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희진-
dc.contributor.author김언경-
dc.creator김언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2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6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5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65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어머니의 형제 대우와 형제 상호작용을 통해 어머니가 인식한 형제관계의 특성을 알아보고, 형제또래의 낯선 유아와의 상호작용 특성 및 또래 유능성과 형제 상호작용 특성 간의 관계를 통해 형제관계와 또래관계의 관련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어머니가 인식한 형제 대우와 형제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2. 어머니가 인식한 형제관계와 실제 형제 상호작용의 특성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 형제 및 형제또래의 낯선 유아와의 상호작용 특성 간의 양상은 어떠한가? 3-1. 형제 및 형제또래의 낯선 유아와의 상호작용 특성 간의 양적 경향은 어떠한가? 3-2. 형제 및 형제또래의 낯선 유아와의 상호작용 특성 간의 질적 경향은 어떠한가? 4. 형제 상호작용의 특성과 또래 유능성은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 함께 다니는 만 3~5세인 형제 30쌍과 형제쌍 중에서 같은 형제구조를 가진 유아들끼리 새롭게 짝을 조합한 형제또래의 낯선 유아 30쌍과 그들의 어머니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새롭게 조합된 형제또래 낯선 유아쌍은 자신의 형제와 같은 성과 연령을 가진 유아로 구성되어 있다. 어머니가 인식한 형제관계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어머니를 대상으로 Daniels와 Plomin(1985)이 제작한 Sibling Inventory of Differential Experience (SIDE)에서 부모의 형제 대우와 형제 상호작용 항목을 사용하였다. 형제 상호작용 관찰은 Abramovitch 등(1979)과 기현주(2004)가 사용한 상호작용 행동 관찰 항목과 반구조화된 관찰 상황을 참조하였다. 관찰 자료는 유아쌍 각각의 상호작용 행동을 15초 간격으로 총 40회 평정하였다. 또래 유능성은 형제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Ladd와 Profilet(1996)이 제작한 Child Behavior Scale (CBS)을 송정(1999)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t검정과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온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는 형제에게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공평하게 대우하지만, 윗형제를 더 차별하여 통제 대우한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어머니는 적대적 상호작용을 제외하고는 형제간 상호작용에서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이를 토대로 어머니가 인식한 형제관계의 특성은 어머니가 형제를 차별 대우할수록 적대적 형제 상호작용을 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가 편애한다고 인식할수록 실제 형제 상호작용은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어머니가 인식한 형제 상호작용은 실제 형제 상호작용의 특성에 반영되어 나타났다. 따라서 어머니의 차별 대우는 형제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가 되며 형제간 상호작용 특성은 어머니의 인식과 실제 관찰에 상관없이 일관된 형태로 나타났다. 셋째, 형제 및 형제또래의 낯선 유아와의 상호작용의 특성 간에 유의미한 양적 차이와 질적 관계가 있었다. 형제또래의 낯선 유아보다 형제와 상호작용 행동을 더 많이 했으며,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 행동은 더 적었다. 형제와 형제또래의 낯선 유아 간에 상호작용의 특성이 서로 전이되어 나타났다. 즉, 형제와 또래관계는 유사한 속성을 가진 만큼 상호작용의 특성 또한 서로 영향을 미치며 서로 관련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형제와 부정적으로 상호작용 할수록 또래 유능성은 낮았으며 부정적인 특성의 또래 유능성이 나타났다. 형제와 긍정적인 상호작용 중 요청, 돕기 및 물건주기와 접근을 많이 할수록 또래 유능성이 높았으며 친사회적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rdy was to examine maternal perception about sibling relationships through mother's differential treatment of siblings and sibling relationship,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sibling relationship and the peer relationship according to relations of the sibling relationship with the quality of interaction with a unfamiliar child and peer competence. For that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is the mothers' perceived sibling treatments and sibling relationships? 2. How is the relation between the mothers' perceived sibling relationship and directly observed sibling interaction? 3. How is the difference between sibling interactions and interactions with an unfamiliar child? 3-1. What is the quantitative difference between sibling interactions and interactions with an unfamiliar child? 3-2. What is the qualitative difference between sibling interactions and interactions with an unfamiliar child? 4.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quality of sibling interaction and peer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siblings dyads aged 3 to 5 and enrolled in the same kindergarten, 30 more dyads by each of siblings' making a pair with an unfamiliar child whose gender and age was same with one's siblings, and 30 mothers of siblings. In order to measure mothers' perceived sibling relationship, the items about the mother's differential treatment and the sibling interaction in the SIDE, developed by Daniels and Plomin (1985), was used. For observing dyadic interactions, the interaction scale and the semi constructed play context, used by Abramovitch et al. (1979) and Kee (2004), was revised and adapted. The interactions of each dyads were observed at every 15 seconds and coded 40 times in total. The CBS, developed by Ladd and Profilet (1996), was employed to investigate peer competence.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frequency analysis, the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First, mothers perceived that they treated their children fairly with affectionate manners, but that they treated older child more strictly and harshly than younger child. And mothers perceived that siblings appeared different interactions except negative behaviors. In that, the quality of mothers' perceived sibling relationships was that the more mothers treated siblings differently, the more negative sibling interactions were appeared.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mothers' perceptions about differential treatments of siblings and observed sibling interactions, even though as mothers perceived that they favored more one of siblings, children interacted less with siblings and played by themselves. Maternal perceptions about sibling interactions were appeared at aspects of observed sibling interactions. Mothers' differential treatments of siblings were seen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sibling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between siblings were coherent. Third, there was the significant quantitative difference and qualitative relation between sibling interactions and interactions with a unfamiliar child. Children had more interaction and played less solitarily with their siblings each other than with unfamiliar child. The quality of sibling interactions also appeared at the quality of interaction with and an unfamiliar child and there is a relation between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of siblings and peers. Fourth, the more children negatively interacted with their siblings, the lower they had peer competenc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ositive quality of sibling interactions and the peer competence wasn't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the items of The positive interaction behaviors like requesting for help, helping, sharing a object, and an attempt to interact with siblings was appeared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peer competences and prosocial behavio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유아기 형제관계 5 1. 유아기 형제 상호작용 5 2. 어머니의 유아기 형제 대우 8 B. 유아기 형제 상호작용과 또래관계 11 1. 형제와 형제 이외 유아와의 상호작용 11 2. 유아기 형제 상호작용과 또래 유능성 15 Ⅲ. 연구방법 18 A. 연구대상 18 B. 연구도구 19 C. 연구절차 26 D. 자료분석 29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0 A. 어머니가 인식한 형제 대우와 형제 상호작용 30 B. 어머니가 인식한 형제관계와 실제 형제 상호작용 특성 간의 관계 34 C. 형제 및 형제또래의 낯선 유아와의 상호작용 양상 36 D. 형제 상호작용의 특성과 또래 유능성 39 Ⅴ. 논의 및 결론 41 A. 논의 41 B. 결론 및 제언 45 참고문헌 49 부록 1. 어머니용 설문지 54 부록 2. 교사용 설문지 59 부록 3. 상호작용 관찰 기록 64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39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어머니가 인식한 형제 대우와 형제 상호작용, 형제 및 형제또래의 낯선 유아와의 상호작용 특성,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Perceptions about the Mother's Differential Treatment of Siblings and the Sibling Interactions, the Quality of Interaction with a Sibling and with an Unfamiliar Child, and the Peer Competence-
dc.creator.othernameKim, Eon Kyung-
dc.format.pagevii,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