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6 Download: 0

입양청소년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Title
입양청소년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Other Titles
A Needs Analysis on Development of a Korean Curriculum for Teenage Adoptees
Authors
황윤정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This study's purpose is to suggest a design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a Korean curriculum for teenage adoptees. To do so, a research on the overall need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was conducted based on teenage adoptees, teachers of a Korean culture camp, and adoptive parents. Also, in order to suggest a design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a more effective Korean curriculum, this study has studied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education such as educational environment, improvement points, and educational opportunity of the Korean education for teenage adoptees that is taking place in the USA. As the research method, a research study, which studies the subject's characteristic or behavior while dealing with status quo and its problems, was selected. For data sampling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56 teenage adoptees who took part in ‘Supsogǔi Hosu’ of the Concordia Language Villages and ‘Kamp Kimchee’ located in Minnesota, USA, 22 teachers of a Korean culture camp, and 16 adoptive parents. Also, in order to improv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an additional survey of 4 experts from a Korean adoption agency, and 11 adult adoptees was conducted, making it a total of 109 surveys. The data collected over the period of 5 months, from 2010 July to November, used the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which can create a program using simple terms, and can analyze and compile statistics from massive data easily and swiftly, to conduct a frequency analysis. As the data from adoption agency experts and adult adoptees, which was collected to enhance validity and reliability, it is expected to find statistical meaningfulness to be difficult, thus certain parts are depicted. Also in order to present an example of a Korean language syllabus and its validity and appropriateness, 8 type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analyzed. The common parts of the existing Korean textbooks were considered as necessary sections, and were selected according to frequency of the topic of the textbook, vocabulary and aimed grammar, and cultural education content. With the result of the textbook analysis and needs analysis as the basis, the aims and goals of a Korean curriculum for teenage adoptees, the type of syllabus and the educational content following the syllabus were selected; and with accordance to it, this study presents the example of syllabus design and design model of a Korean curriculum.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below: First, through a survey of teenage adoptees, Korean culture camp teachers, and adoptive parents, the needs for a Korean curriculum and textbook for teenage adoptees was confirmed. The subsequent needs about the general domain of the education curriculum was identified, and it was shown that after a needs analysis of adoption agency experts and adult adoptees, the results were substantially alike. Second, the example of a Korean language syllabus for teenage adoptees and design model of a Korean curriculum were proposed. For the educational content, 10 themes that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sult of needs analysis and analysis of textbooks were included, along with the according vocabulary, grammar and sentence structure, function and task, and cultural education content with consideration to the teenage adoptees' status as learners. The Korean curriculum design model is a flexible one that can be modified anytime according to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ituation. This study has studied the need for a Korean curriculum for teenage adoptees and overall needs regarding the curriculum, and by using them as the basis, has proposed a Korean curriculum that is appropriate to them. The research related to the above argument has the following meaning. First, by identifying the teenage adoptees' status as learners and the demand for Korean education, the need for a Korean curriculum for teenage adoptees was confirmed. Second, by conducting a research on a Korean curriculum for teenage adoptees, which was never done b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ould not only be an useful resource for research on Korean education for overseas adoptees and overseas Koreans, but also for social welfare research.;본 연구는 입양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과정의 설계 모형을 제안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입양청소년, 한국문화 캠프 교사, 양부모를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전반적인 요구를 조사하였다. 또한 보다 효과적인 교육과정 설계 모형의 제안을 위해 현재 미국에서 입양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교육의 교육 환경과 개선점 등 전반적인 한국어교육 상황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 현재 상황과 문제를 다루면서 연구대상의 특성 또는 태도 등을 연구하는 데에 쓰이는 조사연구 방법을 택하였고, 조사연구 방법들 가운데 신뢰도와 객관성이 높은 설문지 조사법을 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표집을 위하여 미국 미네소타 주에 위치하고 있는 콘코디아 언어 마을(Concordia Language Villages) 의 한국어 마을인 ‘숲 속의 호수(Supsogǔi Hosu)’와 ‘캠프 김치(Kamp Kimchee)'에 참여한 입양청소년 56명, 한국문화 캠프의 교사 22명, 양부모 1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한국의 입양 기관의 관계자 4명과 성인 해외입양인 1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총 109개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2010년 7월부터 11월까지 총 5개월에 걸쳐 수집된 자료는 간단한 용어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대량의 자료를 분석 및 통계 처리를 할 수 있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를 사용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진행된 입양 기관의 관계자와 성인 해외입양인의 요구는 표집 자료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통계적 유의미성을 찾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어 특징적인 부분을 기술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의 예시는 그 타당성과 당위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8종류의 한국어 교재를 분석과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분석이 이루어진 후에 구성되었다. 기존의 한국어 교재들에서 공통적으로 구성된 부분은 필수 항목으로 간주하여 교재의 주제와 어휘 및 목표 문법, 문화 교육 내용을 빈도에 따라 선정하였다. 교재분석의 결과와 요구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입양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과정의 목적과 목표, 교수요목의 유형과 교수요목에 따른 교육 내용을 선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교수요목 설계의 예시와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의 설계 모형을 제안하였다. 제 Ⅰ장에서는 입양청소년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이라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혔다. 또한 논제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입증하고자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제 Ⅱ장은 본 연구의 연구 문제 해결의 근간이 되는 이론적 배경을 문헌연구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입양청소년이라는 용어를 정의하고 입양청소년이 가지는 학습자적 위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육과정 개발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요구분석과 교육과정 개발에 기본이 되는 구성 요소, 미국 내 입양청소년 대상 한국어교육 현황을 차례대로 살펴보았다. 제 Ⅲ장에서는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그에 적절한 연구 절차와 연구 대상, 측정 도구, 자료분석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입양청소년 대상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의 예와 그 타당성과 당위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8종류의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제 Ⅳ장에서는 입양청소년, 한국문화 캠프 교사, 양부모와 입양 기관의 관계자 그리고 성인 해외입양인의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요구를 분석하였다. 입양 기관의 관계자와 성인 해외입양인의 요구는 표집 자료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통계적 유의미성을 찾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어 특징적인 부분을 기술하였다. 제 Ⅴ장에서는 Ⅳ장에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절차에 따라 교육과정의 목적과 목표 그리고 교수요목의 유형을 설정하고 교육 내용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교육 내용을 학습자의 특성과 요구를 고려하여 교수요목 설계의 예를 제시하였으며, 입양청소년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모형을 제안하였다. 제 Ⅵ장에서는 각 연구 문제에 대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입양청소년을 비롯한 한국문화 캠프 교사와 양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를 통하여 입양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과정과 한국어 교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른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영역에 대한 요구를 확인하였으며, 입양 기관의 관계자 및 성인 해외입양인의 요구분석 결과 또한 대동소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입양청소년을 대상으로 구성된 한국어 교수요목의 예시와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모형을 제안하였다. 교육내용에는 기존의 교재분석과 요구분석을 바탕으로 선정된 10가지의 주제와 그에 따른 어휘, 문법과 문형, 기능 및 과제 그리고 그들의 학습자적 위상을 고려한 문화 교육 내용이 포함되었다. 여기서 제시한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모형은 언제든지 교육 환경과 상황에 따라 변형이 가능한 교육과정 모형이다. 본 연구는 입양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과정의 필요성과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요구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그들에게 적절한 한국어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논의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입양청소년의 학습자적 위상과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를 확인해 봄으로써 입양청소년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지금까지 다루어지지 않았던 입양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로 앞으로 해외입양인 대상과 해외동포의 한국어교육 연구뿐만 아니라 사회복지학 연구에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