speech act and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s, a number of studies on compliment behaviour have been referred to. Since Manes and Wolfson(1981) discovered the formulaicness of English compliments, many researches have yielded the similar results in different settings and cross-cultural comparatives have been conducted. However, even though compliments are not only expressed explicitly or in a formulaic-patterned way, studies on implicit compliments which can be presented in unformulaic ways and indirect manners have been neglec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both type of compliments in a balanced perspective. Complimenting behaviour also include language choice and motivation underlined in responding to compliments. L2 learners' cultural transfer has been discussed in literatures. Language learners can be misunderstood as rude or uncooperative when they apply L1 pragmatic norms to target language. In order to predict communicative problems, how well Korean learners of English understand English pragmatic norm should be examined. Therefore the present study explores Korean learners' use of strategies in responding to compliments in English. Korean learners' recognition of compliments is also examined because in order to respond to compliments appropriately, recognition of complimenting intention should take place beforehand. In addition, necessity that learners feel about compliment speech act instruction in class is investigated.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proficiency level and gender of learners on recognition of both explicit and implicit compliments and use of response strategies. To discover learners' difficulties in responding appropriately, and to discuss the effective way to overcome them are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The study involves Discourse Completion Test and survey on 133 high- school students. They are asked to write down responses to the speakers' utterance in DCT, which consists of 6 explicit compliments, 6 implicit compliments and 3 distractors. Afterwards, they were asked to discern compliments and non-compliments among the speakers' utterances. And the survey asks if they feel the necessity of instruction of compliment and compliment response speech act. According to the gathered data and thei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couldn't recognize complimenting intention of implicit compliments compared with explicit compliments. It is because implicit compliments contain indirect expressions and relatively complex syntactic structures, which requires learners' ability to understand grammar rules and to infer the speakers' intention from the context as well. Moreover the fact that definition and function of compliments in Korean are different from those of English seemed to cause difficulties. Second, overall distribution of learners' strategy use of compliment response resembled distribution of native speakers of English: Accept (44.3%), Mitigate(34.1%), Reject(5.6%) and English problem(16.0%). This finding is encouraging in that learners' cultural transfer has been reduced and awareness of English pragmatic norms has been raised as a result of communicative teaching method. Third, students with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and different gender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compliment responses. In distribution of responses to explicit compliments, high and intermediate students showed higher use of strategies such as appreciation token, comment history, question or request reassurance, joke than low level students who had high distribution of English problem. In distribution of responses to implicit compliments, high and intermediate students showed higher use of strategies such as appreciation token, praise upgrade, return and suggestion, smile or laughter than low level students who had high distribution of English problem here, too. And male students appeared to reject more than female students to both explicit and implicit compliments. Each aspects shown above were discussed in the present study. Finally, the data shows that even though students feel the necessity to learn about compliments and compliment speech act, more than half of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hadn't learned them properly in school.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teachers considering and practicing compliment speech act instructions. And learners' need to learn on that area would allow high motivation of improving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in Englis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A. 칭찬하기 및 칭찬 응답 전략 4 1. 칭찬 화행 4 2. 칭찬 응답 전략 10 B. 선행 연구 고찰 14 1. 명시적 칭찬에 대한 연구 14 2. 암시적 칭찬에 대한 연구 15 3. 칭찬 응답에 대한 연구 17 Ⅲ. 연구 방법 21 A. 연구 질문 21 B. 연구 대상 21 C. 연구 도구 22 1. 담화완성테스트 22 2. 설문지 및 인터뷰 27 D. 연구 절차 27 E. 자료 분석 28 F. 연구의 제한점 34 Ⅳ. 연구결과 및 논의 36 A. 명시적 칭찬과 암시적 칭찬의 인식 36 B. 칭찬 응답하기 전략 양상 39 1. 전체 학습자의 칭찬 응답 전략 사용 분포 39 2. 영어 능숙도에 따른 칭찬 응답 하위 전략 사용 양상 45 3. 성별에 따른 칭찬 응답 하위 전략 사용 양상 54 C. 칭찬하기 및 칭찬에 응답하기 화행 교육 경험과 필요성 인식 58 Ⅴ. 결론 61 참고문헌 65 부록 68 ABSTRACT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91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명시적 및 암시적 칭찬의 인식과 칭찬에 대한 응답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Korean Learners' Recognition of Explicit and Implicit Compliments and Compliment Responses in English-
dc.creator.othernameKim, Hyo Jung-
dc.format.pagexii, 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